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범위
경계
테두리
한도
영역
극한
범주
스페셜
"
한계
"(으)로 총 1,000건 검색되었습니다.
기상청 "인간 예보관 보좌할 AI예보관 개발 중"…90% 정확도 목표
동아사이언스
l
2021.03.31
하루 평균 2.2테라바이트(TB) 용량, 360만 개의 자료가 전달되는 만큼 이를 분석하는 것이
한계
에 다다르고 있다는 설명이다. AI가 산출물을 분석해 일정 수준의 예보를 전달하면 예보관이 이를 분석해 더 정확한 예보를 전달할 수 있게 된다. 알파웨더는 예보관 대비 90% 예보 정확도를 갖추는 것을 최종 ... ...
'백신은 외산에 밀렸지만'…가능성 보이는 국산 코로나 치료제
동아사이언스
l
2021.03.31
처음으로 국내 허가를 받았다. GC녹십자가 개발중인 혈장치료제도 세포실험이라는
한계
가 있지만 영국과 남아프리카공화국 변이바이러스에도 효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GC녹십자는 혈장치료제(GC5131A)의 국내 임상2상을 완료하고 4월 중 식품의약품안전처에 긴급 사용 승인이나 조건부 ... ...
태양전지 효율 35% 수소환원제철...2050년 탄소중립 실현할 10대 핵심기술
동아사이언스
l
2021.03.31
산업은 65%를 수소환원제철로 전환한다. 석유화학 산업은 현재 공정 효율 향상이
한계
에 다다른 만큼 저탄소 원료와 공정 전기화 기술을 확보해 2040년 제품의 가격경쟁력을 확보한다. 전체적으로는 산업공정 효율을 극대화해 2040년 탄소 저감 효율을 95%까지 높인다. 또 CCUS 기술 개발과 실증을 ... ...
[표지로 읽는 과학] 실험실에서 탄생한 태아의 씨앗 '배반포'
동아사이언스
l
2021.03.27
두 연구팀이 만든 조직이 사람의 배반포와 완전히 같지는 않고 대량 생산하는 데도 아직
한계
가 있다. 자넷 로산트 캐나다 토론토대 분자유전학과 교수는 "사람의 배반포를 구성하는 원시 내배엽이 잘 형성되지 않는 것 같고 다른 세포도 섞여 있다"며 "배반포를 만드는 효율이 매우 낮다"고 ... ...
우울감은 당신의 뇌를 잠식한다 …뇌 연구 최전선으로 떠오른 '코로나 우울'
동아사이언스
l
2021.03.26
방식으로 이뤄진다. 하지만 전문의의 주관적 판단을 배제할 수 없어 객관적이지 않다는
한계
가 있다. 과학자들은 뇌파를 통한 우울증 진단 방법과 인공지능(AI)을 접목한 새로운 기술에 주목하고 있다. 구글의 모회사 알파벳도 지난해 11월 병원에 가지 않고도 간단히 우울증을 진단하는 뇌파 측정 ... ...
[랩큐멘터리] 세계 최고 수준의 시스템 반도체 설계도 그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18
5G 통신의 효율을 대폭 개선할 수 있는 통신용 신호처리 알고리즘을 연구해 하드웨어의
한계
를 극복하는 알고리즘 최적화 및 초고효율 시스템 반도체 설계를 이끌고 있다. EPIC연구실은 시스템 반도체를 기반으로 한 다양한 융합연구 방향도 제시한다. 스포츠 공학과 바이오메디컬, 헬스케어 관련 ... ...
'오후 1시 49분' 코로나 양성 판정 가능성 가장 높아지는 시간
동아사이언스
l
2021.03.16
다만 피검사자가 임상 증상을 보인 채 방문했는지와 같은 정보가 없어 분석 결과에는
한계
가 있다. 또 연구팀은 환자의 바이러스가 실제로 시간에 따라 다르게 배출되는지와 같은 결정적인 증거는 이번 연구에서 제시하지 못했다. 다만 이처럼 시간에 따라 바이러스 배출량이 달라지는 형태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100만년 전 매머드 게놈 해독해보니
2021.03.16
한 논문은 영구동토에 묻힌 뼈에서 추출한 DNA에서 의미있는 게놈 정보를 얻을 수 있는
한계
가 100만 년이 넘을 것이라고 추정했다. 물론 이건 어디까지나 이론적인 얘기라서 당시에는 별 주목을 받지 못했다. 그런데 이듬해 78만~56만 년 전 살았던 말의 게놈이 해독되면서 어쩌면 100만 년을 넘을 수도 ... ...
"새 교육과정, 고교-대학 연계 무게 둬야"
동아사이언스
l
2021.03.12
선택과목으로 나눠 수능을 2번 보는 방안을 제시하면서도 "수능 개선을 통한 접근은
한계
가 있다"고 지적했다. 권 교수는 "학교 교육과 대학 교육이 협력해 경쟁력 있는 아이들을 어떻게 키울까 고민해야 한다"며 "이공계 학과는 모집 단위별로 전공적합성을 판단할 수 있는 핵심 과목 1,2개를 필수 ... ...
[랩큐멘터리]한국 반도체 기술의 청사진을 그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09
시장 최강자로 군림해왔다. 그러나 최근 메모리 반도체 소자 개발은 집적도 측면에서
한계
에 봉착했다. 소자를 연결하는 전선 연결에 대한 연구가 중요해지고 있다. 백록현 포스텍 전자전기공학과 교수가 이끄는 미래소자회로연구실은 최근 반도체 산업에서 필요한 기술 중 가장 상용화 가능성이 ... ...
이전
35
36
37
38
39
40
41
42
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