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암종
종양
수 합체의 뜻
폐해
cancer
d라이브러리
"
암
"(으)로 총 1,916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세포 운명 결정짓는 대사물질 발견
과학동아
l
2016년 09호
상태와 시기를 결정짓는 핵심 요소로 작용한다는 뜻이다. 윤 교수는 “대사물질 조절이
암
과 퇴행성 질환 등의 난치병 치료제를 개발하는 데 새로운 해법을 제시할 것”이라고 말했다 ... ...
[과학뉴스] 식물 바이오테크놀로지 저널(Plant Biotechnology Journal)
과학동아
l
2016년 09호
함유된 황금 쌀이다. 이 연구는 당시 저널의 표지를 장식하기도 했다. 2013년에는 현미에
암
과 동맥경화를 예방하는 성분이 백미에 비해 3배 이상 많다는 연구 결과가 실렸다. 올해는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이 이산화탄소를 흡수해 아세톤을 만드는 박테리아를 발표했다 ... ...
[News & Issue] “GMO 안전성 논쟁 종지부 찍자”
과학동아
l
2016년 09호
식품생명공학과 교수 역시 같은 의견을 보였다. “생존율과 발
암
성을 보기 위해서는
암
수 각 군당 50마리 이상의 동물을 사용해야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볼 수 있다고 인정되는데, 이 논문에서는 10마리씩의 동물만을 이용했다. 또 독성시험에 대해서는 최종 보고서 형태로 모든 결과를 ... ...
[Career] 질병 연구의 ‘내비게이션’을 꿈꾸다
과학동아
l
2016년 08호
많은 컴퓨팅 자원이 필요하다”며 “KISTI 연구팀의 도움으로 현재 미국의 대표적인
암
유전체 컨소시엄(TCGA)에 참여 중”이라고 말했다.연구팀은 이정호 KAIST 의과학대학원 교수팀과 함께 치매로 사망한 70명의 뇌 조직 유전체를 이 기술을 적용해 분석하고 있다. 뇌 발달 단계에서 생긴 유전자 변이가 ... ...
[새 책] “너 내가 그럴 줄 알았다!” “REALLY?”
과학동아
l
2016년 08호
사건이라는 관점이다. 예컨대 전체 인구 중 3분의 1은 꾸준히
암
에 걸리지만, 사실 모든
암
은 전혀 예측하지 못한 돌발적인 세포 변이에서 시작된다. 다시 말해, 위험에는 두 얼굴이 있다. 멀리서 인구 전체를 숫자로 파악하는 관점과, 가까이서 개개인의 인생을 맥락의 미로로 보는 관점. 이 때 문에 ... ...
[과학뉴스]
암
RNA 이용한 만능 항
암
백신 나올까
과학동아
l
2016년 07호
최근 면역반응을 활성화시켜
암
을 치료하는 항
암
백신이 주목받고 있다. 독일 요하네스구텐베르크의대 우르가 사힌 교수팀은 다양한
암
... “대부분의 단백질 기반 항원은 RNA로 설계할 수 있기 때문에 나노입자 백신을 다양한
암
에 대한 만능백신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 ...
Part 2. 미토콘드리아에 새겨진 인류의 기원
과학동아
l
2016년 07호
분자 생물학이 이제 막 싹 트던 1970년대 후반, 미국 UC버클리 생화학과의 연구원이었던 웨슬리 브라운(현 미국 미시간대 석좌교수)은 DNA를 이용해 진화 과정을 살펴볼 방법을 고민 중 ... 새겨진 인류의 기원Part 3. 미토콘드리아 바꾼 ‘세 부모 아이’ 안전할까Part 4. 뇌질환과
암
의 열쇠가 ... ...
[과학뉴스] 세포가 ‘셀프 치료’하는 원리 발견
과학동아
l
2016년 07호
문제가 생기는 것도 확인했다. 백 교수는 “자가포식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을 경우
암
이나 퇴행성 뇌질환 등이 발생할 수 있다”며 “자가포식 조절에 필수적인 신호전달 경로를 표적으로 하는 치료제 개발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했다 ... ...
[과학뉴스] 냉방병 원인균의 독특한 유비퀴틴화
과학동아
l
2016년 07호
세포의 기능을 조절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과정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으면
암
과 같은 질병이 생긴다.미국 퍼듀대 자오-칭 루오 교수팀은 최근 냉방병원인균(Legionella pneumophila )에서 기존에 알려진 적이 없는 새로운 유비퀴틴화 과정을 찾아냈다. 보통의 유비퀴틴화 과정은 비정상 ... ...
Part 1. 그들의 동거는 언제 시작됐을까
과학동아
l
2016년 07호
약 35억 년 전 모든 생명체의 공통조상이 등장한 뒤 생명체는 고세균, 세균, 진핵생물이라는 세 왕국으로 갈라섰다. 진핵생물 외에 고세균과 세균을 묶어 원핵생물이라고 부르기도 ... 새겨진 인류의 기원Part 3. 미토콘드리아 바꾼 ‘세 부모 아이’ 안전할까Part 4. 뇌질환과
암
의 열쇠가 ... ...
이전
35
36
37
38
39
40
41
42
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