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백성
민중
인민
민족
국가
시민
공민
어린이과학동아
"
국민
"(으)로 총 603건 검색되었습니다.
리더쉽을 배우다 - 국회의사당 탐방기
기사
l
20180621
되어 있습니다. 5) 국회의원석 300명의 국회의원이 이 자리에 앉아 발언을 듣고 투표를 합니다. 6) 방청석 국회의사당에 방문한
국민
의 자리입니다. 회의가 열리면 방청할 수 있고 회의가 없을땐 참관해설사가 안내와 함께 본 회의장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 회의장을 저도 살펴봤는데 완전 큽니다. 7) 로턴다홀 바닥은 신라의 기와 모양으로 ...
6월 6일 현충일
기사
l
20180530
좋겠네요. 저도 6월 6일 날 꼭 오전 10시에 1분간 묵념수행을 해보고 싶네요! 우리나라 충신의 얼을 기리는 행사니 당연히 전
국민
이 참여 하면 좋겠죠? 하지만 잠깐! 태극기 게양 법을 모르는 분을 위해 현충일 날에는 태극기를 어떻게 게양하는지 알아볼게요. 조기는 보통 때에 태극기 다는 방법과 다르다고 해요. 축하해야 하는 날과 달리 ...
도심 속 열병합 발전소 흰 연기 정체는?
기사
l
20180515
안녕하세요? 어린이 과학 동아에 황준빈 기자입니다. 오늘은 신도시나 사람들이 모여 사는 주거지역 안에 세워져 흰 연기를 뿜어내는 열병합 발전소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원자력 발전소와 더불어 공기 악화에 주범이 ... 침해받고 있어요. 여러분이 지금 살고 있는 지역에도 큰 굴뚝에서 수증기라며 하얀 연기가 나오고 있지는 않나요?
국민
의 권리는 ...
장애인의 날
기사
l
20180420
38번째 장애인의 날입니다. 장애인의 날은
국민
에게 장애인에 대한 이해를 깊게 하고 장애인의 재활 의욕을 고취하기 위해서 만든 기념일이라고 합니다. 이제부터 자세히 알려드리겠습니다. 장애인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져 있는데요, 하나는 태어날 때부터 장애를 가지고 있었던 선천적 장애인과 나중에 사고 등을 당해서 장애를 가진 후천적 장애인으로 나뉩 ...
한국 최초 우주인 이소연 박사님을 만나다!
기사
l
20180411
뜻깊은 날이었습니다. 이소연 박사님은 대한민국 최초의 우주인으로, 우리나라 5천만
국민
중에서 우주를 경험한 유일한 단 1명의 사람입니다. 이소연 박사님은 2008년 4월 8일 카자흐스탄 바이코누르 우주기지에서 러시아의 우주인들과 함께 우주로 향해 출발하였습니다. 소유즈 TMA12호를 타 ...
국회의사당을 다녀와서
기사
l
20180326
감시하는 권한도 있습니다. 네번째 : 정부정책에 '동의'나 '승인'을 한다. 다른 나라에 군대를 파견하거나 외국과 중요한 약속을 할 때,
국민
의 대표인 국회의 허락을 받아야 합니다. 4.삼권분립이란? 삼권분립 삼권분립은 국가 권력을 셋으로 나누는 것입니다. 삼권분립을 하는 기관들은 정부 ...
시진핑이 시황제라고?
기사
l
20180318
반대파를 숙청했고, 그 외에도 여러 가지 실수를 했었습니다. 그 다음의 국가주석인 덩 샤오핑은 마오쩌뚱의 실수를 만회하고자
국민
당이든 공산당이든 경제가 잘 살면 된다는 흑묘백묘론을 펼쳤고 또한 독재를 막기 위해서 국가주석은 5년간 2번씩, 총 10년만 할 수 있다는 헌법을 만들었습니다. 그런데 4일 전에 현 국가주석인 시진핑이 거의 부정투표에 ...
러시아 평창동계올림픽 출전 금지사건
기사
l
20180302
국기와 이름이 새겨진 유니폼을 입을 수 없기 때문에 올림픽기를 달고 출전하게 된 것이고, 또한 메달 역시 러시아 선수와 국가,
국민
들의 것이 아닌 선수자신만의 메달입니다. 아무리 이기고 싶어도 규칙에 어긋난 일을 하면 안 되겠죠? 다른 출전국들도 러시아를 보고 규칙에 어긋난 행동을 하지 않았으면 좋겠네요^^ 이상, 정수안 기자였습니다! 감사합니 ...
3.1운동 99주년 기념 행사
기사
l
20180301
연극의 마지막은 연기자들과 모인 사람들이 함께 '독도는 우리 땅' 노래부르며 춤추는 것으로 장식되었습니다. 그 연극은 우리나라
국민
들의 애국심을 보여주었고 추운 날씨에도 행사에 참여하러 오신 분들을 보니 아직도 그 마음에는 변화가 없다는 것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
멸종 직전인 명태가 다시 돌아왔다!@#~!!
기사
l
20180301
잡히고 옛날에는 가격도 싸서 서민들이 먹는 음식이라고도 불렸습니다. 하지만 명태를 많이 잡았기 때문에 이제는 잡히지 않게 되서
국민
들의 발목을 잡았죠.. 옛날에 흔하게 볼 수 있었던 명태가 이제는 잘 볼 수 없게 되었죠. 2. 우리나라 지구 온난화로 인한 바다의 수온변화. 우리나라가 지구온난화의 요인으로 뽑히는 국가 중 하나죠. 따라서 바닷 ...
이전
35
36
37
38
39
40
41
42
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