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해
대기오염
수질오염
소음공해
뉴스
"
환경오염
"(으)로 총 1,517건 검색되었습니다.
오·폐수에서 전기와 식수 동시에 생산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2.07
오·폐수에서 식수와 전기를 동시에 생산하는 분리막의 작동 원리를 도식화했다. KIST 제공 하나의 분리막으로 전기와 식수를 한꺼번에 생산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수질 개선과 전력 생산이 동시에 가능해 오·폐수를 효율적으로 재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 ... ...
5명 실명‧1명 사망케 한 인공눈물…“국내 판매되지 않은 제품”
동아사이언스
l
2023.02.06
미국에서 녹농균 감염을 일으킨 인도 글로벌파마의 인공눈물 제품 에즈리케어. 글로벌파마 홈페이지 캡처 미국에서 실명 5명과 사망 1명을 유발한 인공눈물 제품이 국내에서 허가가 나거나 판매된 적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5일 “일부 언론의 미국 녹농균 오염 안약 보도 ... ...
"SMR 개발에 76억원…원자력 신규사업에 200억원 지원"
동아사이언스
l
2023.02.05
i-SMR 모형. 정부가 올해 i-SMR 개발에 31억1000만원을 투입한다고 3일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소형모듈원자로(i-SMR)와 용융염원자로(MSR) 등 기존 대형 원전의 단점을 보완한 선진원자로 개발 사업이 올해부터 본격 시작된다. 원전 해체 기술 경쟁력을 높이고 의료·산업용 동위원소 상용화를 위한 사업 ... ...
하수 속 암모니아, 유용한 자원으로 '탈바꿈'
동아사이언스
l
2023.02.01
하수 내 암모니아 자원화 공정 개념도. 건설연 제공 하수 속 암모니아를 선택적으로 제거해 유용한 자원으로 활용하는 기술이 개발됐다. 암모니아 회수 과정에서 질소가스를 대기로 배출하는 기존 기술과 달리 물리적으로 암모니아를 하수로부터 분리해 회수하고 자원화해 온실가스 배출 저감에도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수출용 라면 속 유해물질...허용기준은 제한속도와 같아
2023.02.01
라면의 안전성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대만‧태국에 수출한 라면의 스프에서 허용기준을 넘는 유해물질이 검출되어 유통이 중단됐다. 인체 발암성이 확인된 1군 발암물질로 분류되는 ‘에틸렌 옥사이드’(EO)가 아니라 인체 독성이 의심스러운 ‘2-클로로에탄올’(2-CE ... ...
미세먼지 속 세균이 호흡기 질병 유발 원리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1.30
호흡기 손상 위험을 높이는 방식을 규명했다고 30일 밝혔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
환경오염
’에 15일 게재됐다. 미세먼지는 대기 중에 떠다니는 10마이크로미터(㎛·100만 분의 1m) 이하 크기의 작은 먼지입자를 말한다. 미세먼지는 각종 화합물과 유기물로 이뤄진 복합체다. 바이러스, 세균, ... ...
밤에 엄습하는 중국발 미세먼지 새 유해물질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1.27
중국의 대도시 상하이의 야경.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중국에서 발생한 미세먼지(PM2.5)가 인체에 유해한 삼산화질소(NO3)를 야간에 방출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삼산화질소는 빛을 산란시켜 대기를 혼탁하게 만들며 인체에도 유해한 물질로 중국발 미세먼지의 새로운 위협요소가 발견된 것이다. ... ...
KAIST, 화학물질 생산 주목받는 '대사공학' 30년사 총정리
동아사이언스
l
2023.01.26
대사공학의 주요 발전 타임라인. KAIST 제공 국내 연구진이 바이오 기반 화학물질 생산기술로 주목받는 대사공학의 발전사를 정리했다. 26일 KAIST에 따르면 이상엽 생명화학공학과 특훈교수 연구팀은 30년간 대사공학이 발전해온 역사를 정리하고 대사공학이 지속 가능한 발전에 어떻게 기여할 수 ... ...
日, 올봄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전문가들 "안전성 담보 못해"
동아사이언스
l
2023.01.25
후쿠시마 제1원전 오염수 보관 탱크. 연합뉴스 제공 일본 정부가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의 방사능 오염수를 태평양에 방류하겠다는 계획을 추진하는 가운데 해양학자들과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반대하는 목소리가 거세다. 24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보도에 따르면 일본 정부는 지 ... ...
쓰고 버린 마스크가 나노플라스틱으로..."폐 손상 유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1.25
생활에서 일회용품으로 흔히 접하는 플라스틱이다. 일회용 마스크의 주원료로 사용돼
환경오염
및 인체 노출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연구팀은 실험동물 기도와 인간 폐암 상피세포주(A549)에 PP 나노플라스틱을 노출시킨 후 폐 손상 관련 변화를 분석했다. 그 결과 PP 나노플라스틱에 ... ...
이전
35
36
37
38
39
40
41
42
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