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확인"(으)로 총 8,489건 검색되었습니다.
- [뉴스&인터뷰] 키를 결정하는 80%의 비밀...유전자 읽어 미래 키 알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23년 07호
- ‘셀 지노믹스’에는 아이가 성장한 후 뼈의 길이와 모양을 결정하는 유전자를 확인했다는 연구 결과가 실렸거든요. 결국 아무리 우유를 마시고, 일찍 잠자리에 들어도 우리의 최종 키는 정해져있는 걸까요? 유전자와 환경, 미래 키를 결정하는 두 요소를 살펴보겠습니다. 일찍 자기, 우유 많이 ... ...
- [과학사 극장] 세종대왕이 측우기를 만든 게 아니다?과학동아 l2023년 07호
- 즉 세종의 업적은 문종이 만든 측우기를 이용해 조정에서 조선 전역의 강우량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한 것이다. 의혹 ② 세종은 조선만의 독창적인 과학을 했다?세종 시기 이뤄진 과학 연구에 관해 읽다 보면, 이때 일궈낸 연구가 중국 등 다른 나라의 영향을 받지 않고 오직 우리 ... ...
- [과학동아 키즈] "힘든 양자통신에 도전한 이유요? 그냥 좋아하니까요"과학동아 l2023년 07호
- 연구에 대한 갈증 같은 것들이 있었다. 하지만 한편으론 연구를 하며 내 한계를 계속 확인하고 극복해내는 과정이 상당히 힘들고 고통스러웠던 것도 사실이다. 경쟁이란 것이 없어도, 혹은 경쟁에서 뒤처지는 순간이 오더라도 순수하게 학문을 좋아하는 마음 하나로 그런 고통을 견딜 수 있을까 ... ...
- [가상인터뷰] 공기를 전기로 바꾸는 효소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7호
- 숨을 쉬는 데 필요한 공기의 0.00005%에 불과한 공기 중 수소로도 전기를 생성하는 것을 확인했어. 게다가 후크 효소는 얼리거나 80℃까지 가열해도 살아남을 수 있고, 오랜 기간 보관하는 것도 가능해. 연구팀은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전류를 생산하는 후크 효소가 천연 배터리로 쓰일 수 있다고 ... ...
- [통합과학 교과서] 취미 부자 신데렐라. 이번엔 축구를?!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7호
- 생긴 쥐에게 30분간 전자 반창고를 붙인 결과, 평소보다 30% 더 빨리 상처가 아무는 것을 확인했어요. 앞으로 연구팀은 쥐보다 더 큰 동물에게 전자 반창고를 실험할 계획이에요. 이 실험이 성공하면 사람을 대상으로 임상시험을 하는 것이 최종 목표랍니다 ... ...
- [숫자뉴스] 드디어 찾았다? 피라미드 건축의 비밀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07호
- 알갱이 화석*을 발견해 분석했더니, 물가에서만 사는 식물들이 이 지역에도 살았던 것이 확인됐지요. 오늘날에는 사막이 된 곳이지만, 고대에는 물이 있었다는 사실을 알아낸 거예요. 연구팀은 이 물줄기의 이름을 ‘쿠푸 지류(갈라져 나온 물줄기)’라고 지었어요. 기자 피라미드 중 가장 큰 ... ...
- “2달 동안 증명법을 4개 만들며 한계에 도전하는 법을 배웠어요”수학동아 l2023년 07호
- 된 건가요? 켈시 : 윌리엄스 수학 선생님이 와플 콘 증명법에 오류가 없는 것 같다고 확인해주셨어요. 이후 미국수학학회 웹사이트에 있는 ‘초록 제출’에 들어가 증명법을 발표하고 싶은 회의를 고르고, 논문 초록을 제출했어요. 그랬더니 학회에서 연락이 왔어요. 정말 기뻤어요. 3월 18일 ‘학부 ... ...
- [미궁 1004] 천사 173-1호수학동아 l2023년 07호
- 나타난다. 소녀가 정답을 말하자 금속 막대기가 사라진다. “정답 확인! 신분이 확인됐습니다, 천사 173-1호.” 이어서 깜짝 놀랄 만한 사실을 들려준다. “천사 173-1호는 남아있는 인류에게 문명을 전달할 임무를 맡고 지구로 내려갔습니다. 인간을 이곳에 데려온 것으로 보아 지상의 인류가 ... ...
- [에디터 노트]막을 수도 피할 수도 없다면과학동아 l2023년 07호
- 일본이 계획대로 완벽하게 방류해야 한다는 대전제가 붙습니다. 이것을 우리 눈으로 확인하기 전까진 그 어떤 분석이 나와도 계속 불안할 수밖에 없다는 점도 잘 알고 있습니다. 그러니 앞으로 계속 함께 살펴보시지요. 과학동아는 독자 여러분들의 답답함을 조금이나마 해소할 수 있도록 제2의, 제 ... ...
- [과학뉴스] 다리 12개 지네 로봇 행성 탐사도 가능과학동아 l2023년 07호
- 그리며 움직이는데, 이 유연성이 너무 커지면 움직임이 오히려 불안정해진다는 점을 확인한 것이다. 미리아포드는 관절의 유연성을 효과적으로 통제해 앞서 개발된 지네 로봇보다도 더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움직일 수 있다. 12개의 다리를 가진 지네 로봇은 험한 지형에서 빛을 발할 예정이다. ... ...
이전35363738394041424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