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문
천공
하늘
창공
태양
해
햇빛
뉴스
"
천체
"(으)로 총 1,283건 검색되었습니다.
미 NASA 로버 ‘바이퍼’, 달 착륙 우주인 쓸 물 찾아 컴컴한 '달 남극' 간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9.27
물을 달 남극에서 찾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노빌레 충돌구는 달이 운석 등 작은
천체
와 부딪혀 형성된 움푹한 지형이다. 달의 극지방에서는 태양이 수평선에 가깝게 놓인다. 이런 이유로 극지방의 충돌구 내부에는 햇볕이 영구적으로 들지 않는 넓은 지대가 형성된다. 이 지역은 기온이 영하 22 ... ...
'첫 외계
천체
' 오무아무아는 외계 지성체가 만든 것일까
연합뉴스
l
2021.09.24
동의했다. 오무아무아는 하와이어로 '탐색자'를 뜻한다고 한다. 국제천문연맹(IAU)은 이
천체
의 공식 명칭을 발표하면서 오무아무아를 '먼 곳에서 온 첫 번째 전령사'라고 정의했다. 국제천문연맹은 오무아무아가 발견되고 몇 주 사이에 명칭을 세 번이나 바꿨다. 처음에는 'C/2017 U1'라고 불렀다. ... ...
NASA 첫 달 로버 탐색지는 달 남극 '노빌레 분화구'
동아사이언스
l
2021.09.22
가장자리를 선정했다고 21일 밝혔다. 이번에 선정된 노빌레 충돌구는 달이 다른 작은
천체
와 충돌해 만들어진 지름 73km의 움푹한 지형이다. 달의 극지방에서는 태양이 수평선에 가깝게 놓인다. 때문에 극지방의 충돌구에는 영구적으로 햇볕이 들지 않는 넓은 지대가 형성된다. 이 지대는 온도가 ... ...
한국 달궤도선에 NASA ‘섀도캠’ 실리는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21.09.21
달이 지구와 동시에 생성됐다는 공동 생성 이론이다. 화성 5배 크기의 2개의 거대한
천체
가 충돌해 지구와 달이 충돌 과정에서 튕겨져 생성됐을 것이라는 가설이다 ... ...
[인터뷰] 수학의 눈으로 사회를 이해하는 데이터 과학자
수학동아
l
2021.09.11
초신성폭발, 중성자별, 펄스에 관한 얘기를 자주 들었어요. 너무 흥미로운 분야로 여겨져
천체
물리학을 공부하고 싶다는 꿈을 갖게 됐습니다. 그러던 중 과학고에서 2학년 때 조기 졸업을 하고 KAIST에 진학하게 됐습니다. 2학년때 학과를 정하려 보니 그제서야 KAIST에 천문학과가 없다는 사실을 알게 ... ...
코로나19 mRNA 백신 만든 과학자들 ‘과학계 오스카상’ 받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9.10
공로가 인정됐다. 알렉산드라 코르시 미국 텍사스공대
천체
물리학부 교수 등 미국
천체
물리학자 4명은 두 중성자별의 충돌을 처음으로 관측하고 이 과정에서 중력파를 측정하는 새로운 기술을 밝힌 공로가, 도미닉 엘스 미국 하버드대 연구원 등 4명은 비평형상태에서 양자 물질의 새로운 위상 ... ...
강혜성 부산대 교수, 한국인 첫 국제천문연맹 부회장 선출
동아사이언스
l
2021.09.08
최대규모 국제기구다. 1919년 설립 이후 102년간 천문학 분야 국제 협력을 이끌고 있다.
천체
이름을 정할 수 있는 공식 권한을 지닌다. 강 신임 부회장은 서울대 천문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텍사스대에서 천문학 박사를 받았다. 1999년 부산대 교수로 부임했다. 2008년 올해의 여성과학기술자상, 2017년 ... ...
지구에서 단 36광년 가장 가까운 외계행성 관측
과학동아
l
2021.09.05
2) 행성계에서 외계항성 COCONUTS-2A를 공전하는 외계행성 COCONUTS-2b를 관측한 결과를 ‘
천체
물리학 저널 레터스’ 7월 28일자에 공개했다. doi: 10.3847/2041-8213/ac1123 강한 열과 빛을 내뿜는 외계항성과 달리, 그 주위를 도는 외계행성을 직접 관측하기란 매우 어렵다. 외계행성은 두 가지 요소를 통해 확인할 ... ...
[주말N수학] 우주를 관측하고 기후변화에 대처하는 수학
2021.09.04
넘어 과학계의 스타가 됐다. 위키미디어 제공 기후변화와 지구를 위한 수학
천체
관측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에서 큰 영향을 미치는 일기예보 역시 수학 없이는 정확하게 예측할 수 없습니다. 1961년 미국 기상연구소에서 기상 변화를 예측하는 모델을 연구하던 수학자 에드워드 노튼 로렌츠는 ... ...
위성이 날아오는 순간
천체
관측 카메라는 눈을 감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9.03
위성이 더욱 많아질 것이라는 점이다. 최진 선임연구원은 “지상에서 관측하는
천체
망원경이 찾을 수 있는 해법은 사실상 많지 않다”며 “스텔스트랜짓의 기술처럼 공개된 위성 궤도와 동선을 파악해 위성이 지나가는 영역과 시간을 피해 관측 스케줄을 조정하는 방안이 천문학계에서 거론되고 ... ...
이전
35
36
37
38
39
40
41
42
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