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현대사회"(으)로 총 815건 검색되었습니다.
- 윤종용 전 부회장 "48년 월급쟁이 생활서 얻은 결론은 호기심이 많은 사람이 뛰어난 사람”동아사이언스 l2019.10.17
- 초대 과학기술유공자인 윤종용 삼성전자 전 부회장은 이달 17일 서울 종로구 서울과학고에서 미래 변화에 과학기술 혁신이 큰 역할을 한다고 강조했다. 조승한 기자 shinjsh@donga.com “능력 있는 점쟁이라고 해도 미래는 알 수 없습니다. 미래를 예측한다고 다 맞는 것도 아닙니다. 하지만 확실한 건 ... ...
- [인류와 질병] 콜레스테롤과 감염, 그리고 치매2019.10.12
- Pixabay 알츠하이머 치매와 관련이 깊은 유전자는 APOE E4 변이형이다. 한국인의 경우 APOE E4 변이형을 가진 사람의 비율은 얼마나 될까? 1997년 조사에 의하면 대략 0.1 남짓이었다. 일본인도 거의 비슷하다. 아시아인은 일부 원주민을 제외하면 크게 다르지 않은 편이다. 유럽으로 가면 조금 다른데, 북유 ...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철학 없는 기초과학의 몰락2019.10.11
- 보통과학자는 기초과학자로서 자격이 없다고 주장하는 이 기괴한 프로젝트를 살펴보며 현대사회를 살아가는 보통과학자의 의미를 찾아보도록 하자. 기초과학연구원, 아수라장이 되다 2017년 IBS의 한 연구단장은 미국에 있는 본인 소유의 집을 숙박공유 사이트인 ‘에어비앤비’에 등록하고, ... ...
- [인류와 질병] 크레이지 캣 레이디2019.09.28
- 톡소포자충이 쥐의 뇌조직에 만든 낭. USDA 제공 약 10년 전에 발표된 한 가설에 의하면 Rh +/- 이형접합체는 톡소포자충 감염에 내성을 가진다. 이는 아주 흥미로운 진화적 현상이다. 이형접합체가 동형접합체보다 유리하기 때문에 두 가지 다형성이 계속 유지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Rh +/- 유전형을 가 ...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과학계의 인종차별2019.09.25
- 뇌는 빠른 의사결정, 즉 휴리스틱을 이용해 내집단과 외집단을 구분한다. 이 능력은 현대사회에서 인종차별로 나타날 수 있다. 우리는 언제든 인종차별주의자가 될 수 있다. 그걸 막는 유일한 방법은 끊임 없는 자각과 교육 그리고 제도적 정비 뿐이다. ※필진소개 김우재. 어린 시절부터 꿀벌, ... ...
- [주말N수학] 화학 아는 수학자가 만든 '주기율표'수학동아 l2019.09.21
- 일러스트 고고핑크 모든 물질을 구성하는 가장 기본적인 요소를 조직한 체계’인 주기율표는 물질을 연구하는 데 필수적인 역할을 하는 기본 개념입니다. 처음으로 원소 사이의 주기성과 규칙을 발견하고 이를 표로 만들려고 시도한 것은 멘델레예프가 아니지만, 현재 가장 널리 쓰이는 형태의 ... ...
- [인류와 질병] 큰 뇌를 가진 인간, 변화에 적응하는 인류에겐 숙명인 질병 2019.09.14
-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삶은 여러 단계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각 시기에 달성해야 할 적응적 목표가 다르다. 어린 시절에는 성장을, 성인기에는 번식을 해야 한다. 노년기에는 주변을 돌보는 것이 유리할 것이다. 그런데 각 시기의 기간 및 에너지 투입량을 결정하는 최적 수준은 생태적 압력에 따라 ... ...
- '종의 기원' 쓴 찰스 다윈도 진로 때문에 고민했다는데 2019.09.12
- 일러스트 정은우 “사냥질, 개, 쥐잡기에나 관심이 있는 너는 가족과 네 자신에게 부끄러운 존재가 될 거다.” 아버지가 아들에게 이런 말을 했다면 얼마나 상처가 클까? 실제로 이 말은 1827년 영국 에든버러대에서 의학 공부를 중도에 포기하고 낙향한 18세 청년에게 퍼부었던 성공한 의사 아버지 ... ...
- [사이언스N사피엔스]학자의 잉크는 순교자의 피보다 신성하다2019.09.05
-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이슬람이라고 하면 흔히 부정적인 이미지를 떠올리기 마련이다. 근본주의자들의 과격한 테러나 왕조국가들의 차별받는 여성들이 가장 먼저 생각난다. 이는 어쩌면 이슬람의 극히 일부에 해당할지도 모른다. 과학의 역사를 돌아보면 이슬람 문명은 한때 대단히 개방적이고 포 ... ...
- [인류와 질병] 사르데냐섬의 비극2019.09.01
- 사르데냐섬.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기원전 264년 로마는 카르타고와 지중해의 지배권을 두고 전쟁을 벌였는데, 이를 제1차 포에니 전쟁이라고 한다. 로마는 전쟁에서 승리했고, 시칠리아섬을 얻을 수 있었다. 보너스로 두 섬을 더 가지게 되었는데, 바로 코르시카섬과 사르데냐섬이다. 사르데냐섬 ... ...
이전35363738394041424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