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정리"(으)로 총 3,253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체험실] 구의 반지름을 구해줘~! 구면계수학동아 l2022년 07호
- 축구공, 볼링공, 탁구공 등 공의 반지름은 어떻게 구할까? 구의 반지름을 측정하는 ‘구면계’를 이용하면 구를 쪼개지 않고 반지름을 구할 수 있다. 간단한 재료로 간이 구면계를 만들어 보자. 구를 자르지 않고 반지름을 구하는 방법은? 구의 반지름을 구할 수 있는 구면계는 삼각대와 눈금자 ... ...
- [인터뷰] 이상한 수학의 매력에 퐁당~!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7호
- 알았다면 수학을 매우 좋아했을 것 같거든요. 빨리 수학의 매력에 빠져보세요! *용어정리리만 가설: 독일의 수학자 베른하르트 리만이 1859년 발표한 수학 문제로 ‘소수’의 배열에 일정한 규칙이 있다는 내용이에요 ... ...
- [특집] 수상자는 누구? 2022 필즈상 대예측수학동아 l2022년 07호
- 도대체 필즈상이 뭐기에 가 그렇게 ‘진심’이었는지 5개의 키워드로 정리해 드릴게요! 필즈상은 국제수학연맹(IMU)이 뛰어난 연구 성과를 낸 젊은 수학자 2~4명에게 주는 상이에요. 그동안의 업적을 기릴 뿐만 아니라 앞으로도 좋은 성과를 내도록 장려하기 위해서 주는 ... ...
- [SF소설] 나와의 다세계적 채팅방 해석과학동아 l2022년 07호
- ‘그런 걸 상대로 우리가 뭘 할 수 있지?’그러자 지수가 늘 그렇듯 한마디로 상황을 정리했는데, 내가 좋아하는 점 중 하나였다. ‘홍보.’장 대리의 안내로 처음 본 양자컴퓨터는 사실 RGB LED 조명으로 장식된 일반 컴퓨터에 비해 별거 없는 외관이었다. 꼭 스테인레스 드럼통을 천장에 매달아놓은 ... ...
- 쓰레기, 대체 얼마나 많은 거야?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7호
- 중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 나무 798만 2587그루를 심는 것과 같은 효과를 낸답니다 *용어정리t(톤) : 무게의 단위로, 1t은 1000kg, 1,000,000g과 같아요. 평균 : 들쑥날쑥한 수나 양을 고르게 했을 때의 값이에요. 자료 전체의 합을 자료의 개수로 나눠서 구해요.km(킬로미터) : 길이의 단위로, 1km는 1000m, 1 ...
- [기획] N - S 방정식의 약해는 2개!수학동아 l2022년 07호
- 도넛 모양이라면 N-S 방정식의 약해가 몇 개인지 알 수 있겠더라고.재빨리 아이디어를 정리해 논문을 썼지. 2022년 5월 수학 분야의 최고 학술지 에 르레의 약해가 2개라는 내용의 연구가 실렸어요. 미국 프린스턴고등연구소 수학과 달라스 알브리튼, 엘리아 브루에 연구원과 마리아 콜롬보 ... ...
- [역설 나라의 앨리스] 제7장. 컴퓨터의 탄생수학동아 l2022년 07호
- 공학 및 정보공학의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는 인물이지요. 튜링은 괴델의 불완전성 정리에 깊은 감명을 받고, 어떻게 하면 괴델의 아이디어를 발전시켜 힐베르트의 두 번째 목표 또한 불가능하다는 것을 보일 수 있을지 궁리했어요. 이윽고 1936년 튜링은 수학의 결정 가능성마저 반증하는 논문을 ... ...
- [폴리매스] 세상에 없던 문제에 도전하라!수학동아 l2022년 07호
- 데에는 시간이 얼마나 걸리나요? 문제에 대한 아이디어만 떠오르면 금방이에요. 내용을 정리해서 문제를 업로드 하는 데는 대략 1시간이 걸려요. 아이디어 떠올리는 것이 가장 오래 걸리고 어려운 일이지요. 보통 일주일에 한 개 정도의 아이디어가 떠오르는데, 문 제를 만들어서 먼저 학교 ... ...
- [특집] 문명 백과사전 수학동아 l2022년 06호
- 이뤄져 있는 것을 발견했다. 특징이 유물의 발견으로 고대 바빌로니아에선 피타고라스 정리를 피타고라스보다 약 1,200년 먼저 알고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해독한 사람이병호 국립중앙박물관 전시과장(당시 국립미륵사지 유물전시관장) 외 여러 학자 해독 방법 유물의 적외선 사진에서 ... ...
- [2022 필즈상 예측 ] 버리우 페테르 교수, 아이반 코윈 교수, 제이곱 치머만 교수수학동아 l2022년 06호
- 유클리드 공간에 작용하는 랜덤 행렬(숫자가 무작위로 들어가는 행렬)에 대해 ‘국소극한정리’를 증명했어요. 동전 던지기와 같은 시행을 무수히 많이 반복하면 앞면이 나오는 동전 개수에 대한 확률이 점점 종 모양을 이루는 그래프가 되는데, 그 종 모양의 폭을 구한 거예요. 임선희 서울대학교 ... ...
이전35363738394041424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