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참고문헌"(으)로 총 410건 검색되었습니다.
- 아버지를 존경해 아버지의 무덤양식까지 따른 아들동아사이언스 l2013.06.26
- 볼 수 있는 조선시대 초기의 석물인데 근래 정릉 신덕왕후 릉에서도 발견되었다. 참고문헌 : 「조선왕릉엔 ‘다빈치코드’ 뺨치는 ‘컬처코드’가…」, 윤완준, 동아일보, 2009.06.29 「[王을 만나다·31]헌릉 (3대 태종·원경왕후)」, 정종수, 경인일보, 2010.04.29 「수렴청정과 세도정치 왕은 ... ...
- 계모도 부러워한 조선의 풍운아 '방원'동아사이언스 l2013.06.24
- 왕자의 난이 평정된 후 방원은 정종의 양위를 받아 조선 제3대 왕으로 즉위했다. 참고문헌 : 「수렴청정과 세도정치 왕은 허수아비 신세였다」, 이창환, 주간동아, 2011.01.24 「조선왕릉엔 ‘다빈치코드’ 뺨치는 ‘컬처코드’가…」, 윤완준, 동아일보, 2009.06.29 이종호 한국과학저술인협회 ... ...
- 부자동네 한 가운데 자리잡은 왕릉동아사이언스 l2013.06.23
- 들어가자마자 정면으로 인릉이 보이지만 우측으로 길을 따라 헌릉부터 알아본다. 참고문헌 : 「수렴청정과 세도정치 왕은 허수아비 신세였다」, 이창환, 주간동아, 2011.01.24 「조선왕릉엔 ‘다빈치코드’ 뺨치는 ‘컬처코드’가…」, 윤완준, 동아일보, 2009.06.29 이종호 한국과학저술인협회 ... ...
- 총명한 세자, 어머니의 영향으로 결국…동아사이언스 l2013.06.17
- 이때부터 경종은 점차 내성적인 성격으로 변모했고 심한 우울증을 앓았다고 전해진다. 참고문헌 : 「의릉개방 10년을 맞이하여」, 김흥년, 문화재청, 2006.09.15. 「[王을 만나다·39]의릉 (20대 경종·계비 선의왕후)」, 이창환, 경인일보, 2010.07.08 이종호 한국과학저술인협회 회장/과학저술가 ... ...
- 죽어서도 나란히 누워있는 왕과 왕비동아사이언스 l2013.06.16
- 위해서 그동안 일반인에게는 공개되지 않았는데 2013년 1월 1일부터 공개하고 있다. 참고문헌 : 「[王을 만나다·23]강릉 (13대 명종·인순왕후)」, 이민식, 경인일보, 2010.03.04 「임꺽정」, 정성희, 네이버캐스트, 2010.07.12 이종호 한국과학저술인협회 회장/과학저술가 이종호 박사(사진) ... ...
- 관리 소홀로 산탄총 세례 받은 왕릉동아사이언스 l2013.05.27
- 바로 이런 흔적을 거울삼아 오히려 유산에 대한 사랑이 더욱 높아질 것으로 생각한다. 참고문헌 : 「[王을 만나다·30]장릉(章陵-추존 원종·인헌왕후)」, 김두규, 경인일보, 2010.04.22 「포근한 매화낙지형 터 大院君 묘제에 맞춰 조성」, 이창환, 주간동아, 2010.09.06 이종호 한국과학저술인협회 ... ...
- 광해군과 정원군의 싸움, 최후의 승자는?동아사이언스 l2013.05.22
- 몰라도 적어도 결론만 본다면 광해군이 정원군의 부인을 위해 궁을 지어준 셈이다. 참고문헌 : 「[王을 만나다·30]장릉(章陵-추존 원종·인헌왕후)」, 김두규, 경인일보, 2010.04.22 「포근한 매화낙지형 터 大院君 묘제에 맞춰 조성」, 이창환, 주간동아, 2010.09.06 이종호 ... ...
- 사도세자 '융릉'의 기준이 된 왕릉동아사이언스 l2013.05.22
- 등 답사가 필요한 경우 파주삼릉관리소에서 3일전에 예약하면 허가를 받을 수 있다. 참고문헌 : 「王을 만나다·38]장릉 (長陵·16대 인조·인열왕후)」, 이민식, 경인일보, 2010.06.24 「反正으로 정권 잡았지만 明나라 쫓다 ‘삼전도 굴욕’」, 이창환, 주간동아, 2010.09.13 ... ...
- 능력없이 자존심만 세우다 무릎 꿇은 王동아사이언스 l2013.05.19
- 외쳤는데, 이 말이 ‘요년석’ 또는 ‘요녀석’이라는 단어의 유래가 되었다고 한다. 참고문헌 : 「王을 만나다·38]장릉 (長陵·16대 인조·인열왕후)」, 이민식, 경인일보, 2010.06.24 「反正으로 정권 잡았지만 明나라 쫓다 ‘삼전도 굴욕’」, 이창환, 주간동아, 2010.09.13 (주)동아사이언스 ... ...
- 어려서는 영특했지만, 파란만장한 삶을 살았던 왕동아사이언스 l2013.05.16
- 있었다. 인조는 항복이라는 표현을 쓰지 않고 스스로 하성(下城)이라 표현했다. 참고문헌 : 「王을 만나다·38]장릉 (長陵·16대 인조·인열왕후)」, 이민식, 경인일보, 2010.06.24 「反正으로 정권 잡았지만 明나라 쫓다 ‘삼전도 굴욕’」, 이창환, 주간동아, 2010.09.13 이종호 ... ...
이전3536373839404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