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호주"(으)로 총 1,268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남성 생식 연구를 허하라과학동아 l2017년 07호
- 피임약을 만들 타깃은 정자가 많다”고 말했다.수년간 남성 피임약을 연구해 온 호주 모나쉬대 사바티노 벤투라 박사 역시 영국 ‘가디언’과의 인터뷰에서 “비호르몬 성분이고, 수술도 필요 없는 남성 피임약은 남성과 여성에게 모두 윈-윈”이라며 “남성 피임약 개발에 대한 투자가 ... ...
- Part 1. 산업수학 창시자 존 오켄돈 인터뷰, 산업수학이 할 일은 무궁무진수학동아 l2017년 07호
-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합니다. 영국에서 시작된 모임이 현재 유럽 전역은 물론 북미와 호주, 일본에서도 진행되고 있어요. 어떤 수학이론으로 산업계 문제를 해결하나요?수학자는 산업 문제를 수식으로 만들어 해결합니다. 그런데 문제 상황을 완벽히 설명하는 수식을 만드는 건 사실상 ... ...
- [쇼킹 사이언스] 호수 한가운데 신비한 구멍이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이런 모양의 배수구는 다른 지역에도 있어요. 미국 몬타나주의 헝그리 홀스댐이나 호주 뉴 사우스 웨일즈의 지히댐 등에도 코방 도 콘쇼스와 비슷한 배수구가 있지요. 이런 모양의 배수구를 ‘벨 마우스 배수구’ 혹은 ’나팔꽃 배수구(글로리 홀)’라고 부른답니다. 마치 거꾸로 엎어진 벨 모양이나 ... ...
- [과학뉴스] ‘알쓸신잡’과 생물학적 호주제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있는데요. DNA를 가지고 있는 건 핵과 미토콘드리아뿐입니다.미토콘드리아 DNA(mtDNA)와 호주제가 무슨 상관이 있냐고요? mtDNA는 오롯이 엄마에게서 온 DNA입니다. 우리는 엄마와 아빠로부터 정확하게 절반씩의 DNA를 물려받았다고 알고 있지만, 엄밀하게 말하면 엄마에게서 조금 더 많은 유전자를 ... ...
- [Future] 스마트폰 의료 진단 시대과학동아 l2017년 07호
- 도움에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마이크]소리로 호흡기 질환부터 조울증까지 2013년 호주 퀸즐랜드대 우단타 아베이레트 교수가 개발한 ‘레스앱’은 기침소리를 분석해 폐렴이나 천식, 세 기관지염 및 만성폐쇄성폐질환(COPD)을 진단한다. 레스앱을 이용해 환자 91명의 기침 소리를 분석한 결과, 94 ... ...
- [Culture] 마음은 내 삶의 사진이다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중이다. 현재 미국 헬리콥터학회부회장, 한국 드론산업진흥협회 부회장이며 아시아·호주 헬리콥터 포럼 초대 회장을 역임했다. ‘지금이 내 인생의 터닝 포인트’, ‘인성본성탐구 및 인성본성회복’ 등 인성교육 강좌를 KAIST에서 열었고, 작년부터 전인교육학회 회장, 미래 교육 소사이어티 ... ...
- Part 2. 세상을 數(수) 놓다수학동아 l2017년 07호
- 에너지로 전기를 만들어 쓰고, 부족한 전기만 공급하기를 바랐습니다.2017년 2월 열린 호주 및 뉴질랜드 산업수학 스터디그룹에서 생긴 연구팀은 우선 ‘푸리에 전개’와 ‘자동회귀 이동평균’이라는 통계 기법으로 110가구의 전기 사용량을 분석해 전기 사용량을 예측하는 시스템을 만들었습니다. ... ...
- [과학뉴스] 국내 연구진, 지구질량 외계행성 발견!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시도는 현대 천문학계의 큰 화두다. KMTNet은 천문연이 칠레와 남아프리카공화국, 호주에 각각 설치한 망원경을 이용해 우리은하 중심부를 24시간 탐색하면서 제2의 지구를 찾는 시스템이다.이충욱 천문연 변광천체그룹 책임연구원팀은 우리은하 중심부를 약 9분 간격으로 조밀하게 관측한 결과, ... ...
- [Issue] 전세계 과학자들이 거리로 나선 이유 “과학, 이제 침묵하지 않겠다”과학동아 l2017년 06호
- 거리로 나섰다. 지난 4월 22일 오후 2시(현지 시각), 미국 워싱턴 DC, 시카고, 호주 시드니, 프랑스 파리, 독일 베를린 등 전세계 600여 개 도시에서 ‘과학행진(March for Science, 한국 행사명 ‘함께하는 과학행진’)’을 열고, ‘과학은 침묵하지 않는다(Science Not Silence)’ 등의 구호와 함께 거리를 행진 ...
- [과학뉴스] 남극의 ‘피의 폭포’ 미스터리 풀리나과학동아 l2017년 06호
- 한쪽 끝에 있는 ‘피의 폭포’는 빙하 위로 새빨간 물이 흘러 붙여진 이름이다. 1911년 호주의 지질학자 그리피스 테일러가 처음으로 발견했다. 이후 물에 포함된 철 성분이 산화하면서 빨갛게 보이는 것이라는 결론에 도달했지만 철 성분이 포함된 물이 어디서 흘러오는 지는 미스터리로 남아 있었다 ... ...
이전35363738394041424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