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특성
특질
특색
성격
개성
성질
기질
스페셜
"
특징
"(으)로 총 794건 검색되었습니다.
코로나19 진단키트 성능 비교하는 표준물질 세계 두 번째로 개발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7.14
바이러스 유전자의 특정 부위를 찾는 기술이다. 마치 범인의 시체
특징
을 기억해 뒀다 그
특징
을 찾아 범인을 확인하는 것과 비슷하다. 프라이머가 유전자를 찾은 뒤에는 그 부위를 반복적으로 복제해 대량으로 증폭하는 과정이 따른다. 복제 과정의 횟수를 세면 바이러스 감염 여부를 확인할 수 ... ...
코로나19 확산 막을 최전선은 '주거지와 도시'
동아사이언스
l
2020.07.13
특히 대중교통 중심의 교통체계를 지니고 있어 자동차 중심의 다른 미국 도시와도 다른
특징
을 갖는다. 하지만 뉴욕주는 현재 코로나19의 피해를 가장 크게 입고 있다. 코로나19 등 감염병이 도시의 공간구조와 교통체계에 어떤 변화를 가져올 수 있을지 논의가 시작되고 있다. 위키미디어 제공 일부 ... ...
중증 코로나19환자에게 나타나는 사이토카인 폭풍 원인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7.13
혈액 속 면역세포를 1개씩 분리한 뒤 '단일 세포 유전자 발현 분석 기술'을 이용해
특징
을 파악했다. 세포 내에 만들어진 극미량의 '전사체를 증폭한 뒤 해독해 그 양을 측정해 관련 단백질을 찾는 방식이다. 그 결과 코로나19 환자에게는 종양괴사인자(TNF)와 인터류킨-1이 발견되고, 특히 중증 ... ...
국내 연구진, 양자컴퓨터에서 AI 구현하는 알고리즘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0.07.07
통해 저차원 입력 공간에 존재하는 데이터를 큐비트로 표현되는 고차원 데이터
특징
공간으로 옮긴 뒤 양자화된 학습데이터와 테스트데이터 간 커널 함수를 양자 중첩 현상을 활용해 동시에 계산하고 테스트데이터 분류를 효율적으로 결정하도록 했다. 연구팀은 또 양자 회로를 체계적으로 ... ...
코로나19 사태 반년 '풀리지 않는 5가지 미스터리'
동아사이언스
l
2020.07.06
정리했다. 왜 사람마다 증상이 다르게 나타나는가 우선 코로나19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
은 사람마다 겪는 증상이 천차만별이라는 점이다. 어떤 사람은 무증상 감염을 나타내는 반면, 또다른 사람들은 치명적인 폐렴으로 사망하기도 한다. 아이슬란드 레이캬비크 소재 바이오의약품 회사인 ... ...
"소득 낮을수록 코로나19 치명률 높다"...국내 첫 연구결과
동아사이언스
l
2020.07.06
확진 환자 신고 자료를 국민건강보험공단의 빅데이터와 연계하고, 역학적
특징
과 의료이용 자료를 구축해 분석을 진행했다. 그 결과 남성 확진자 3556명 중 67명이 코로나19로 목숨을 잃은 것으로 나타났다. 치명률은 1.88%다. 여성 확진자는 5592명이다. 이 중 63명이 목숨을 잃어 치명률은 1.13%를 ... ...
"방역조치 완화하면 두달 내 수도권 환자 46.7% 늘어" 수리모델 분석결과
동아사이언스
l
2020.07.02
적용할 수 있다. 20대는 코로나19에 감염되도 무증상인 경우가 많고, 사회활동이 많은 게
특징
이다. 반면 60대 이상 고령층은 코로나19 증상이 빠르게 나타나고 코로나19로 인해 사망하는 비율을 뜻하는 치명률도 높다. 여기에 연령대별로 만나는 양상도 다르다. 수리 모델에 연령별로 다른 감염률과 ... ...
코로나19 발열 확인에 얼굴인식 AI가 결합한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20.06.30
딥러닝을 이용해 사람을 찾아 얼굴을 인식한다. 마스크를 써도 식별이 가능한 게
특징
이다. 추운 날 외부에서 들어온 경우 피부가 일시적으로 차가워져도 이를 스스로 수정하는 기능도 갖췄다. 체온 측정 오차는 0.1도 미만이다. 한 공간에 너무 많은 사람이 감지되면 '사회적 거리두기'가 지켜지지 ... ...
"KAIST 교수·대학원생들과 함께 온종일 AI 코딩 세계에 빠져봤습니다"
과학동아
l
2020.06.28
합성곱신경망(CNN) 알고리즘을 직접 다뤘다. 합성곱신경망은 데이터의
특징
을 추출해 그
특징
들의 패턴을 파악하는 알고리즘이다. 참가자들은 이를 통해 강아지와 고양이 이미지를 구분하는 알고리즘이 어떻게 이뤄졌는지 살펴보고,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서 불필요한 연산을 삭제하는 등의 방법을 ... ...
[인간·공감·AI]④ 게임은 AI 기술 연구하기에 가장 좋은 실험실
동아사이언스
l
2020.06.28
과제는 흔하지 않다"며 "게임 AI를 응용하거나, 의사결정이나 판단 등 게임AI 고유의
특징
을 보다 많이 연구하고 있다"고 말했다. 동아사이언스 게임이 AI를 연구하기 위한 최적의 대상 중 하나인 이유는 현실의 ‘축소판’이라는 점이다. 인간이 다양한 상황을 인식하고 판단을 내리는 과정이 간략한 ... ...
이전
35
36
37
38
39
40
41
42
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