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예감
육감
환상
직각
감각성
지각력
유정
d라이브러리
"
직관
"(으)로 총 432건 검색되었습니다.
직관
력 갖춘 '4차원 컴퓨터' 프로젝트 시작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인간과 대화하는 컴퓨터, 인간과 같이 직감으로 판단하는 컴퓨터는 언제쯤이면 실용화될 것인가. SF영화에서나 나옴직한 차세대형 컴퓨터 개발이 최근 일본에서 시작됐다는 소식이다.근착 '쿼크'지에 따르면 일본 통산성은 정치 산업 학술계 공동의 프로젝트(RWC(Real World Computing Project, 일명 4차원 컴 ... ...
아인슈타인 5대 수수께끼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충분했다. 또 그녀가 아인슈타인이 스스로에게 부족하다고 생각했던 수학적
직관
력이 뛰어났던 점도 매력의 하나였다 한다. 두 사람이 사랑에 빠지는 것은 시간 문제였다.대학졸업 후 직장을 구하지 못했는데도, 게다가 아인슈타인 집안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두사람이 맺어진 것은 1904년 봄의 ... ...
독특한 삶 속에서도 빛나는 업적 남긴 20세기초 수학의 천재들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거의 받은 적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엄청난 업적을 남겼다는 것이고, 둘째는 수에 대한
직관
력은 천재라는 말로도 부족할 정도의 능력을 보였다는 것이다. 라마누잔은 1887년 12월 22일에 인도 남부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포목상의 가난한 점원이었다. 그의 수학적 능력은 일찍 발견돼 7세에 한 ... ...
현대 물리학과 동양사상의 만남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세계관은 암묵리에 인간과 자연, 물질과 정신을 동일한 실체의 양면으로 보려는 동양의
직관
적 세계관과 유사한 논리에 기초하고 있는 것이다.카프라는 이 점에 관해 다음과 같이 비교 설명하고 있다."장이라는 개념이 나옴으로 해서, 물리학자들은 다양한 장들을 모든 물리적 현상을 통합할 수 있는 ... ...
(2) 다양한 방법론간 경쟁시대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표현과 처리를 하는 것을 추구하고 있다. 즉 연역적 추론을 위해서 논리 언어를 이용하고
직관
적 감각적 지식을 처리하기 위해서 퍼지나 신경망을 이용한다는 것이다.병목현상, 해소될 것인가?현단계에서 만족할 만한 인공지능의 개발을 기대하기는 힘들다.장애물이 되는 문제중 하나가 지식표현과 ... ...
1 에스컬레이터도 일종의 도르래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응용됐다. 사람들은 지레가 있으면 팔의 힘을 덜 들이고도 일을 잘 할 수 있다는 것을
직관
적으로 알고 있었지만, 그 이유는 그리스 시대에 와서야 밝혀졌다. 지레의 원리를 최초로 밝힌 사람은 고대 그리스의 과학자 아르키메데스였다. 그는 '발판만 있다면 지구라도 들어보이겠다'라는 유명한 말을 ... ...
(5) 신경망컴퓨터 어느 수준인가?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좌 우 두뇌의 양면성에 근거해서 신경망컴퓨터는 수치 연산 분석의 좌뇌적 기능에서
직관
적이고 종합적인 우뇌적 기능으로 관심을 돌리는 것이라고 한다.소프트웨어에 치중한 AI연구신경망 연구의 특이성을 이해하기 위해서 5세대 컴퓨터라고 하는 Al와 비교해 보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다. AI(Artificial ... ...
시라노 드 베르주락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없는 것이다.따지고보면 시라노씨 편에서 볼때 로켓의 이용을 생각해 낸 것은 대단한
직관
력이었는데 이 로켓의 원리는 시라노씨가 사망한 훨씬 이후인 1687년 아이작 뉴턴이 발견한 운동의 제3법칙을 따른 것이었기 때문이다.뉴턴이 운동의 세 법칙들을 설명한 위대한 서적이 등장한 후에는 어떻게 ... ...
왼손잡이「로키」의 비밀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이르게 된다.오른손잡이도 가끔 왼손을 쓰는 것이 좋다. 우뇌의 지배를 받는
직관
력과 창의력을 이끌어 내려면 그 말단부위부터 길들여 놓아야 하기 때문이다.요컨대 왼손잡이는 결코 열등한 존재가 아니다. 따지고 보면 갖가지 편견도 다 근거가 희박한 것들이다. 물론 몇가지 장애와 질병에 ... ...
조각가 김오성씨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찍지 않는다는 점이다. 눈으로 보는 영상을 중시하기 때문이다. "사진을 찍다보면
직관
력이 약해질 것 같아 주저하고 있습니다. 처음과는 달리 천체를 보는 시각이 점점 이론적으로 변하는 것이 두렵습니다. 사진속에 빠지면 이런 추세가 가속화되겠지요. 하지만 애매한 미화보다는 사실을 사실대로 ... ...
이전
35
36
37
38
39
40
41
42
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