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방사성동위원소
동위원소
방사성물질
물질
뉴스
"
방사성
"(으)로 총 952건 검색되었습니다.
2만4000년간 얼어있다 부활한 미생물, 번식도 성공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6.08
강 인근 영구동토층에 3.5m 깊이의 구멍을 뚫어 채취한 시료에서 담륜충을 확보한 뒤
방사성
탄소연대 측정법을 이용해 시료의 나이를 조사했다. 그 결과 영구동토층은 2만3960~2만4485년 전에 형성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또 담륜층의 게놈을 해독한 결과 아디네타(Adineta) 속에 속하며, 현재 ... ...
연구용원자로 '하나로' 3년 만에 정상 재가동
동아사이언스
l
2021.06.03
연구를 다시 활성화할 계획”이라며 “하나로를 이용해 생산해오던 의료용 및 산업용
방사성
동위원소의 공급 차질로 재가동을 손꼽아 기다리던 산업계․의료계의 수요도 충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 ...
"프랑스, 의존 낮추지만 원전은 탄소중립 핵심수단"…내년 고준위방폐장 ‘시제오’도 착공
동아사이언스
l
2021.06.02
차성수 한국원자력환경공단 이사장은 “재검토위원회 활동이 종료되면서 조만간 고준위
방사성
폐기물 처리장에 대한 논의에 시동이 걸릴 것 같다”며 “프랑스의 경험을 참고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차 이사장은 또 “한국은 미래세대에 부담을 주지 않는다는 기본 원칙 하에 원자력 ... ...
방사능 견디는 복합소재 센서 국내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1.06.02
온도 차이를 감지할 수 있어 센서로도 활용할 수 있다. 연구팀은 소재를 24시간동안
방사성
물질인 코발트-60으로부터 나온 감마선 20킬로그레이(kGy, 방사선 에너지가 매질에 흡수된 정도를 나타내는 단위)를 쪼여도 소재에 변화나 이상이 없음을 확인했다. 이는 사람이 맞으면 치명적인 수준의 ... ...
다이아몬드가 밝힌 아프리카 땅의 나이
과학동아
l
2021.06.02
광산에서 채굴한 다이아몬드 10개에서
방사성
원소인 토륨과 우라늄을 이용해
방사성
연대측정을 하고, 헬륨의 희귀동위원소인 헬륨-4의 비율을 측정했다. 이들을 분석한 결과 이 지역에서 발견된 다이아몬드의 화학 조성이 크게 세 번 변했음을 확인했다. 먼저 가장 오래된 다이아몬드에서는 ... ...
노벨상 4번 받은 중성미자…미·일 투자 더하는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21.05.31
구축을 시작했다. 가미오카 광산 지하에 지름 74m, 높이 60m의 거대한 탱크를 설치한 다음
방사성
물질 등 불순물을 없앤 깨끗한 물 26만t(톤)을 채워 우주에서 날아오는 중성미자를 검출할 계획이다. 중성미자는 ‘유령 입자’로 불릴 만큼 다른 물질과 반응하지 않는다. 현재 기술로는 지구를 ... ...
[과기원은 지금]원자력연-KAIST
방사성
물질 흡착제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05.27
한국원자력연구원 연구원과 최민기 KAIST 교수팀은 27일 우라늄 핵분열 과정에서 생성되는
방사성
세슘과 스트론튬을 골라 제거하는 '황-제올라이트 복합' 흡착제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개발된 흡착제는 세슘과 스트론튬 제거에 쓰이는 기존 흡착제 ‘차바자이트 대비 각각 3.2배, 7.1배 흡착량이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어설픈 전문가들의 억지에 흔들리는 사회
2021.05.26
일이 벌어질 것이라는 전문가들의 호들갑스러운 발언이 국민을 혼란스럽게 만들고 있다.
방사성
삼중수소가 바다 밑으로 ‘침전’되어서 우리가 즐겨먹는 해조류·갑각류·광어·넙치가 오염된다는 서울대 원자핵공학과 서균렬 교수의 발언이 대표적이다. 삼중수소를 희석시켜도 ‘총량’은 변하지 ... ...
사용후핵연료 재활용 기술 한미 공동보고서 공개 '초읽기'…연구성과 따로 계속 추진 여부 따로 가나
동아사이언스
l
2021.05.18
를 가동할 수 있는 기술이다. 사용후핵연료를 전기 분해하면 나오는 세슘과 스트론튬 등
방사성
원소들을 별도로 처리하고 남은 플루토늄·아메리슘·큐륨 등 우라늄보다 질량이 무거운 초우라늄 원소를 SFR에서 태워 재활용한다. 파이로프로세싱은 이론상 사용후핵연료 부피를 20분의 1 수준으로 ... ...
지구의 거대한 지각판 36억년 전 처음 움직이기 시작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5.17
다른 빛을 띠는 지르콘에는 우라늄 등 소량의
방사성
동위원소가 들어있다. 동위원소의
방사성
물질의 양이 절반으로 줄어드는 반감기를 이용해 지르콘의 생성 연대를 측정할 수 있다. 풍화돼 없어지지 않는 한 잘 변질되지도 않아 생성 당시 정보를 그대로 담고 있다. 연구팀은 호주 ... ...
이전
35
36
37
38
39
40
41
42
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