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참가자"(으)로 총 843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이타심까지 예측하는 ‘행복 방정식’과학동아 l2016년 07호
- 각각을 죄책감, 질투와 연관지었다. 그리고는 죄책감 또는 질투의 감정에 따라 실험 참가자가 순간적으로 느끼는 행복감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계산하는 방정식을 세웠다. 연구팀은 이것을 개인의 이타심을 예측하는 도구로 활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예컨대, 돈을 함께 땄을 때를 좋아하는 ... ...
- Part 1 인체 플랫폼화 기술, 어디까지 왔나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선명하게 볼수 있는 ‘클로린 e6’라는 점안액을 개발해 2015년 3월 직접 실험했다. 실험 참가자는 어둠 속에서 50m 밖 나무가 우거진 곳에 서 있는 사람을 알아봤다. 정확한 원리는 알려지지 않았다.캐나다의 ‘오큐메틱스테크놀로지’사는 슈퍼시력을 만들 수 있는 생체렌즈를 개발했다. 지름 8mm의 ... ...
- [Tech & Fun] 왜 어떤 간지럼은 고문이 될까?과학동아 l2016년 06호
- 것은 또 아닙니다. 블레이크모어 교수는 로봇으로 간질이는 실험도 했는데 이때 실험 참가자는 간지럼을 타지 않았습니다. 눈으로 본 로봇의 움직임은 예측이 가능했기 때문입니다. 처음에는 움찔했을지 몰라도 사람과 같이 계속해서 세기나 위치가 바뀌지는 않거든요. 그런데 로봇도 만약 ... ...
- Part 2 인체 플랫폼화 기술이 넘어야 할 장벽 5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측정한 뒤, 신호 별로 전자 의수가 같은 동작을 하게끔 알고리즘을 설계했다. 실험 참가자는 이 전자 의수를 차고 요리 등을 해 보였다. 김 박사는 “표면 근전도 신호는 근육이 움직이기 0.02~0.03초 전부터 나오므로 사용자의 의도를 미리 알 수 있다는 게 가장 큰 장점”이라며 “로봇을 동작시킬 때 ... ...
- Part 3 스마트폰 해킹, 막아낼 방패는 있을까과학동아 l2016년 06호
- Own)’이 열린다. 이 대회는 HP, 트렌드마이크로(TrendMicro), ZDI(Zero Day Initiative)가 개최하며, 참가자들은 구글 크롬, 마이크로소프트 엣지, 애플 사파리, 어도비 플래시 등의 제로데이 취약점을 찾아야 한다. 지난해에는 한국의 화이트해커 이정훈 씨(라온시큐어 소속 연구원)가 크롬, 익스플로러 11, 애플 .. ...
- [Knowledge] 중이온가속기, 펨토 사이언스의 문을 연다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단장인 나보다 더 구체적으로 알고 있을 정도”라고 말했다. 정 단장은 학회 마지막 날 참가자 전원을 대상으로 라온의 개발 현황을 설명했다.학회에서 만난 미국 토머스제퍼슨 국립가속기연구소 유홍 장 수석연구원은 “한국에서 중이온가속기를 만든다는 사실을 잘 알고 있다”며 “가속기 ... ...
- [과학뉴스] 옥시토신 스프레이로 식욕 억제한다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정도를 스프레이를 뿌렸을 때와 가짜 위약을 섭취했을 때로 나눠 비교했다. 그 결과 참가자들은 스프레이를 뿌렸을 때 음식에 대한 충동을 덜 느꼈다. 플래소 교수는 “옥시토신은 충동적인 경향을 줄여주고 자제력을 높여준다”며 “비만의 새로운 치료전략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 ...
- [Knowledge] 과학인가 사기인가 과학 데이터와 통계 논란(下)과학동아 l2016년 05호
- 가지 그림 중 하나를 무작위로 띄워 놓은 뒤 참가자들에게 어떤 그림인지 맞히라고 했다. 참가자들은 50%를 약간 웃도는 정답률을 보였는데, 연구팀은 유의확률이 0.05보다 작다는 것을 근거로 실험 결과가 우연이 아니며 인간에게 초감각적 지각능력이 있다고 주장했다. 짐작하듯, 이 논문은 ... ...
- [과학뉴스] 몸짓 비슷한 사람끼리 잘 어울려과학동아 l2016년 05호
- 두 사람씩 짝을 지어서 하는 새로운 과제를 제시했다. 실험 결과 IMS 유사성이 큰 참가자들끼리 과제를 함께 하려는 경향이 강하게 나타났다. 움직임이 유사할수록 서로를 잘 맞는다고 인식한다는 뜻이다.연구를 진행한 크라시미라 차네바 아타나소바 교수는 “움직임이 특성을 간파할 수 있는 ... ...
- Interview. 합성생물 디자인대회 ‘아이젬(iGEM)’과학동아 l2016년 05호
- 2003년에 제안한 대회로, 합성생물학을 홍보하고자 만들었다. 그들의 바람대로 아이젬의 참가자는 매년 늘고 있다. 2004년 다섯팀에 불과했던 참가팀은 2015년에는 280팀으로 56배 늘었다.올해로 13번째를 맞는 아이젬에 출품된 작품들을 보면 정말 기상천외한 작품들이 많다. 바나나 향이 나는 대장균 ... ...
이전35363738394041424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