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문하생
제자
생도
학도
피교육자
학상
동공
d라이브러리
"
학생
"(으)로 총 5,140건 검색되었습니다.
[IMU 아바쿠스상 인터뷰] “여러 분야를 연결해 깨달음을 주는 과학자가 되고 싶어요”
수학동아
l
2022년 08호
학창시절 이야기를 나누던 브레이버먼 교수는 웃음기 가득한 표정으로 “이 말은
학생
들에게 꼭 해주고 싶다”며, “10대 시절보다 성인이 됐을 때 재미난 일이 더 많이 기다리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어른이 되면 자신의 삶을 자신이 선택할 수 있습니다. 이는 어찌보면 무섭지만 흥미롭고 ... ...
학교 밖 과학을 사랑한 예술가들 '외계공작소'
과학동아
l
2022년 08호
나빴다고 말한다. 물리교육을 전공한 강 기획은 “점수가 곧 선호도인 것처럼 말하는
학생
들이 안타까워 방법을 고민하던 중 과학 연극을 떠올렸다”고 했다. 한편, 원래 기계공학도였던 주 대표는 홍대 앞 인디 음악에 빠져 뮤지션이 됐다. 밴드를 결성해 ‘뉴턴 3법칙’이란 이름으로 앨범도 냈다 ... ...
수학 선진국으로의 도약! 앞으로 한국 수학은?
수학동아
l
2022년 08호
이용남 KAIST 수리과학과 교수는 “수학과가 줄어들면서 국내외에서 박사 학위를 받은
학생
들이 오갈데 없는 처지에 있다”며, “편한 마음으로 오랜 기간 꾸준히 연구할 수 있는 연구 환경이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우리나라는 단기간에 수학의 발전을 이룬 역사가 있습니다. 앞으로도 ... ...
[과학자가 해설하는 아바쿠스상] 컴퓨터의 연산 불가능 연구를 선도하다
수학동아
l
2022년 08호
정교수로 임용됐습니다. 누구도 교수님의 정교수 임용을 놀라지 않았지만, 정작 본인은
학생
들에게 “스스로 굉장히 놀랐다”고 이야기하셨어요. 컴퓨터과학은 알고리듬, 계산 및 정보에 관한 이론적 연구를 하는 분야입니다. 컴퓨터가 이해하는 세상과 실제 세상의 큰 차이는 ‘숫자를 어떻게 ... ...
[릴라바티상] 3D 수학 애니메이션으로 수학의 대중화를 선도하다!
수학동아
l
2022년 08호
원리를 시각화해 소개하면 좋겠다고 생각했지요. 이렇게 만들었던 영상들이 선생님과
학생
들에게 굉장히 좋은 반응을 얻어서 계속하고 있어요. Q. 수학 에뛰드에 대해 설명해 주세요! 수학 에뛰드는 3D 애니메이션을 활용해 수학을 이해하기 쉽고, 흥미롭게 보여주려고 만든 홈페이지예요. 수학 ... ...
[공동기획] 미래 연구자를 키운다! 과학영재 창의연구
수학동아
l
2022년 08호
R&E 진행 과정은 실제 과학자들이 연구를 수행하는 과정과 거의 일치해요. 그래서
학생
들은 R&E를 통해 연구자에게 필요한 다양한 역량을 키울 수 있습니다. 한국과학창의재단은 매년 3월 R&E 연구 과제를 공모하고 선정한 과제에 대해서 약 400만 원 내외의 연구비를 지원합니다. 이후 각종 컨설팅과 ... ...
[특별기획] 시인을 꿈꾸던 고등
학생
수학의 난제를 해결하다
과학동아
l
2022년 08호
시인이 되고 싶었다.수학이 바로 그런 표현의 방법이란 걸 배웠다.”시인을 꿈꾸던 고등
학생
이 자라 2022년 필즈메달을 수상했다.한국계 수학자 허준이(39) 미국 프린스턴대 수학과 교수 겸한국고등과학원(KIAS) 수학부 석학교수의 이야기다. 2022년 7월 5일(현지시간) 핀란드 헬싱키에서 개최된 ... ...
[화보] 달리고 뿌리면 자란다
과학동아
l
2022년 08호
완화 방법 등을 가르쳐 줬다. 박호일 대구한의대 반려동물보건학과 교수는 “모든
학생
들이 시험기간임에도 자발적으로 참여했다”며 “반려동물 문화를 지역사회에 전하는 방법을 알려줄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됐다”고 말했다.이날의 결과물은 더덕 꽃이 피는 2년 뒤 확인할 수 있다. 황 대표는 ... ...
더 뜨거워진 공대 최고 인기학과
과학동아
l
2022년 08호
같다. ‘좁지만 깊게 파는 게 과연 유리할까. 반도체가 30년 뒤에도 계속 유망할까.’
학생
들과 학부모들은 고민에 빠졌다. 그 고민에 대한 답을 과학동아가 찾아봤다.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 part1. 정원 6배 증가? 반도체학과 도전해볼까Part2. [인터뷰] “100명 중 99명은 이공계로 보내야”Part3. 1 ... ...
정원 6배 증가? 반도체학과 도전해볼까
과학동아
l
2022년 08호
뒤 AI 분야에서 박사과정까지 하고서, 구글이나 아마존 같은 빅테크 기업에 취업한
학생
도 있다”고 했다.반도체학과 선택? 자신의 적성부터 살펴보자이제 중요한 질문을 던져볼 차례다. 다른 학과가 아닌 반도체학과를 선택하는 게 좋을까. 결론부터 말하자면, 개인의 특성에 따라 다르다. 우선 ... ...
이전
35
36
37
38
39
40
41
42
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