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석
번역
설명
해설
새김
조각
해법
d라이브러리
"
풀이
"(으)로 총 1,123건 검색되었습니다.
[한자 과학
풀이
] 한자과학
풀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6호
‘녹을 용(溶)’은 ‘물 수(水)’와 ‘얼굴 용(容)’으로 이뤄진 글자예요. 한자 속에 소리를 내는 한자가 있는 형성자랍니다. 물이 마을의 얼굴인 어귀에 흐른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어요. ‘녹을 용(溶)’은 녹다라는 뜻 외에도 ‘질펀히 흐르다’라는 뜻도 가지고 있지요.‘풀 해(解)’는 ‘뿔 각( ... ...
PART 2 빅데이터 꿰뚫어보는 수학
수학동아
l
2016년 06호
하는 게 좋겠네요. 저는 수학을 좋아하는 아이였답니다. 특히 답안지에 없는 새로운
풀이
를 만들어내는 일이 좋았어요. 남들하고 다르게 푸는 데서 재미를 느꼈습니다. 이렇게 수학을 좋아했던 저는 자연스럽게 수학과에 진학했습니다.수학 속에서 관심을 찾다수학과에서 공부하며 수학에서 느낀 ... ...
닥터 그랜마와 함께하는 한자과학
풀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5호
은하는 ‘은빛 강’이라는 뜻의 단어예요. 수많은 별이 모여 마치 밤하늘에 흐르는 강처럼 보인다고 하여 은하수(銀河水)라고도 부르지요. ‘용(미르)이 하늘로 올라 살고 있는 강(시내)’이라는 뜻의 ‘미리내’는 은하수를 부르는 순 우리말이랍니다.은하의 ‘은’은 ‘쇠 금(金)’과 ‘어긋날 간 ... ...
[소프트웨어] 응답하라, 1996! 20년간 사랑받은 명품 게임 바람의 나라
수학동아
l
2016년 04호
그래픽은 고등수학의 집결체라고도 할 수 있지요.Q 수학을 잘하셨습니까?송재경 문제
풀이
는 잘하는 편이었습니다. 고등학교 때까지 배우는 수학은 아주 잘했습니다. 하지만 대학에서 배우는 수학인 편미분방정식이나 중적분은 이해하기가 쉽지 않더군요. 하하.정상원 학창시절 수학을 매우 ... ...
닥터 그랜마와 함께하는 한자 과학
풀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4호
질소의 ‘질’은 ‘구멍 혈(穴)’과 ‘이를 지(至)’로 이뤄진 글자예요. 이미 만들어진 한자 두 개가 합쳐져 새로운 뜻을 나타내는 회의문자로, ‘구멍 끝에 이르면 막혀 있다’는 뜻이지요. 그래서 질소는 ‘숨을 막아 질식시키는 원소’라는 의미를 갖고 있어요.이 의미는 1789년 프랑스의 화학자 ... ...
[핫이슈] 중학교 자유학기제, 스마트하게 준비하자!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3호
문제가 있을 때, 그 문제번호를 펜으로 터치하면 바로 선생님이 나와서 해당문제에 대한
풀이
를 쉽게 설명해 주신다는 거다. 보통 문제를 풀다가 모르는 문제가 있으면 정답과 해설을 보게 된다. 그런데 정답과 해설을 봐도 이해가 안 될 때가 있다. 특히 어려운 수학 문제를 풀 때는 해설을 봐도 ... ...
닥터 그랜마와 함께하는 한자과학
풀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3호
세포는 생물을 구성하는 가장 기본적인 단위를 말해요. 모든 생물은 적게는 하나의 세포에서 많게는 수조 개의 세포로 이루어져 있지요.세포는 가늘다, 작다는 의미를 가진 ‘가늘 세(細)’와 ‘세포 포(胞)’가 모인 글자예요. ‘細’는 실 사(絲)변에 자잘하다는 의미를 담은 전(田)이 합쳐져 만들 ... ...
[1학급 1과학동아] 동아사이언스가 30개 교실에 과학동아를 선물합니다!
과학동아
l
2016년 03호
풀기를 좋아하는 학생들이지만, 아무리 풀어도 답이 나오지 않자 모든 학생들이 문제
풀이
에 달라붙었다. 결국 아무도 퍼즐을 풀지 못해 두손 두발을 다 들었다.손에 잡히는 곳에서 나와 세상을 이어주는 과학동아는 올해도 전국의 교실로 찾아갈 예정이다. 인터넷에서 찾을 수 없는, 깊고 신뢰할 수 ... ...
[지식] 엄상일 교수
수학동아
l
2016년 03호
수학문제를 풀 때도 글을 쓰듯이 조사와 서술어까지 적어가면서 자세히 문제
풀이
를 하도록 지도해 주셨지요. 이런 공부 방법이 수학적인 사고력을 높여준 것 같습니다 ... ...
닥터 그랜마와 함께하는 한자 과학
풀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2호
처음에는
풀이
나 나무를 자르는 모습을 나타내는 단어였어요. 최근에는 손으로
풀이
아닌 물건을 꺾을 때에도 쓰이는 등 사용범위가 더 넓어졌답니다.겉으로 나타나거나 눈에 보이는 사물의 가장 바깥 면을 ‘표면’이라고 해요. 표면은 ‘겉 표(表)’와 ‘낯 면(面)’으로 이뤄진 단어지요.‘겉 표 ... ...
이전
35
36
37
38
39
40
41
42
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