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등뼈
등골
척추골
등골뼈
척수골
척수
등심대
뉴스
"
척추
"(으)로 총 592건 검색되었습니다.
[유전자 편집 아기 논란]다시 불붙은 인간 배아 연구 논쟁
동아사이언스
l
2018.12.02
않지만 생명체로서 마땅히 존중받아야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학계에선 배아에서
척추
가 자라는 원시선이 생기는 시기부터 생명체로 인정한다. 하지만 수정란과 배아를 인간으로 발달하기 위한 모든 잠재성을 가진 존재로 보는 견해도 많다. 배아 연구가 인간을 수단화한다는 주장으로 이어지는 ... ...
'여우각시별' 드라마 속 웨어러블 로봇팔 현실로 성큼
과학동아
l
2018.12.01
장애인을 위한 웨어러블 로봇이 개발되고 있다. 이스라엘의 로봇회사 리워크 로보틱스는
척추
장애로 걷지 못하는 사람들을 위해 ‘리워크 퍼스널 6.0’이라는 웨어러블 로봇을 개발했다. 미국식품의약국(FDA)의 승인도 받았다. 2012년 런던 마라톤대회에서 하반신 마비 환자인 영국의 클레어 ... ...
[미래융합포럼]"인간과 로봇이 공존하기 위한 신기술·새 아이디어 필요"
동아사이언스
l
2018.11.21
연구자를 찾는 만남의 장을 가졌다. 김종배 연세대 교수는 이날 연구주제 발표에서
척추
질환을 막는 정보통신기술(ICT) 기반의 자세교정용 맞춤형 의자에 대한 아이디어를 제시했다. 박동욱 서울시립대 교수팀은 개인별 특화된 신체 신호 측정이 가능한 패치형 스마트 운동 센서에 대한 ... ...
RNA연구 핵심장비 '극저온현미경' 중국 대학 한곳에 6대…한국은 내년에 두 번째 도입
동아사이언스
l
2018.11.05
길을 열고 있다”고 말했다. 기랄데즈 교수는 스페인 출신의 발달생물학자로 어류 등
척추
동물의 배아 발달 조절 과정 분야 전문가다. 그는 “배아에서 마이크로RNA 등 작은 RNA는 엄마로부터 온 정보 일부를 삭제하는 ‘유전자 침묵’ 등의 과정에 관여해 초기 발달 단계를 조절한다”며 “이 과정은 ... ...
[여기에 과학]육지
척추
동물 절반 사라졌다. 인간 때문에…
동아사이언스
l
2018.11.03
WWF)이 지난 31일 ‘2018 살아있는 행성 보고서’를 통해 인간의 활동으로 육지
척추
동물의 종별 개체수가 평균 60%씩 감소한 것을 확인했다고 밝혔습니다. 지난 1970년부터 2014년까지 44년간 포유류와 조류, 파충류를 포함한 4000여 종, 총 1만6700여 개체의 위치 데이터를 추적했습니다. 이들이 인간의 ... ...
국산 정밀 수술로봇 '닥터 허준' 전임상 최종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18.10.24
의료기기로, 끝에 카메라가 달려 있는 경우가 많다. 보통 의사가 환자의 바로 옆에 서서
척추
끝 꼬리뼈 부위에 카테터 끝을 손으로 밀어 넣은 뒤 다른 손으로 스위치를 작동시켜 조종한다. 하지만 신 교수는 환자가 누워 있는 수술대 옆에 없었다. 3m 정도 떨어진 의자에 앉아 화면을 보고 있을 ... ...
치료후 몸 속에서 '스르륵'…저절로 녹는 전자약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8.10.21
수술이 불필요하다. 연구팀은 이 무선 생분해 전자약이 말초신경 손상은 물론 뇌손상 및
척추
손상 등 중추신경의 재활과, 부정맥 치료를 위한 단기 심장박동기에도 응용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2016년 최초로 생분해성 뇌압측정기를 개발해 ‘네이처’에 발표했던 강 교수는 “생분해성 ... ...
아기 새는 '비브라토'로 노래를 배운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0.16
위 사진) 비브라토를 조절하는 신경망도 발견했다. 대뇌 기저핵 부위다. 대뇌 기저핵은
척추
동물의 전뇌에 위치하며 운동이나 학습, 인식 등을 담당한다. 지금까지 명금류에서 노래를 배우게 하는 핵심 부위를 ‘X 영역’이라고만 불러왔는데, 이번 연구 결과 X영역이 대뇌 기저핵의 일부라는 ... ...
"땡큐 슈퍼맨~"…하반신 마비 환자들"두 발로 다시 걷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9.28
자극만 받으면 움직일 수 있다. 연구팀은 앞서 척수가 손상된 쥐를 이용해 외부로부터
척추
에 자극 통해 다리를 움직일 수 있는 실험을 마쳤다. 연구진은 전기자극기를 이용, 뇌에서 보내지는 신호를 증폭시켜 척수로 전해지도록 했다. 전기 자극장치 역시 개인에 맞게 프로그램했다. 신호가 ... ...
[표지로 읽는 과학] 배아세포들은 어떻게 자기 자리를 찾아갈까?
동아사이언스
l
2018.09.23
중배엽전구세포(MPZ)들이 생겨 몸통이 될 중간 부분으로 이동하고 그 빈자리에선
척추
를 형성할 체절 발생전구중배엽세포(PSM)가 생성되는 것을 확인했다. 컴파스 교수는 “밀도가 높아진 세포들의 집합은 서로의 접착력에 이끌려 마치 유체처럼 흐르듯 함께 이동한다”며 “이후 세포가 성숙하면 ... ...
이전
35
36
37
38
39
40
41
42
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