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소통"(으)로 총 1,193건 검색되었습니다.
- [동아리탐방] 동아리계 VIP를 꿈꾼다! 포항제철고 Math V.I.P수학동아 l2019년 01호
- “시험을 못 봤다고 수학을 싫어할 필요는 없는 것 같다”고 말했다. 수학을 나누고 소통하는 게 사명인 Math V.I.P! 다양한 활동을 통해 동아리뿐 아니라 수학계에서도 VIP가 되길 응원한다 ... ...
- [이달의 PICK] 새해 계획 성공하려면? 뇌가 조종하는 도파민 경로의 비밀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유도한다. 여기에는 뇌의 5개 영역이 관여한다. 이들은 도파민이라는 신경전달물질로 소통한다. 시작은 중뇌에 있는 복측피개영역(VTA·Ventral Tegmental Area)이다. 새로운 행동을 하면 VTA는 즉시 도파민을 만들어낸다. 어떤 행동을 하는지에 따라, 그리고 개인에 따라 도파민이 생성되는 양은 다르다. ... ...
- [Tech] 만능 스포츠 로봇을 만들어라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있다. 두 발로 걷고, 대부분의 일을 두 팔로 수행하며, 표정이나 음성으로 사람과 의사소통도 한다. “로봇공학자가 되겠다고 결심한 건 아주 오래 전이었어요. 우리 집은 장애를 겪는 동생이 있어서 온 가족이 종일 보살펴야 했지요. 그런데 만화영화에서 커다란 로봇이 사람을 번쩍 들고 하늘을 ... ...
- [서울대 공대|재료공학부] 현대판 연금술사 키운다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있어요. 다양한 전공의 사람들과 함께 연구를 해야 하기 때문에 사람들과 잘 어울리고 소통하는 공학자가 경쟁력이 있어요.” 그래서 물리와 화학 등 과학 과목을 잘하는 학생도 좋지만, 다양한 경험을 많이 해 여러 분야의 잠재력을 가진 학생을 선호한다. 주 학부장은 “재료공학이라는 학문의 ... ...
- [가상인터뷰] 웜뱃의 주사위 모양 똥의 비밀은?!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4호
- 않기 때문에 천적에게 우리 집을 들키지 않을 수 있어. 그리고 우리는 똥으로 의사소통도 해. 좋아하는 웜뱃에게 내가 여기에 있다는 걸 알려 줄 수도 있단다. 또 우리의 똥 제조비법이 인간들에게 신선한 재미를 주고 있나 봐. 웜뱃 똥의 비밀을 밝혀낸 미국 조지아공과대학 패트리샤 양 박사는 ... ...
- [스미스의 탐구생활] 코딩과 알고리즘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4호
- 강조되고 있어요. 다른 나라 사람들과 소통하기 위해 외국어를 배우는 것처럼 컴퓨터와 소통하기 위해 코딩을 배우는 것이 중요해요. 2018년부터 초등학교에서도 코딩을 배우고 있답니다. 뽀로로로 코딩을 배운다?! 동생과 놀아주며 코딩도 배워 봐요! 뽀로로 가슴에 있는 버튼을 누르면 동생이 ... ...
- [가상인터뷰] 혹등고래가 세레나데를 멈춘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2호
- 모두가 그런 건 아냐. 우리는 저주파를 이용해 매우 먼 거리에 있는 다른 혹등고래와도 소통할 수 있어. 저주파는 수천 km 떨어진 곳까지 전달되거든. 우리는 저주파를 이용해 함께 이동하고 먹을거리도 찾고 서로 도움을 요청한단다. 일리 : 무슨 노래를 부르고 있었던 거야? 혹등고래 : 사랑 ... ...
- [오일러 프로젝트] 1만 개의 숫자에서 ‘우애수’를 찾아라!수학동아 l2018년 12호
- 불의의 사고로 기억이 80분 동안만 유지되는 박사다. 박사가 쿄코라는 여자 주인공과 소통하는 소재로 220과 284라는 우애수가 쓰인다. 쿄코의 생일이 2월 20일이며, 박사가 대학 학장에게 상으로 받은 시계에 새겨진 번호가 284라는 이유로 박사는 여자 주인공에게 친밀감을 느낀다는 설정이다. ... ...
- 우수영 서울시립대 입학처장 - “서류 비중 높여 면접 부담 줄였다”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정신과 시민 정신을 갖춘 지성, 미래 사회를 이끌어갈 혁신적인 창의성, 배려와 소통을 통해 사회에 기여하는 공공성을 갖춘 인재를 길러내고자 합니다.” 우 입학처장은 서울시립대가 바라는 인재상에 대해 이같이 밝히며 “더 많은 학생들이 기회를 얻을 수 있도록 올해 전형에 몇 가지 변화를 ... ...
- [좋은 학교생활기록부 만들기 12] 왜 대학은 독서를 중요하게 생각할까과학동아 l2018년 12호
- 분야의 책이든지 읽고 또 읽어가는 사이에 생각하는 힘, 글쓰기 능력, 전문 지식, 의사소통 능력, 교양이 쌓여갈 것입니다. 타의에 의한 수박 겉핥기식 독서는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수많은 책 가운데 그 책이 나에게 왜 의미가 있었는지, 읽고 나서 나에게 어떤 변화를 줬는지 생각하기 바랍니다. ... ...
이전35363738394041424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