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출발"(으)로 총 2,256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투스교육] 입시에서 가장 중요한 전략은 ‘수능’과학동아 l2018년 06호
- 굳이 수능을 강조하는 이유가 있다. 앞서 말한 것처럼 수능은 입시전략의 기준이며 그 출발이라는 것도 중요한 이유다. 하지만 그보다 더 중요한 것은 책상에 앉아서 하는 전통적인 방식의 공부도 꼭 필요한 공부라는 것이다. 다양한 활동과 경험을 통해서 하는 공부도 물론 필요하지만, 차분히 ... ...
- Part 2. 전술을 분석하라!수학동아 l2018년 06호
- 생성 나무★모든 점은 최소 하나의 변에 연결돼 있어야 하고 그래프 중 한 점에서 출발해 어떤 경로를 택해도 다시 돌아올 수 없게 만든 그래프다. 점의 위치와 개수가 같은 생성 나무는 둘을 합칠 수 있다. 같은 포메이션이라고 해도 선수의 위치는 조금씩 달라서 늘 삼각형이 많이 만들어지는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체험도 하고 글쓰기 실력도 쑥쑥!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바로 크로스컨트리 스키 경기가 시작됐어요. 크로스컨트리 스키는 선수들이 한 명씩 출발해서 한 바퀴에 2km인 경기장을 5바퀴 돌아 총 10km 거리를 완주하는 경기예요. 선수들이 정말 빠르게 완주해 관람객들은 경기가 빨리 끝났다고 느끼지만, 실제로 경기에 참여한 선수들은 완주 후 지쳐서 ... ...
- [프리미엄 리포트 Part 2] 나라의 동맥과 정맥 교통 인프라과학동아 l2018년 06호
- 경의선이다. 경의선은 서울과 신의주를 잇는 518km 복선철도이고, 동해선은 부산에서 출발해 북한을 관통하고, 러시아와 유럽까지 달리는 노선이다. 현재 우리나라의 강릉과 제진 사이 104km 구간이 단절돼 있다. 박 실장은 “남북 철도를 시베리아횡단철도, 중국횡단철도 등 대륙 철도와 연계하면 ... ...
- Part 2. 우주 기원부터 암 치료까지 라온이 이끌 연구 4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생겨났다. 2012년 ‘중이온과학연구협의회(현재의 중이온가속기이용자협회)’로 출발해, 지난 5월 11일 사단법인으로 발족했다. 협회는 라온의 설계에도 관여했다. 개념설계부터 라온을 이용할 협회 소속 과학자들의 의견을 수렴해 규모와 사양을 정한 만큼, 라온에 대한 애정이 크다. 문 협회장은 ... ...
- [Culture] 체육대회 묵시록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생각하고, 김 박사는 다시 실장에게 “실장님, 저 체육대회에 가긴 갈 텐데 따로 출발해서 오후에 도착하는 일정으로 가겠습니다”라고 e메일을 보내려고 했다. 그런데, e메일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려다가 말고, 문득 무슨 수치가 범위를 벗어나 있는 것인지 궁금해졌다. 뭐길래 계산을 하기 전에 ... ...
- 2018 아벨상 수상자 로버트 랭글랜즈수학동아 l2018년 05호
- 일반화 한 에밀 아르틴의 상호법칙을 더욱 일반화한 ‘상호법칙’을 얻으려는 시도에서 출발했습니다. 이 ‘상호법칙’을 기초적인 수학 언어로 이해하기 위해서 예를 들어 봅시다. 소일거리에서 시작된 랭글랜즈 프로그램랭글랜즈는 1938년 10월 캐나다의 브리티시컬럼비아주에서 태어나 ... ...
- Part 1. [롤러코스터] 4차원 뫼비우스 띠?!수학동아 l2018년 05호
- 가향이냐 비가향이냐에 따라쓰는 수학 정리가 다른 경우가 많기 때문이에요. 따라서 출발지부터 한 바퀴를 돌았을 때 같은 방향으로 돌아올 수 있는지 살펴요. 항상 같은 방향으로 돌아올 수 있으면 가향, 반대 방향으로 돌아올 수 있으면 비가향이에요. 가향의 대표적인 2차원 다양체가 구나 ... ...
- [과학동아 X DBR] BTS는 밀레니얼 세대의 새로운 경영 교과서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성공을 일궈낼 수 있지 않을까? 우선 기성세대 인식의 전환이 그 모든 성공 스토리의 출발점이 될 것이다. 다보스포럼이나 CES에 선보이는 주제나 제품 및 서비스에는 주의를 기울여도 지난 1월 AMA(아메리칸뮤직어워드)에 등장한 BTS는 아이들이나 즐기는 아이돌 문화라고, 가벼운 연예 뉴스에 지나지 ... ...
- [필즈상 미리보기] 휴고 듀밀-코핀수학동아 l2018년 05호
- 선만 주목해 살펴봤습니다. 이를 ‘자기회피산책로(SAW)’라 하는데, n이 커질때 원점에서 출발한 이러한 선의 개수가 어떤 속도로 늘어나는지 알아본 겁니다. 그 결과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한다는 기존의 추측을 해결했지요. 듀밀-코핀 교수가 지수함수의 밑, 즉 an에서 a값이 라고 정확하게 구한 ... ...
이전35363738394041424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