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근절
절멸
몰살
박멸
제거
절제
말살
뉴스
"
멸종
"(으)로 총 862건 검색되었습니다.
기후변화에 맞선 용감한 십대 툰베리, 네이처가 뽑은 올해 인물
동아사이언스
l
2019.12.18
IPBES) 보고서를 통해 지구상 산림이 매년 650만ha씩 사라지고 동식물 100만 종이
멸종
위기에 처했음을 알린 산드라 디아즈 스페인 코르도바국립대 생태학과 교수 등을 올해의 과학계 주요 인물로 꼽았다. 이외에도 라디오파를 관측하는 차임망원경으로 고속전파폭발(FRB)을 관측한 빅토리아 카스피 ... ...
작았던 천연기념물 애벌레, 과학관에서 성체로 탈바꿈
동아사이언스
l
2019.12.15
한국에서는 1968년 곤충 가운데 최초로 천연기념물 218호로 지정됐으며, 환경부가 지정한
멸종
위기 야생동물 1급이다. 현재는 경기도 포천시와 남양주시에 걸쳐 있는 광릉숲이 주 서식지로 알려져 있다. 광릉숲 이외의 자연서식지는 1969년 이후 발견된 적이 없었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집채 만한 대왕고래도 몸집에 한계가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2.15
많은 먹이를 먹고 에너지를 소비하는지 관찰한 것이다. 원래 이 연구를 시작한 목적은
멸종
위기에 놓인 고래 종을 보호하기 위해서다. 연구팀은 고래에게 단 표지로 얻은 데이터를 수거해 에너지효율(먹이로부터 얻은 에너지를 실제 소비한 에너지로 나눈 값)을 계산했다. 그 결과 몸집이 큰 ... ...
인류세 전문가 "지구는 되돌릴 수 없는 임계폭풍을 눈 앞에 두고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2.10
상승률은 홀로세 기간의 7000년 평균기온 상승률보다 170배 높다”며 “그 외에도 생물종
멸종
등 전체 척추동물 가운데 야생동물의 비중 감소 등 다양한 요인이 최근을 홀로세와 구분하는 명백한 인류세라고 증명하고 있다”고 말했다. 예를 들어 지상 척추동물을 중량으로 비교해 보면 소와 닭, ... ...
[미래융합포럼]‘인간중심’·‘난제도전’ 미래융합연구 새 방향 확인했다(종합)
2019.12.04
KIST) 책임연구원은 “과학기술은 경제 발전과 산업 성장을 가져왔지만 생물 대
멸종
이나 대기오염 등 문제들을 야기한 것도 사실”이라며 “과학기술의 핵심 가치를 인간 중심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같은 컨셉트를 주제로 이어진 구체적인 연구과제 기획을 맡은 박성민 포스텍 ... ...
[미래융합포럼]“미래 과학기술은 경제 가치보다 사람 앞세워야”
동아사이언스
l
2019.12.04
그러나 산업혁명 이후 200~300년 동안 부와 새로운 것들을 우리 사회에 가져왔지만 대
멸종
, 대기오염(미세먼지), 인공지능(AI) 등 인류에 위협이 되는 부정적인 변화도 가져왔다는 게 오 책임연구원의 지적이다. 시장조사업체 가트너의 2020년 10대 전략 기술 트렌드 분석 내용도 소개했다. 오 ... ...
일제 때 씨 마를뻔한 '토종 삽살개' 복제견 2세 얻었다
연합뉴스
l
2019.12.03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그러나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그 수가 급격히 줄어들어 현재는
멸종
위기에 있다. 김민규 교수는 "시대와 상황에 맞춰 오랜 발전을 거듭한 동물 유전자 복제 기술 덕분"이라며 "생명과 과학의 만남으로 일궈낸 결과인 만큼 연구를 지속해서 이어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 ...
아니, 너는 30년 전
멸종
한 쥐사슴?
과학동아
l
2019.12.03
“보전학자들과 지역사회 구성원들이 함께 노력해야 쥐사슴이 또 다시
멸종
하는 사태를 막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조사 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생태와 진화’ 11월 4일자에 발표됐다. doi: 10.1038/s41559-019-1027-7 ... ...
대왕고래 심장♥소리 듣기 위한 몬터레이灣 해상 추격전
동아사이언스
l
2019.11.29
0마리가 남는 것으로 추산된다. 골드보겐 교수는 “환경 변화에 취약한 대왕고래와 같은
멸종
위기종의 특성을 연구하면 보존과 관리에 큰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말했다 ... ...
"포유류의 귀, 턱 움직임 때문에 진화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1.28
중국 랴오닝성의 1억 2000만 년 전 중생대 백악기 지층에서 다구치목(쥐와 비슷한
멸종
포유류군)에 속하는 신종 화석 포유류 ‘제홀바타르 키엘라나이’를 발굴하고, 이를 바탕으로 귀의 진화 과정을 일부 밝혀 국제학술지 ‘네이처’ 27일자에 발표했다. 제홀바타르 키엘라나이는 몸무게 약 50g ... ...
이전
35
36
37
38
39
40
41
42
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