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사
탐구
검색
수색
서치
연구
찾기
d라이브러리
"
탐색
"(으)로 총 766건 검색되었습니다.
소음 잡는 알리바이 폰의 비밀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기술인 ‘일렉토복스’는 ‘전(前)방향
탐색
’ 기술로 소음을 제거한다. 전방향
탐색
이란 음성신호에서 실시간으로 소음을 찾아내 제거하는 방식이다. 기존 방식은 통화하는 도중 말을 잠시 멈추는 부분인 ‘묵음구간’에서 소음을 찾아낸 뒤 전체 구간에서 소음에 해당하는 진동수 성분을 ... ...
우주 나이 밝힌 허블우주망원경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가장 중요한 파장이다. 우주생물학은 외계행성의 관측에서 출발한다. 물론 외계행성
탐색
전용 우주망원경인 구경 1m짜리 케플러우주망원경도 제 역할을 다하겠지만, 제임스웹우주망원경은 6m란 큰 구경에서 얻을 수 있는 높은 분해능과 근적외선 파장대의 장점을 최대한 활용해 외계행성과 ... ...
과학과 만화의 상상력은 하나예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23호
찾기 위해 우주를 모험하는 이야기가 나와요. 그런데 몇 년 전 미국에서 우주를 오래
탐색
한 끝에 값비싼 자원이 가득한 별을 찾아 낸 일이 있었지요. 과학자들이 만화 같은 상상력을 발휘하지 않았다면 가능했을까요?”선생님은 요즘 올해 12월 25일부터 텔레비전을 통해 방영될 새로운 둘리 ... ...
바다영웅 전설, 우리 바다를 지켜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3호
전설에 따르면 이 섬을 보면 돌아갈 수 없다고 해. 하지만 과학이 발전해 이어도를
탐색
할 수 있게 되자, 이어도는 우리나라 최남단일 뿐만 아니라 해양학, 지정학적으로 많은 의미를 갖고 있는 곳이라는 사실이 밝혀졌어. 그래서 1995년부터 초음파를 이용해 해저 지형도를 만들고, 해류도 분석했지. ... ...
[생태학]농게, 과시용으로 집게발 키운다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크고, 가볍고 약해 ‘속빈 강정’과 같다.농게는 싸우기 전 서로 집게발 크기를 과시하며
탐색
전을 한다. 라일백스 박사는 “상대에게 더 큰 집게발을 보여주는 것 자체가 싸움의 중요한 과정 중 하나”라며 “일부 개체는 이 과정에서 더 힘 센 척하기 위해 더 큰 집게발을 만든 것으로 보인다”고 ... ...
해파리가 안겨준 형광빛 메달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통해 알츠하이머와 같은 뇌질환의 발병과정을 보여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암세포를
탐색
하고 치료하거나, 부작용을 최소화한 신약을 만드는 데도 큰 도움이 될 수 있다.실제로 필자도 유전자 결핍 생쥐를 만든 뒤 GFP를 특정 유전자의 활성도를 측정하는 도구로 이용하고 있다. 앞으로도 생명과학 ... ...
엑스파일 나는 믿고 싶다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덮인 벌판을 수색하는 장면으로 시작한다. 일렬로 늘어선 요원들이 막대로 눈 속을
탐색
하는 동안 헬리콥터에선 적외선 탐지기로 땅속을 수색하지만 결과는 탐탁지 않다.그런데 이때 조셉 신부가 갑자기 앞으로 뛰쳐나가더니 바닥에 쌓인 눈을 파헤치고 죽은 사람의 팔 한 짝을 찾아낸다. ... ...
어질어질 우주멀미도 실험열정 막지 못해!
과학동아
l
2008년 08호
이번엔 주황색 주머니를 내밀었다. ‘초파리를 이용한 중력반응과 노화 유전자
탐색
실험’ 키트였다. 그제서야 초파리의 안부가 떠올랐다.가장 먼저 초파리가 이틀 동안 죽지 않고 살아있는지 확인했다. 주머니를 여는 그 짧은 시간에 여러 가지 생각이 교차했다. ‘혹시 초파리가 다 죽었으면 ... ...
'내 생애 최고의 순간'을 위하여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유범재 박사 등 이공계 선배 21명의 진로 선택 노하우가 흥미롭다. ‘이공계 진로
탐색
4단계’ ‘이공계 진로 선택 법칙 8가지’ 등 알짜 정보도 많다. ‘내 생애 최고의 순간’을 위해 다 같이 이공계에 빠~져 봅시다 ... ...
체질의 비밀 밝히는 '이제마 프로젝트'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방식에 따라 DNA 가닥이 벌어지는 온도가 서로 달라지는 성질을 이용해 체질 유전자를
탐색
하고 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연구 결과를 SCI급 저널에 게재하기 위해 현재 막바지 작업 중이다.‘이제마 프로젝트’에는 이공계 대학의 축소판이라 부를 수 있을 정도로 다양한 분야의 전공자들이 모여 ... ...
이전
35
36
37
38
39
40
41
42
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