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결합
통합
종합
혼합
조합
교류
융해
뉴스
"
융합
"(으)로 총 3,975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이언스게시판] 과학기술전문사관 석사 제1기 후보생 모집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1.09
로버 등의 연구시설을 둘러보고 연구 현황을 공유했다. 핵
융합
연에서는 국내 핵
융합
기술 현황과 계획을 듣고 달 표면의 주요 자원 중 하나인 헬륨-3을 이용한 발전 가능성에 대한 의견을 교환했다. 지질연에서는 달 자원 추출 연구시설을 둘러보고 한국형 달 탐사선 '다누리'에 실려 달 궤도에서 ... ...
이노스페이스·스페이스린텍·인터그래비티, 우주의학 사업화 '맞손'
동아사이언스
l
2025.01.09
궤도 수송선 및 지표면 회수 관련 기술 등 세 기업의 독자적이고 차별적인 기술을
융합
해 우주제조 및 회수에 필요한 요소기술의 전주기를 완성하고 상업화를 위한 협력을 본격화할 계획이다. 스페이스린텍은 최근 제2차 한국형 ARPA-H 프로젝트의 ‘의료 난제 극복 우주의학 혁신의료기술개발’ ... ...
'메타뉴모바이러스' 입원환자 늘어…"흔한 현상으로 우려 안해도 돼"
동아사이언스
l
2025.01.08
5.7%(28명)로 뒤를 이었다. HMPV 감염증은 급성호흡기감염증의 일종이다. 호흡기세포
융합
바이러스(RSV)와 바이러스 구조가 유사하다. 바이러스가 호흡기 비말을 통해 직접 전파되거나 감염된 사람의 분비물 또는 오염된 물건 접촉으로 간접 전파된다. 감염되면 발열, 기침, 가래, 콧물, 코막힘 등 ... ...
박종래 UNIST 총장 "UNIST, '울산의 스탠퍼드’로 만들 것"
동아사이언스
l
2025.01.07
세 가지 부문에서 혁신 전략을 제시했다. 교육 부문에서는 “학생들이 창의적 통찰력과
융합
적 연결력을 갖춰 글로벌 무대에서 활약하도록 인공지능(AI) 활용 능력과 영어 토론 등 필수 역량을 끌어올리겠다”고 말했다. 연구 부문에서는 기초와 응용 연구를 균형 있게 진전시키고 지역 산업과 ... ...
[인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동아사이언스
l
2025.01.03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장급 전보 △디지털
융합
촉진과장 정재훈 ...
[인사]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동아사이언스
l
2025.01.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초지능창의연구소장 김영길 △지능로봇시스템연구실장 유원필 △모빌리티AI
융합
연구실장 이래경 △엣지컴퓨팅응용서비스연구실장 김재인 ...
KIST, AI·반도체·의료 등 혁신기술 7개 CES 전시
동아사이언스
l
2025.01.03
시스템'으로 차량·이륜차 무인단속 기술을 시험하는 모습. KIST 제공 바이오·메디컬
융합
연구본부 바이오닉스연구센터는 이병철 책임연구원이 개발한 '나노-컬럼(Nano-Column) CMUT를 이용한 일회용 착용형 초음파 패치'를 소개한다. CMUT는 초음파 신호를 송수신하는 장치다. 상용기술 대비 성능이 3배 ... ...
[사이언스게시판] 2024년 한국핵
융합
에너지연구원 '자랑스런 KFE人' 홍용철 책임연구원 선정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1.02
한국핵
융합
에너지연구원 책임연구원. 한국핵
융합
에너지연구원 제공 ■ 한국핵
융합
에너지연구원은 2024년 한 해 동안 연구원 발전에 탁월한 공적을 세운 직원에게 수여하는 ‘자랑스런 KFE人 상’에 홍용철 책임연구원을 선정하고 2일 개최한 시무식에서 시상했다고 밝혔다. 홍 책임연구원은 ... ...
[인사]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동아사이언스
l
2025.01.02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극한물성소재연구센터장 장호성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전자
융합
소재연구센터장 손정곤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가치혁신팀장 한귀향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학연운영팀장 원길연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총무복지팀장 김성현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인사경영팀장 서보라 ... ...
홍합에서 영감 얻은 폐암 치료용 나노입자
동아사이언스
l
2025.01.02
교수, 정연수 화학공학과 박사 연구팀이 조윤기 경북대 첨단기술
융합
대학 의생명
융합
공학과 교수 연구팀과 홍합에서 유래한 접착단백질로 폐암 치료용 흡입형 생체 나노입자를 개발했다고 2일 밝혔다. 홍합 접착단백질 기반 흡입형 점막 접착성 나노 항암치료제 모식도(위)와 폐암 동물 ... ...
이전
35
36
37
38
39
40
41
42
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