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channel
체널
챈널
과정
절차
경로
주파수대
d라이브러리
"
채널
"(으)로 총 700건 검색되었습니다.
[생물] 생물다양성과 우리 삶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칼륨 이온과 함께 휴지막전위를 만드는 원인중 하나다. 활동전위가 발생할 때는 나트륨
채널
이 열리면서 세포 밖에서 세포 안으로 나트륨의 이동이 일어난다. DDT에 의해 나트륨 이온의 이동이 일어나지 못하면 나트륨 이온의 분포와 이동에 의존하는 신경세포의 신호전달이 일어나기 어렵다. 이 ... ...
‘좀비 실험실’ 죽은사람이 어떻게 노예가 됐을까?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상태)에 빠져 있다가 며칠 뒤에 회복했다. 테트로도톡신은 근육세포에 있는 나트륨 이온
채널
을 차단해 신경 신호가 전달되는 일을 방해한다. 결국 근육이 점점 마비되면서 온몸이 감각을 잃고 혀가 꼬여 발음이 부정확해진다.데이비스 박사는 좀비가 되는 현상도 마찬가지로 가사상태에 빠졌다가 ... ...
발명자도 놀랄 21세기 생활 속 레이저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플라스마 통로를 따라 안전한 곳으로 빠져나간다. 플라스마 통로는 이온화된 분자
채널
로 도선처럼 작용한다. 그동안 이 실험은 뇌운의 정전기를 방전시킬 만큼 강력한 레이저를 만들어낼 수 없다는 한계 때문에 진전이 없었다.그런데 2008년 4월 유럽 과학자들이 매우 강하고 짧은 펄스의 레이저 ... ...
외유내강 검정파리와 외강내유 전갈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신경세포의 막에 있는 이온
채널
과 결합하는데, 나트륨과 칼륨 같은 이온들은 이온
채널
을 통해 세포막 안팎을 이동하면서 신경자극을 만든다. 결국 전갈의 독은 몸속에서 신경신호가 전달되는 일을 방해해 근육을 마비시켜 먹이를 죽인다. 전갈은 잡은 먹이를 집게발처럼 생긴 위턱(구기)으로 잘게 ... ...
계획 없이 하는 공부는 이제 그만!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좋아해요.”“지구과학을 좋아하면 환경이나 천문에는 관심이 있니? 평소에 교양
채널
에서 다큐멘터리 프로그램도 즐겨 봤니?”“관심은 있지만 제대로 본 적은 없어요. TV 자체를 별로 안 봤어요.”TV라고 예능 프로그램만 있는 건 아니다. 과학에 대한 배경지식을 얻거나 간접경험할 수 있는 유용한 ... ...
석유 대체할 궁극의 에너지는 무엇일까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지적한다. 김 소장은 비외른 롬보르 덴마크 코펜하겐대 교수와 존 콜먼 웨더
채널
창립자처럼 지구온난화가 조작됐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에 대해서도 비판적인 입장이다. 김 소장은 “비판자들조차도 인간이 지구온난화에 영향을 미쳤다는 점을 부인하지는 못한다”며 “일부에서 기후변화를 ... ...
올해 한국과학상에 강현배 씨 외 4명 수상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분야 수상자인 오 교수는 상피세포에서 수분과 전해질 분비를 조절하는 염소이온
채널
유전자인 ‘아녹타민1’을 최초로 발견해 난치병인 낭포성섬유증 치료에 획기적 전기를 마련한 공로를 인정받았다.교과부는 또 40세 미만의 신진 과학자들에게 수여하는 ‘제13회 젊은과학자상’ 수상자에 ... ...
동전 크기만 한 담수화 장치 개발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전기를 쓴다.한 교수는 소금물을 민물로 만드는 데 한 번도 사용된 적이 없는 ‘이온
채널
분극(ICP)’기술을 적용했다. ICP는 이온으로 이뤄진 바닷물을 전하를 가진 이온 입자를 쫓아내기 위해 전압이 가해지는 특별한 관(管)으로 흘리는 기술이다. 관을 통과한 소금물은 전하입자와 중성 입자로 ... ...
Logging on to the Ivy League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하버드 경영대학원을 포함한 100개 이상의 교육기관이 공식적으로 설립한 무료 공인
채널
로 사용된다. 그렇다면 왜 구글이 이런 일을 하는가? 아마도 약간의 라이벌의식 때문일 것이다. 애플의 ‘아이튠즈 U’에서는 170개 이상의 학교가 대중에게 무료로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다. 이는 2004년 대학들이 ... ...
보고 만지면 저절로 빠져드는 촉각기술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조작자는 이 힘을 느낌으로써 대상의 강성(단단한 정도)을 구별한다.류 교수는 “통신
채널
을 통해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 발생하는 시간 지연, 로봇이 강성을 구분할 때의 시간 지연이 원격 조작 시스템의 안정성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특성화된 재현 장치와 안정된 ... ...
이전
35
36
37
38
39
40
41
42
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