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쌔끼
밧줄
자식
끈
어린 짐승
꼬마
삭조
어린이과학동아
"
새끼
"(으)로 총 1,454건 검색되었습니다.
새는 어떻게 죽을까요?(고양이의 비밀/새 사체 주의)
기사
l
20211214
어떤 고양이는 쥐만 잡았다고 합니다... 이유4 버드스트라이크(유리충돌) (출처:한겨레) 이 사진은 유리창에 부딪혀 죽은
새끼
박새입니다. 유리창에 부딪히면 뇌진탕 등 문제가 많이 일어납니다.. 정신차리고 날아가는 새들도 있지만 대부분 죽습니다. 환경부가 이런 새들을 조사했는데요. 연간 800만 마리가 되는 것을 알게되 ...
암컷 해마 vs 수컷 해마
포스팅
l
20211212
해양박물관에서 해마를 봤어요!근데 배가 빵빵한 게 암컷이 알을 품는 건지수컷이
새끼
를 품는 건지 구분이 안가요!암컷인지 수컷인지 정말 궁금합니다!(알려주실 분!!!!!) ...
백와달팽이(아프리카 왕 달팽이)에 대해서
기사
l
20211210
낳는 것 같습니다. 알이 부화하는데는 25일 정도 걸리는 것 같습니다. (위 사진은 제 달팽이가 알을 낳고 찍은 사진이고,아래는
새끼
달팽이의 사진입니다.) (사진은 모두 제가 찍었습니다.)이상입니다. 지금까지 장연원기자였습니다. 감사합니다 ... ...
지구온난화때문에 2100 황제펭귄이 없어진다!?
기사
l
20211201
이번 년도 여름도 아주 더웠죠? 빙하가 사라지고 있어요. 그러면 남극, 북극에 사는 동물들은 서식지, 먹이등을 구하기 어려워져요. 또
새끼
들을 낳기가 힘들어졌어요. 온도가 1.5도씩 증가한다고해요. 2100 빙하의 5% 유실되서 황제펭귄에 서식지가 19%까지 될 수도 있다. 그럼 다시 회복 할 수가 있을까요? 아니죠 다시 회복하기 힘들겠죠? ...
곰을 만났을 때 죽은 척을 하면 살 수 있을까?
기사
l
20211128
척은 x 만약에 곰이 배부른 상태라면 죽은 척을 했을 때 살아남을 수도 있다고해요! 하지만 그 확률도 희박하다고 해요. 또 근처에
새끼
곰이 있다면 다른 동물이 시체 냄새를 맡고 접근 하는 것을 막기 위해 시체를 다른 곳으로 치워 버릴 수도 있다고 하는데요. 그 과정에서 곰의 힘을 이기지 못하고 죽게 되는 것이라고 해요. 또 곰은 호기심이 많 ...
숲속수사대 - 211128 - 1
탐사기록
l
20211128
겨울인데 분수 연못에 빠진
새끼
두꺼비 2마리를 발견해서 구해주고 손으로 몸도 녹여 준다음 풀어 줬어요 ...
50문 50답
포스팅
l
20211125
삼국지 세계사 그런 것들은 싫어해요! 38.좋아하는 tv 프로그램 / 선을 넘는 녀석들이랑 차트을 달리는 남자들 또 미운 우리
새끼
좋아합니당! 전 예능을 많이 좋아해염! 39. 캠핑vs호텔 / 전 캠핑! 저의 가족이 캠핑을 많이갔고 좋아하니까! 40.힘들다..... 41.코로나 끝나면 하고 싶은 것들! / 친구들과 밤 새면서 파자마 파뤼하기 ...
오리너구리는 어떻게 지금까지 생존했을까?
기사
l
20211116
더 잘 생존할 수 있었습니다. 단공류는 수중 환경에 적응하면서 다시 개체 수를 늘려나가기 시작했습니다. 유대류는 물에 들어가면
새끼
가 물에 빠지기 때문에 물 속 생활은 엄두도 못내지만, 알로 번식하는 오리너구리에게는 어렵지 않은 일이였습니다. 이 기사로 오리너구리에 대해 많은 사실을 알게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다음에는 '진딧물을 좀비로 ...
가장 키우기 쉬운 도마뱀은 무엇일까?
기사
l
20211116
작은 사육장에서도 키울수 있고 밀웜이나 귀뚜라미, 애벌레같은 벌레를 가릴것 없이 다 먹어서 그렇습니다. 또 번식도 쉬워서 금세
새끼
를 볼 수 있기까지 하다니..!!((암수 필수) 게다가 귀여운 외모까지 가져서 애완 파충류중 가장 유명한 도마뱀이 되었습니다. 귀엽고 다정한 레오파드 게코를 추천합니다! 2.비어디 드래곤 비어디 드래곤은 턱수염 ...
[쥬라기 월드-6] 육중한 용각류의 왕, 아르헨티노사우루스
기사
l
20211114
그 주위를 둘러싼 뒤, 수컷 아르헨티노사우루스들이 무리의 맨 바깥쪽을 감싸는 역할을 했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따라서
새끼
를 보호하고 오래 생존할 수 있게 되는 것이죠. 하지만 아르헨티노사우루스는 그다지 오래 생존하지 못했습니다. 이 이유에 관해서는 여러 설이 있습니다. 첫 번째는 '식량부족설' 입니다. 아르헨티노사우루스들이 얼마 있지도 않은 ...
이전
35
36
37
38
39
40
41
42
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