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제거"(으)로 총 2,417건 검색되었습니다.
- 허리 고치는 수술 로봇 ‘닥터 허준’과학동아 l2018년 12호
- 확인하면서 통증 원인을 찾아내는 수술이다. 탈출한 추간판이나 신경 주위 유착을 제거할 수 있으며, 신경을 자극하는 염증 물질도 씻어낼 수 있다. 최소한의 침습으로 치료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난도가 높아 신경외과 전문의조차도 힘들어하는 수술이다. 또한 내시경뿐만 아니라 수술용 X선 ... ...
- [Career] DGIST 뉴바이올로지전공 - 암세포 하나씩 분석 생물정보학의 메카과학동아 l2018년 12호
- 갖고 있는지 파악하고, 항암제 내성을 조절하는 유전자를 찾은 뒤 이를 이용해 암세포를 제거하는 약을 개발할 수 있다. 세포 수만 개 유전체 정보는 최대 1TB 단일 세포 유전체 분석 연구가 등장한 지는 그리 오래 되지 않았다. 2009년 처음 이 기법이 등장했을 때만 해도 생물학 연구의 비약적인 ... ...
- [언니오빠 논문연구소] 조용한 침략자, 과불화화합물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이는 듀폰에 대한 소송으로 번졌고, 듀폰에는 기금을 마련해 해당 지역의 PFOA를 제거하고 지역주민의 건강을 증진하고 관련 교육을 진행하라는 판결이 내려졌습니다. PFOA의 노출과 질병 간의 연관성을 연구하는 ‘C8 건강 프로젝트(C8 Health Project)’도 2005년 이 기금을 토대로 시작됐습니다. doi:10.12 ... ...
- 국제우주정거장(ISS) 아찔했던 사고 5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장갑과 마스크를 착용하고 산소발생기를 끈 뒤 숯 필터를 설치해 수산화칼륨을 제거했다. 다행히 화재는 발생하지 않았고 우주비행사들도 큰 위험에 처하지는 않았지만, 상황이 더 악화됐다면 우주비행사들은 비상 탈출용 소유스를 타고 지구로 귀환해야 했다. 이후에도 독성 물질이 누출되는 ... ...
- [TECH]大화면 전성시대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아이폰X부터 화면의 일부를 파내는 노치(notch) 디자인을 적용하고 물리적인 홈버튼을 제거하면서 베젤의 크기를 줄였다. 삼성 갤럭시 시리즈도 작년부터 홈버튼을 없애 베젤을 줄였다.베젤을 축소하기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디스플레이다. 이정익 ETRI ICT소재부품연구소 실감소자연구본부장은 ... ...
- [과학뉴스]실험실에서 키운 망막 오가노이드과학동아 l2018년 11호
- 갑상선호르몬의 양이었다. 연구팀이 유전자 편집 기술을 이용해 갑상선호르몬 수용체를 제거하자 청색만 감지하는 망막이 만들어졌다. 반면 망막 발달 초기에 갑상선호르몬을 더 많이 첨가했더니 적색과 녹색 원추세포만 있는 망막이 형성됐다. 연구팀은 “엄마에게서 갑상선호르몬을 제대로 ... ...
- 생리의학상 - 암 치료 패러다임 바꾼 면역 항암 치료과학동아 l2018년 11호
- 면역 억제 단백질이라는 사실을 밝히고, 동물 실험을 통해 PD-1의 억제를 통해 암세포를 제거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이는 추후 PD-1 항체를 이용한 면역 항암 치료의 기반이 됐다. 주변 면역세포에 의해 활성화되는 CTLA-4와 달리, PD-1은 주로 암세포 표면에 존재하는 특정 단백질(추후에 ‘PD-L1’이라는 ... ...
- Part 3. 참고래, 골격표본이 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일일이 다 닦아내었지요. 이후 뜨겁게 끓인 과산화수소에 담가 남아 있는 살 조직을 모두 제거했고, 동시에 뼈의 색도 하얗게 만들었답니다. 그 다음은 골격을 말리는 과정이에요. 서늘한 곳에서 자연 건조 방식으로 골격의 물기를 없애는 거지요. 이번에 작업하고 있는 참고래는 현재 연구센터 옆 ... ...
- 튜링 모형 쓰는 별별 분야수학동아 l2018년 11호
- 냈습니다. 앞으로 이 기술은 먹는 물이나 공업용 물로 쓰기 어려운 바닷물을 염분을 제거해 쓸 수 있도록 하는데 도움 줄 예정입니다. 두개골의 생성두개골이 형성되는 과정을 알고 계시나요? 마치 지구를 덮고 있는 지각판이 서로 붙어 있는 것처럼 네 개의 뼈가 따로 자라 붙습니다. 이때 뼈가 ... ...
- 곡식의 왕 '밀' 유전자 지도 완성과학동아 l2018년 11호
- 다르다. 서 교수는 “질병과 관련된 단백질을 발현시키는 유전자를 정확히 알면, 이를 제거한 밀 품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로 IWGSC 연구팀은 이번 논문에서 글루텐 관련 질병과 연관된 것으로 추정되는 밀 유전자 828개를 분석했다. 그 결과 글루텐 소화를 방해하는 유전자와 ... ...
이전35363738394041424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