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위치
지위
장소
좌석
처지
신분
공간
d라이브러리
"
자리
"(으)로 총 5,453건 검색되었습니다.
[특집] SF 시나리오, 미래의 한반도는?
과학동아
l
2022년 10호
조선 시대부터 따져 1000년 이상 지켜온 수도를 옮길 수 없다는 이들 말이다. 늘 두
자리
수로 여유롭게 이겼는데 이번에는 아슬아슬했다. 상습 침수지역인 한강 주변 부촌의 인구가 줄면서 사수파 국회의원 수가 줄어든 탓이다.‘수도 이전파’도 내부 사정이 복잡하다. 해수면이 2022년 대비 10m나 ... ...
[SF 소설]톨리의 숲
과학동아
l
2022년 10호
에메랄드 숲의 공터에 유저가 못 들어오는 복제공간을 만들고 언제나 앉는 나뭇가지에
자리
를 잡았다. 뭐가 어떻게 잘못된 걸까? 제일 먼저 그 곱슬머리 남자, 장폴을 원망했다. 다음에는 드론의 흉측한 모습을 원망했고, 그 다음에는 현생을 원망했다. 옆을 보니 사이먼이 어느새 가지에 앉아 ... ...
[킹앤유] 사물함에 깜짝 선물 숨기기 대소동!
수학동아
l
2022년 09호
학부 지도 교수님과 대화를 나눠 보고 그 주제를 연구하기로 한 저는 수학과 연구실에 제
자리
를 배정받았어요. 수학과도 연구실이 있다는 거 아나요? 수학과 연구실은 실험장치 대신에 칠판과 책상이 있답니다. 수학과답죠? 이곳에서 수학 이론을 공부하고 교수님께서 주신 수학 문제를 풀다 보니 ... ...
[특집] 냉정한 기술 생태계에서 살아남을 개발자
과학동아
l
2022년 09호
서버) 개발을 맡고 있다. 천 팀장은 “컴퓨터는 일상생활에 굉장히 중요한 요소로
자리
잡았고, 앞으로 더 필요도가 높을 것이기에 이를 관리할 개발자는 언제든 필요할 것”이라며 “오히려 모든 일 중 가장 마지막까지 남을 직업이 개발자”라고 밝혔다.올해로 7년차 웹 개발자인 황서원 ... ...
이재형 천문대장 과학동아천문대와 함께하는 이달의 우주 날씨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9호
무엇일까요?① 호랑이
자리
② 사자
자리
③ 표범
자리
④ 재규어
자리
⑤ 살쾡이
자리
어과수 홈페이지(kids.dongascience.com)의 ‘어과동-와르르 선물터’에 비밀댓글로 정답을 남겨 주세요. 참가자 중 2명을 뽑아 과학동아천문대 입장권을 드립니다. ... ...
수콤달콤 놀이공원
어린이수학동아
l
2022년 09호
나타낼 때 유용하게 사용돼요. 달콤 비법 달콤이 바라보는 회전 놀이기구는 같은
자리
에서 출발해 처음에는 230°를 움직였고, 다음에는 145°를 움직였네요. 놀이기구가 움직인 각도는 85° 줄었어요 ... ...
[우주순찰대원 고딱지] 25화. 혜성에서 만난 뜻밖의 생명체
어린이수학동아
l
2022년 09호
호는 혜성과 충돌할 위기에 처한 무럭무럭 행성을 구하기 위해 출동한다. 수천 년 동안 한
자리
에서 살아가는 나무 주민들을 지킬 방법은 혜성에 폭탄을 설치하는 것뿐인데…. 해롱 호의 문이 열리자 쉭- 하며 공기가 빠져나갔습니다. 우주복을 입은 딱지는 그 공기와 함께 우주선 밖으로 ... ...
[화보] 미션! 예술 작품에 숨겨진 수학을 찾아라!
수학동아
l
2022년 09호
사각형 이 작품은 어느 한 지점에서 시작해도 모서리를 따라 쭉 가다 보면 어느새 원래
자리
로 돌아옵니다. 이런 구조를 ‘펜로즈 삼각형’이라고 하는데요. 2차원 평면에선 가능해 보이지만, 3차원에서는 절대 만들 수 없는 모양이에요. 니달 셀미 미국 애리조나주립대학교 연구원은 닮은 도형이 ... ...
세계적인 수학자! 김민형 교수와 수다 떨자! 동대문 수학 클럽
수학동아
l
2022년 09호
우리는 친구 동대문 수학 클럽에 대한 설명을 들은 기자와 독자 3명은 그
자리
에서 클럽에 가입했어요! 김민형 교수님과 클럽원들이 어떤 이야기를 나눴는지 잠깐 살펴볼까요? 김민형 (빨대 하나를 들면서) ‘빨대의 구멍은 몇 개일까요?’라는 질문을 들어봤어요? 몇 년 전 인터넷에서 ... ...
[수학체험실] 퍼즐로 이해하는 케플러의 추측
수학동아
l
2022년 09호
또다른 구조보다 밀집도가 높음을 수학적으로 증명하지 못해 ‘케플러의 추측’으로
자리
잡았다. 이후 387년 동안 많은 수학자가 이 문제에 도전한 끝에 1998년 토마스 헤일스 미국 피츠버그대학교 교수가 대용량의 컴퓨터를 이용한 계산을 통해 케플러의 추측을 증명했다 ... ...
이전
35
36
37
38
39
40
41
42
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