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이주"(으)로 총 419건 검색되었습니다.
- 인간은 '욕망의 노예'가 아니라 '뇌의 노예'?동아사이언스 l2013.11.03
- ◆고삐 풀린 뇌(데이비드 J. 린든 著, 작가정신 刊) 약물, 음식, 섹스, 운동, 명상, 기도, 자선... 사람들은 이런 것들로부터 ‘쾌감’을 느껴 중독에 빠지기까지 한다. 이처럼 인류가 가진 가장 오래된 욕망, 쾌감을 설명하는 책이 나왔다. 이 책은 쾌감이 우리의 뇌에 보다 근본적으로 어떻게 영 ... ...
- 온도계가 없던 시절, 온도를 어떻게 알았을까?동아사이언스 l2013.10.27
- ◆온도계의 철학(장하석 著, 동아시아 刊) 장하준 영국 케임브리지대 경제학부 교수의 친동생으로도 잘 알려진 장하석 케임브리지대 석좌교수가 2004년 발표한 ‘온도계의 철학’이 번역됐다. 이 책은 우리가 당연한 상식처럼 여기고 있는 과학의 기초 진리가 어떻게 시작됐고, 또 그것을 우리가 ... ...
- 생물학이 삶을 윤택하게 만든다고?동아사이언스 l2013.10.20
- 예스24 제공 ◆친절한 생물학(후쿠오카 신이치 著, 은행나무 刊)=학창 시절을 과학을 배우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한번쯤 물음을 던져 본다. 살아가는 데 있어 별로 필요할 것 같지 않아 보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생물학은 조금 다르다. 우리 몸이 어떻게 생겨나고, 성장하고, 아프고, 병들고, 죽는 ... ...
- “하느님하고 과학자가 싸우면 누가 이기나요?”동아사이언스 l2013.10.13
- ◆세계관의 전쟁(디팩 초프라·레너드 믈로디노프 共著, 문학동네 出) 종교행사에 참여하면 ‘세상은 신이 창조했다’고 가르쳐준다. 영적인 존재를 인정하고, 그 대표주자로 그 종교만의 신을 내세운다. 하지만 과학자들은 우주의 탄생과 인류의 출현을 빅뱅과 진화론으로 설명한다. 맞물려 ... ...
- 우리말 모르는 다문화 며느리도 한국드라마 함께 봐요동아사이언스 l2013.10.09
- 최근 들어 외국인들과 결혼하는 이들이 많아지고 있어, 우리 사회도 이제 다문화 사회로 접어들었다는 평가다. 문제는 이제 막 결혼 ... “다문화 이주민의 문화적 소외감 해소에 도움이 되는 기술”이라며 “이주민이 많은 미국, 유럽 등 해외 선진국에 수출도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 ...
- 인간,컴퓨터,자연... 과연 우리의 미래는?동아사이언스 l2013.10.06
- (주)동아사이언스 제공 ◆미래의 컴퓨터(알랭 쉴 著, 알마 刊)=많은 과학자들은 미래의 컴퓨터가 현재와는 완전히 다른 새로운 재료들로 만들어질 것이라고 예상한다. 그중 대표적인 것이 유전자정보(DNA)를 이용한 바이오컴퓨터와 양자역학을 이용한 양자컴퓨터. 실제로 이 컴퓨터에 대한 연구가 활 ... ...
- 새에 미친 고등학생의 아름다운 자연 소나타동아사이언스 l2013.09.29
- 새와 함께 꿈을 꾸다 - 교보문고 제공 ◆새와 함께 꿈을 꾸다(박진석 著, 자연과사람 刊)=‘새에 미친 남해 촌놈 고등학생 박진석이 펼치는 아름다운 새 이야기’라는 부제가 달려있을 정도로, 고등학교 2학년생인 저자가 고향인 남해에서 서식하고 활동하는 100여 종 이상의 새들을 관찰하고 촬영 ... ...
- 보잘 것 없는 장난감이 어떻게 역사를?동아사이언스 l2013.09.22
- 명성을 얻게 됐다. 물론 많은 이탈리아 시계공들이 오스만투르크 제국으로도 이주해갔지만 오스만투르크가 이들 덕분에 변화됐다는 것은 역사적으로도 들은 바 없다. 해외 우수 인력을 유입해 이들을 통해 국가경쟁력 제고나 경제적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단순히 우수 인력만 받아들이는데 ... ...
- 책장을 장식하던 과학고전, 이번에는 꼭!동아사이언스 l2013.09.22
- ◆ 종의 기원을 읽다(양자오 著, 유유 刊) 과학 뿐만 아니라 인문학 분야에도 지대한 영향을 끼친 다윈의 진화론. 다윈의 진화론을 알기 위해 누구나 한 번쯤은 '종의 기원' 완독을 시도해봤을 것이다. 하지만 500쪽이 넘는 두께와 번역의 문제인지 원래 다윈의 문체 때문인지 읽다가 포기한 이들이 ... ...
- 1분에 3단어씩 쓴 물리학 거장의 자서전 동아사이언스 l2013.09.15
- ◆나, 스티븐 호킹의 역사(스티븐 호킹 著, 까치 刊) 루게릭병에 걸린 21살 환자에게 담당의사는 “2년 정도 더 살 수 있을 것 같다”고 말했다. 이후 환자는 기적적으로 50년을 더 생존해 현대 물리학계의 거성(巨星)이 됐다. 영국 이론물리학자 스티븐 호킹 박사, 그가 192쪽짜리 긴(?) 자서전을 ... ...
이전353637383940414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