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기
초기
이름
뉴스
"
일찍
"(으)로 총 598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잠 안 설치려면, 커피 언제 얼마나 마셔야 하나
2018.06.12
밤 11시에도 각성도가 여전히 높아 잠들기 어렵다. 결국 늦게 잠이 들어도 아침에는
일찍
일어나야 하므로 늘 수면부족에 시달리기 마련이다. 그나마 커피 덕에 낮에 정신을 차린다는 말이다. ‘수면 습관 하나 못 바꾸나?’ 아침형인 사람들은 이들의 호소가 핑계처럼 느껴질지 모르겠지만 앞서 ... ...
나도 ‘워라밸’ 하고 싶다? 과학적인 팁 5가지
2018.05.17
인식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아침에 생산성이 좋은 사람은 하루 중 가장 어려운 작업을
일찍
시도해 오후 시간을 수월하게 보내도록 합니다. 반대의 경우에는 오전에 충분한 워밍업과 준비 작업을 통해 오후에 최대한 효율적으로 일을 처리하도록 합니다. GIB 제공 마음의 균형을 위해 ... ...
[곤충을 담다] 봄을 알리는 애호랑나비
2018.05.02
호랑나비(10.5℃)에 비해 애호랑나비는 8.1℃로 같은 과에 있는 다른 나비보다도 훨씬 낮아
일찍
움직이기 시작한다. 애호랑나비의 생체시계. 발육임계 온도는 다른 나비보다 훨씬 낮다 - 홀로세생태보존연구소 제공 번데기 안에서 발육을 시작하는 문턱을 일단 넘어서고 날개돋이에 필요한 온도가 ... ...
[뉴스룸]인공지능이라는 단어의 무게
동아사이언스
l
2018.04.23
얼마 전 평소 친분이 있는 인공지능(AI) 분야 교수 한 사람이 아침
일찍
부터 전화를 해 왔다. 4일(현지 시간) 영국 파이낸셜타임스 등 외신에서 “57명의 해외 과학자가 KAIST와 어떤 공동연구도 하지 않겠다고 선언했는데, 이를 알고 있느냐”는 내용이었다. 이 뉴스는 밤사이 일어났던 뉴스를 ... ...
현생인류의 아라비아 반도 진출 시기 최소 8만5000년 전
동아사이언스
l
2018.04.10
아니라 서남아시아의 다양한 지역에도 진출할 능력이 있었다”며 “아프리카를
일찍
벗어날 수 없을 것이라던 기존 관점은 틀렸다”고 말했다. 인류의 아시아 이주 분야 전문가인 크리스토퍼 배 미국 하와이대 인류학과 교수는 e메일 인터뷰에서 “현생 인류가 아시아에 6만 년 전 ... ...
[2018년 필즈상] 앞으로가 더 기대되는 라이징 스타! 허준이 박사
수학동아
l
2018.03.15
인터뷰에서 밝혔습니다. 이 이야기를 들은 김 교수는 “연구하기에 가장 좋은 공부법을
일찍
터득한 것 같다”며, “학자라면 누구나 글을 읽을 때 저자가 무슨 생각을 하며 한 단어 한 단어를 썼는지 저자와 대화하듯이 그 마음을 헤아려야 한다”고 설명했습니다. 허 박사는 2017년 봄 미국 ... ...
“나에게 시간은 늘 귀중하다” 스티븐 호킹 박사 발언 되짚어 보니
동아사이언스
l
2018.03.14
하회탈 목걸이를 선물한 학생들에게 고맙다는 인사를 하고 있다. - 과학동아 제공 “
일찍
죽을 거라는 예상 속에 내 인생의 대부분을 살았다. 그래서 나에게 시간은 늘 귀중하다“ 2006년 스티븐 호킹 박사가 한 말이다. 그는 1963년 스물한 살의 나이로 전신 근육이 마비되는 루게릭병 ... ...
청소년이 늦잠을 자더라도 깨우지 말아야 하는 이유
2018.03.06
아이일 때는 어른에 비해 시간이 약간 빠르게 맞춰져 있다. 아이들이 대체로
일찍
자고
일찍
일어나는 이유다. 그런데 사춘기에 들어서면 생체시계가 급격히 늦춰져 어른보다도 대략 두 시간이나 늦어진다. 즉 수면호르몬인 멜라토닌이 분비되는 시점이 아이 때에 비해 서너 시간 뒤로 밀린다. ... ...
한국의 봄, 십년 전보다 하루
일찍
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3.02
- Davis 제공 이에 따르면 LA와 위도가 비슷한 한국(북위 43~33도) 역시 10년 전보다 하루
일찍
봄이 찾아올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포스트 연구원은 "봄이 오는 시기가 변해 먹이 등의 환경도 달라져 생물 종에도 큰 영향을 주고 있을 것"이라며 "특히 앞으로 고위도 지방에서 지구 온난화가 심화되면 ... ...
저개발국 쌀 문제 해결하는 '착한' 비료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2.24
만들어 수년간 벼의 성숙도와 생산량을 비교했다. 그 결과 돌연변이 품종이 꽃을 1~2일
일찍
피우는 등 성숙도가 빨라졌으며, 생산성도 30%에서 최소 60%이상 향상된 것을 확인했다. 더 많은 질소를 흡수해 오염 가능성을 줄이면서 생산성도 높이는데 성공한 것이다. 특히 고도가 높은 지역에서 한 ... ...
이전
35
36
37
38
39
40
41
42
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