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media
매체
Media
뉴스
"
미디어
"(으)로 총 2,809건 검색되었습니다.
뇌 없어도 과거 경험 학습하는 해파리
동아사이언스
l
2023.09.25
없어도 반복된 자극으로부터 학습 행위가 가능하다는 것이 밝혀진 상자해파리. 위키
미디어
제공 인간이나 생쥐 등이 가진 뇌가 없는 해파리도 과거의 경험을 학습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정보를 처리하는 중심기관인 뇌가 없어도 과거의 경험을 바탕으로 생존을 위협하는 장애물을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감염병 피해, 크게 줄어들고 있다
2023.09.24
말라리아 성충이나 유충을 죽이지는 못하는 것이 한계라 할 수 있다. 살바르산 606. 위키
미디어
제공 감염병을 치료할 수 있는 약으로 처음 개발한 것은 살바르산 606이다. 1910년에 독일의 에를리히(Paul Ehrlich)가 개발한 이 약은 화학적으로 합성하여 얻은 약이므로 최초의 화학요법제에 해당한다. ... ...
인류 식량 파수꾼 호박벌 실종, 이제 시작일 뿐
동아사이언스
l
2023.09.18
호박벌의 75%는 2080년까지 서식지의 최소 30%를 잃을 것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위키
미디어
제공 유럽 호박벌이 향후 40~60년 내 더 심각한 멸종 위기에 처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유럽에 서식하는 호박벌 46종 중 75%가 2080년에 이르러 사라질 수도 있다는 것이다. 지금도 세계 곳곳에서 ... ...
인간 눈처럼 색 구분하는 '인공 망막' 구현
동아사이언스
l
2023.09.17
든 스페로이드로 시각적 임상을 거치지 않고도 신호의 전달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위키
미디어
제공 사람의 눈과 같은 수준의 시각 기능을 가진 '인공 망막'을 구현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김재헌·송현석 센서시스템연구센터 책임연구원 연구팀과 김홍남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오랜 이론 무색한 '기후 위기' 우려
2023.09.16
많이 생각하게 되고 쉽게 떠오르는 만큼 이를 ‘사실’로 인지하게 된다는 것이다. 각종
미디어
에서 기후 위기에 대한 언급이 많아진 것이나 직접 체감하게 된 빈도가 늘어난 것이 기후 위기를 더 현실로 느끼게 했을지도 모르겠다. 연구자들은 많은 사람들이 이런 현실을 직면하고 분노와 절망 ... ...
태양의 심술 '코로나' 실체 규명에 한걸음 더 가까이
동아사이언스
l
2023.09.15
코로나는 개기일식일 때 쉽게 관측된다. 둘레에서 빛나는 부분이 코로나. 사진 출처 위키
미디어
. 태양은 지구와 1억5000만km나 떨어진 곳에 있지만 직접적인 열과 빛을 포함해 지구 환경에 막대한 영향을 미친다. 열과 빛 외에 지구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태양 대기의 가장 바깥에 있는 ... ...
"기초과학 경쟁력 좌우 중이온가속기, 예산 삭감에 내년 반년만 가동"
동아사이언스
l
2023.09.14
기초과학연구원(IBS) 희귀핵연구단 단장은 14일 서울역 공항철도 회의실에서 열린 과학
미디어
아카데미에서 "최근 정부는 주요 연구기관의 R&D 예산을 16% 정도 감축했는데, 중이온가속기 사업에도 동일한 수준의 감축이 이뤄진다면 내년 한 해 라온은 약 6개월 정도만 가동이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 ...
"머스크의 'X', 가짜뉴스 퍼나르는 '트윗 봇' 방치"
동아사이언스
l
2023.09.11
중 확산된 가짜 뉴스 중 일부는 300만 건 이상의 조회수를 기록한 것으로 드러났다. '
미디어
오피니언19'라는 이름의 트윗 봇은 하루 평균 662회, 2분에 1개씩 트윗을 올리기도 했다. 그레이엄 교수는 봇 계정을 구분하는 방법에 대해 "토론과 인터뷰를 논하는 계정 중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내용, ... ...
한우 표준유전체 구축…한우만 갖는 특성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23.09.11
농생명공학부 교수 연구팀이 처음으로 한우의 표준유전체를 구축했다. 위키
미디어
제공. 한우를 포함한 아시아 소(Bos taurus)는 그동안 공개된 표준유전체가 없었다. 서울대는 김희발 농생명공학부 교수 연구팀이 최초로 한우의 표준유전체를 구축했다고 11일 밝혔다. 연구팀은 척추동물 유전체 ... ...
물고기가 작아진다..."이미 시작된 '인류세'의 증거"
동아사이언스
l
2023.09.11
접어들면서 어류를 포함한 생물종의 크기가 작아지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위키
미디어
2000년 네덜란드의 대기과학자 파울 그뤼천은 인간의 활동이 지구 생태계와 환경에 영향을 미쳐 지구에 변화가 일어나는 시기를 두고 '인류세'라는 이름을 처음 붙였다. 내년 부산에서 열리는 ... ...
이전
35
36
37
38
39
40
41
42
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