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문헌"(으)로 총 588건 검색되었습니다.
- [정신과 전문의의 신경인류학 에세이] 2016년 당신은 ‘행복’했습니까?2016.12.31
- 이런 부분을 반영하지 못하지만 말입니다. 2016년, 모두 수고 많으셨습니다. ※ 참고문헌 행복의 역습: 행복강박증 사회가 어떻게 개인을 병들게 하는가(2014), 로널드 W. 드워킨 지음/ 박한선, 이수인 옮김, 아로파(서울) ※ 필자소개 박한선. 성안드레아 병원 정신과 전문의/ 신경인류학자. ... ...
- [지뇽뇽의 사회심리학 블로그] 바빠 죽겠는데, 남을 도우라고?2016.12.27
- 있을 것이다. 주려 했다가 더 많이 얻는 연말을 체험해보는 것도 좋을 것 같다. ※ 참고문헌 Aknin, L. B. et al. (2013). Prosocial spending and well-being: Cross-cultural evidence for a psychological universal.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04, 635-652. Thoits, P. A., & Hewitt, L. N. (2001). Volunteer work and well-being. Journal of Health and ... ...
- 발로 자궁을 뚫은 태아팝뉴스 l2016.12.27
- 뚫었다. 프랑스의 한 의사가 발견한 이 사례는 극히 드문 것으로 알려졌다. 지금까지 문헌에 26회의 사례가 기록되어 있을 뿐이다. 물론 33살 산모에게는 아주 위험한 일이었다. 자궁 파열은 과다 출혈 등의 문제를 일으켜 생명까지 앗아갈 수 있었다. 임신 22주 때 자궁벽은 약 2.5cm가량 찢겨 있었다. ... ...
- [카드뉴스] 눈결정에 대한 궁금증 4가지 동아사이언스 l2016.12.25
- Q1. 눈결정을 처음 연구한 사람은 누구인가요? 눈결정을 언급한 가장 오래된 문헌은 기원전 135년 한나라의 학자 한영의 ‘한시외전’입니다. “풀과 나무의 꽃은 보통 잎이 다섯 장(따라서 오각형)이지만 눈은 항상 육각형이다”라고 쓰여 있죠. 반면 유럽에서는 1555년에야 눈결정에 대한 언급이 ... ...
- [지뇽뇽의 色수다] (ep5) 성에 대한 이중 잣대2016.12.25
- 많은 결과와 해석들이라는 생각이다. 우리 안의 성적 이중 잣대는 어떨까? ※ 참고문헌 Rudman et al., (2013). What motivates the sexual double standard? More support for male versus female control theory.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39, 250-263. ※ 필자소개 지뇽뇽. 연세대에서 심리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과학적인 ... ...
- 슬픔을 피하지 않는 사람이 더 행복한 이유2016.12.20
- 수준에 머물러 있다면 그 이상의 풍부한 감정들을 발견해보도록 하자. ※ 참고문헌 Kashdan, T. B., Barrett, L. F., & McKnight, P. E. (2015). Unpacking emotion differentiation; transforming unpleasant experience by perceiving distinctions in negativity. Current Directions in Psychological Science, 24, 10–16. Quoidbach, J., Gruber, J., Mikolajczak, M., Kogan, A., ... ...
- 과학자가 조류독감(AI) ‘과도하게’ 신경쓰는 이유는?2016.12.19
- 가축 스스로 감염병에 대한 저항력을 가지게 하는 것이다. - GIB 제공 ※ 참고문헌 박한선(2015), 오마이미래-미래강연 2035, 인류와 전염병, EBS 박한선(2015), 시사 기획 메르스, 의료인류학으로 본 메르스, 과학동아. 박한선(2015), 메르스와 전염병 인류학, 생명윤리포럼 제 4권 제 1호. Wolfe, Nathan(2013), ... ...
- [지뇽뇽의 色수다] (ep4) ‘관계’, 몇 번 하는게 제일 행복할까?2016.12.18
- 관계 횟수’를 찾는 것이 중요할 것이라고 보고 있다. 찾아보자, 적당한 횟수. ※ 참고문헌 Killingsworth, M. A., & Gilbert, D. T. (2010). A wandering mind is an unhappy mind. Science, 330, 932-932. Muise, A., Schimmack, U., & Impett, E. A. (2016). Sexual frequency predicts greater well-being, but more is not always better. Social Psychological and Personality ... ...
- [지뇽뇽의 사회심리학 블로그] #촛불시위 승리 원동력은? ‘분노’ vs ‘자부심’?2016.12.13
- 나와 주변 사람들 모두 자랑스럽다며 서로 등을 두들겨주는 것도 좋을 것이다. ※ 참고문헌 Tausch, N., & Becker, J. C. (2013). Emotional reactions to success and failure of collective action as predictors of future action intentions: A longitudinal investigation in the context of student protests in Germany. British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52, 525-542. ... ...
- 위에서 시키는 대로 했을 뿐인데, 책임지라고 합니다.2016.12.12
- 있는 것처럼, 서쪽 해안에는 책임의 여신상이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 참고문헌 Arendt, Hannah (1971), Eichmann in Jerusalem: A Report on the Banality of Evil. Viking Press. Sartre, Jean-Paul (2012), Being and Nothingness. Open Road Media. Iacovou, Susan, and Karen Weixel-Dixon (2015), Existential Therapy: 100 Key Points and Techniques. Routledge. Milgram, ... ...
이전35363738394041424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