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다양화
다채성
복합성
뉴스
"
다양성
"(으)로 총 925건 검색되었습니다.
‘형광의 연금술사’ 장영태 포스텍 교수, ‘앙게반테 케미’ 자문위원 선임
동아사이언스
l
2021.08.12
집행위원회는 학술지의 국제적 위상이 높아지면서 지역, 경력, 성별 등 연구자의
다양성
을 반영하고 독자와의 소통을 강화하기 위해 장 교수를 포함해 전 세계 37명을 신임 국제자문위원단으로 선임했다. 자문위원은 학술지 편집에 관한 심의와 자문을 맡는다. 장 교수는 세포 내에서 표적 단백질을 ... ...
공룡 대멸종 때 동식물 75% 사라졌지만 상어는 큰 피해 안 봐
연합뉴스
l
2021.08.11
대멸종 이후 고제3기 초기에 지느러미를 가진 어종이 급격히 늘어나는 것과 때를 같이해
다양성
이 증가한 것으로 분석됐다. 연구팀은 이런 양상이 네 발 달린 파충류만 잡아먹던 최상위 포식 상어종은 소멸하고 경골어류를 먹잇감을 삼는 상어종은 번성하는 생태적 변화를 반영하는 것일 수 ... ...
공룡시대 호주 내해 용처럼 누빈 날개폭 7m 익룡 화석 발굴
연합뉴스
l
2021.08.09
발굴되는 익룡은 드문 편인데, 타푼은가카의 발굴은 호주 대륙에 존재했던 익룡의
다양성
을 이해하는 데 크게 도움이 되는 것"이라고 했다. 논문 공동저자이자 리처즈의 지도교수인 스티브 솔즈베리 박사는 타푼은가카의 아래턱에 달린 큰 볏에 놀라움을 표시하면서 이 볏이 상악골에도 있었을 ... ...
매미 허물 사진만으로 AI가 매미 종류 구분…연내 프로그램 개발
연합뉴스
l
2021.08.09
학술대회에서 소개된다. 관련 프로그램은 연말에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의 생물
다양성
' 누리집(species.nibr.go.kr)에 공개될 예정이다. 최종원 국립생물자원관 생물자원활용부장은 "이번 연구를 매미뿐만 아니라 동정이 어려운 자생생물에 적용해 종 동정 표준 본보기(모델)로 자리매김하도록 ... ...
'아마존의 비명'…동식물 1만여종 멸종 위기·탄소 배출원 전락
연합뉴스
l
2021.07.15
브라질대학교의 메르세지스 부스타만치 교수는 SPA 성명을 통해 과학은 기후변화와 생물
다양성
감소 등을 포함한 복합적 위기로 인류가 되돌릴 수 없는 재앙적 위기에 당면해 있다는 점을 보여주고 있다면서 "이를 바꿀 기회의 창은 좁다"고 했다. 그러면서 "아마존의 운명은 지구 위기 해결의 핵심 ... ...
[대학을 지식전쟁의 최전선으로]④ 대학연구를 팀플레이로 도약시키자
2021.07.06
구성이 보편적인 상식이 될 때 국내 과학기술계는 어떤 위기에도 대응할 수 있는 연구의
다양성
과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차선신 이화여대 화학나노과학과 교수 ※필자소개 차선신 이화여대 화학나노과학과 교수. 서울대 미생물학과를 졸업하고 포스텍에서 석·박사학위를 받았다. ... ...
소행성 충돌 1000만 년 전부터 공룡 멸종 시작됐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7.02
변화에 적응해 살아남는 종이 줄어들고 결국 멸종에 이르기 쉽다”며 “공룡은 종
다양성
이 떨어진 상태에서 소행성 충돌이라는 결정적 한 방에 완전히 멸종한 셈”이라고 말했다. 고생물 학계에서는 6000만~6500만 년 전 인도 데칸고원의 화산 폭발로 지구 기후가 극적으로 변했고, 그 ... ...
호암상 받은 조경현 뉴욕대 교수, 어머니 이름 딴 장학금 1억원 KAIST에 쾌척
동아사이언스
l
2021.06.30
지원금’ 등으로 기부한 바 있다. 조 교수는 “전산학 분야에서부터라도 시작해
다양성
과 대표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작은 행동이라도 우선 실천해야 한다는 믿음으로 꾸준하고 적극적인 기부에 참여하고 있다”라고 소신을 밝혔다 ... ...
[대학을 지식전쟁의 최전선으로]②변화와 위기의 시대, 대학은 어떻게 변해야 할까
2021.06.28
있어 연구와 교육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하지만, 한국의 경제 규모와 지식의
다양성
을 고려한다면 이런 방식으로 운영해야 하는 대학이 더 많아야 한다. 더 많은 대학이 지식 창출을 바탕으로 하는 교육이 가능하도록 정부가 인프라와 제도를 정비하고 재정 지원에 나서야 한다. 이미 ... ...
민통선 이북지역에 우리나라 전체 생물종 16.1% 분포
연합뉴스
l
2021.06.17
두루미·흰꼬리수리·새호리기·벌매 등 다수의 멸종위기종 조류가 서식하고 생물종
다양성
이 풍부했다. 화천의 고둔골 경로는 지형·멸종위기종 등 11개 지표에서 '상'으로 평가돼 보호 가치가 가장 높은 지역으로 평가받았다. 이중 화천 고둔골 등 6개 경로는 군사시설보호구역 해제 등으로 향후 ... ...
이전
35
36
37
38
39
40
41
42
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