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잔인성
동물적 행동
육욕주의
무자비
인간성
육욕
물소리
d라이브러리
"
수성
"(으)로 총 439건 검색되었습니다.
유리잔에 담긴 환상의 산호섬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역할을 하거든요.나무의 모양을 달리 한다든지 나무의 뾰족한 곳에 여러가지 색의
수성
사인펜을 미리 칠해 놓으면 색색의 아름다운 꽃나무를 얻을 수 있겠죠 ... ...
사자자리 은하트리오 산책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밝히게 된다. 밝기는 -4등급 이상을 유지하고 크기와 위상의 변화도 뚜렷하다.16일에는
수성
이 금성의 남쪽 8도 부근을 통과하고, 20일에는 월령 27.8의 달이 금성의 북쪽 30분 지역을 통과하게 되므로 아름다운 모습으로 우리에게 다가올 것이다. 30분의 각 거리는 달의 직경 정도밖에 안되는 것이므로 ... ...
태양사진 어떻게 찍나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하물며 붉은 태양내에서 수십개의 지구를 삶킬만한 거대 흑점이나,
수성
의 일면통과현상(
수성
이 태양앞을 지나가게 되어 태양면의 일부를 가리며 이동해가는 현상)을 한 번쯤 본 사람이라면 태양의 신비로움에 매료되지 않을수 없다.그런데 이처럼 환상적인 태양의 모습을 사진에 담으려고 셔터를 ... ...
목성의 줄무늬와 대적반에 초점을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이각이 어느 이상의 값을 가질 수 없으며 이때 한계가 되는 각을 최대각이라 한다.
수성
의 최대이각은 28°이고 금성은 48°이다. 외행성의 이각은 최대 1백80°이며 이는 곧 충을 의미한다.■구/행성의 이각이 90°일 때를 말하며 내행성은 구를 이룰 수 없다. 역시 태양의 동 서 어느 쪽에 있는가에 따라 ... ...
6개의 별이 묶여 있는 카스토르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1일 금성과
수성
의 천구상 좌표는 다음과 같다.금성 적경 : 0시 45분 56초적위 : 9도 33분 20초
수성
적경 :23시 24분 21초적위 : -2도 27분 02초 ■ 최대광도가 되는 금성동방최대이각을 넘어선 금성이 지구에 접근함에 따라 점점 밝아져서 이달 24일에 최고로 밝아진다. 비록 모양은 초생달 형태로 변해가지만 ... ...
4 자원으로서의 흙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구워서 탈수시킨 고령토는 공업용 촉매와 합성 제올라이트의 제조에 이용된다. 고령토는
수성
페인트 고무 플라스틱 잉크의 물성을 조절하기 위한 첨가제로도 광범하게 이용된다.국내에도 풍화작용에 의해 형성된 고령토가 지리산 동쪽 기슭인 경남 하동-산청지역에 풍부하게 분포하고 있다. 이 ... ...
(1) 효능 입증안된 것이 대부분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적합하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권유다. 환절기나 피부가 건조할 때 보습효과를 주기 위해
수성
화장품을 바르는 것은 상관없으나 청소년기에는 구태여 화장품을 사용하지 않아도 무방하다.성인이 되면 화장품도 남성용과 여성용으로 나뉜다. 실제로 남성의 피부와 화장습관은 여성의 그것과 큰 차이를 ... ...
행성은 한 별자리에 머물지 않는다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궤도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에 언제나 태양 근처에 머물 수밖에 없다. 따라서
수성
과 금성은 새벽 아니면 저녁에 밖에 볼 수 없다. 초승달 바로 옆에 금성은 갈 수 있다. 왜냐하면 행성이 머무는 황도는 달이 천구상에 머무는 길―백도와 거의 일치하기 때문이다. 달은 때때로 행성들을 ... ...
타이탄의 대기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있는 천체는 가스분자들을 붙잡아 우주로 탈출하지 못하도록 막는다. 따라서 달이나
수성
처럼 작은 세계엔 대기층이 없고 화성엔 매우 얇은 대기층이 있을 뿐이다. 지구나 금성은 두터운 대기층을 갖고 있다.강한 중력만이 대기층을 형성하는 유일한 힘은 아니다. 천체의 온도가 차가울수록 주위의 ... ...
밤하늘은 천체교육의 산 교실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상대적으로 그 크기가 작기 때문에 두 행성은 언제나 태양근처에서 발견된다. 따라서
수성
과 금성은 태양으로부터 어떤 각거리 이상 멀어질 수 없는데, 바로 이 한계가 되는 각거리를 우리는 최대이각이라고 부른다. 최대이각을 학생들에게 설명하는 데 있어서 (그림1)과 같은 저녁 하늘을 한번 ... ...
이전
35
36
37
38
39
40
41
42
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