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월"(으)로 총 17,670건 검색되었습니다.
- 위해 물품 찾았다멍! 탐지견 훈련센터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7호
- 분야의 능력이 특화된 거예요. 냄새 맡고 찾는 걸 좋아하는 것이지, 다른 반려견들보다 월등하게 지능이 뛰어나다고 생각하면 오해예요. 탐지견 후보견들은 어디서 오나요? [박정원] 대부분의 탐지견은 센터 안에서 낳고 키우는 자체 번식을 해요. 탐지 능력을 지닌 엄마, 아빠와 비슷한 성향의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 용어] 체온, 조석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7호
- 폭염이 계속된 지난 8월, 밖은 무덥고 실내는 냉방으로 으슬으슬 추워서 감기에 걸렸어. 온도 차이가 이렇게 심한데, 우리 몸은 어떻게 체온을 유지할까? 체온은 신체 내부의 온도를 말해요. 사람은 주위 환경에 관계없이 항상 일정한 체온을 유지하는 정온동물이에요. 그래서 우리 체온은 더운 ... ...
- [특집] 진실 혹은 거짓, 아인슈타인의 실수는?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6호
- 발전하는 법. 지식보다 중요한 것은 상상력일세. 실수와 상상력은 발견의 재료 2021년 11월,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경매에서 아인슈타인이 상대성 이론에 대해 직접 작성했던 54쪽 분량의 원고가 155억 원에 낙찰되었어요. 아인슈타인이 스위스 취리히에서 1913년부터 2년간 스위스 물리학자 미셸 ... ...
- [가상 인터뷰] WHO, “인공 감미료 아스파탐은 발암 가능 물질”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6호
- 승인한 이후 지금까지 약 50년간 무설탕 음료나 과자에 사용되어 왔어. 그런데 지난 7월 14일, 세계보건기구(WHO) 산하 국제암연구기관이 아스파탐을 발암 가능 물질 분류 등급인 ‘2B급’으로 분류해 몸에 해로울 수 있다는 논란이 불거졌지.Q. 2B급은 어떤 의미야?A,. 국제암연구기관은 발암물질을 ... ...
- [마이보의 과학영상 읽어줌] 쌍둥이 판다 탄생 외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6호
- 맛은?용인 에버랜드의 사육사들이 들려주는 아기 판다 이야기를 소개합니다!2023년 7월 7일, 애버랜드에 사는 엄마 판다 ‘아이바오’가 국내 최초로 쌍둥이 판다를 낳아 화제였어요. 눈도 제대로 뜨지 못한 채 엄마 아이바오의 초유를 먹는 아기 쌍둥이 판다들! 맛은 좀 괜찮니? 초유를 맛본 우리 K ... ...
- [특집] 초기 우주, 시간이 느렸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6호
- 훨씬 느렸다는 사실을 최근에 밝혀냈다네. 지금보다 5배나 느렸던 초기 우주 지난 7월, 초기 우주의 시간이 지금보다 5배가량 느렸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어요. 호주 시드니대학교 물리학과 게라인트 루이스 교수와 뉴질랜드 오클랜드대학교 통계학과 브랜던 브루어 교수팀은 우주에 퍼져 있는 ... ...
- [만화뉴스] 우주에서 떨어진 운석, 알고보니 지구가 고향?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6호
- 7월 11일, 프랑스 국립과학연구원 제롬 가타체카 박사팀은 2018년 모로코의 사하라사막에서 발견된 운석 ‘NWA 13188’을 분석한 결과 이 운석이 지구에서 우주로 갔다가 되돌아온 운석으로 보인다고 밝혔습니다. 연구팀은 먼저 운석 속 산소의 동위원소● 비율이 지구의 화산암과 동일하다고 ... ...
- [4컷 만화] 세계 최초 ‘로봇 파일럿’ 등장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6호
- 7월 19일, 한국과학기술원(KAIST) 전기및전자공학부 심현철 교수팀은 사람의 언어로 적힌 항공기 비행 지침을 이해하고 비행기를 직접 조종할 수 있는 로봇 ‘파이봇’을 개발했다고 발표했어요. 파이봇은 키 165cm, 몸무게 65kg로 사람의 신체와 비슷한 휴머노이드 로봇이에요. 연구팀은 생성형 ... ...
- [기획] 그래미 수상 가능! 인공지능 음악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6호
- 곡을 써서 그래미 상을 노려볼까인공지능으로 누구나 음악을 만든다! 지난 6월, 영국의 전설적인 밴드 ‘비틀스’의 멤버인 폴 매카트니는 인공지능을 활용해 비틀스의 마지막 앨범을 준비 중이라고 발표했습니다. 사람들은 먼저 세상을 떠난 비틀스 멤버의 목소리를 재현하는 데 인공지능을 ... ...
- [질문하면 답해ZOOM] 눈뜨고 재채기를 할 수 있을까요?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6호
- 재채기할 때 눈을 감지 않으면 눈이 튀어나올 수 있다는 우려도 있습니다. 1882년 4월 30일 미국의 일간지 ‘뉴욕 타임즈’에 재채기를 하다가 눈이 튀어나온 사람이 있었다는 소식이 실리며 이러한 논란이 확산됐죠. 허스턴 교수는 이에 대해 “재채기를 한다고 눈이 튀어나오지 않는다”고 ... ...
이전35363738394041424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