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장
부조
폐
옥신각신
불쾌
번거로움
성가심
d라이브러리
"
불편
"(으)로 총 1,472건 검색되었습니다.
[Knowledge] 땅에 적응한 하늘의 파충류, 익룡
과학동아
l
2015년 12호
게다가 이들은 꼬리 밑과 뒷다리를 잇는 피부막이 존재했기 때문에 걸어 다니기가 매우
불편
했다. 그래서 일부 고생물학자들은 디모르포돈과 같은 원시 익룡들이 벼랑 끝이나 나무기둥 같이 수직인 곳에 발톱으로 매달려서 생활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원시 익룡의 발자국 화석이 발견되지 않고 ... ...
수학으로 배터리의 남은 수명을 측정하다
수학동아
l
2015년 12호
사용하면서 배터리가 빠르게 소모돼
불편
했던 경험이 있을 겁니다. 배터리의 수명이 다해가고 있는 것입니다. 수명이 얼마나 남았는지 알기 어려워 답답했는데, 최근 이를 알 수있는 간단한 수학 모형이 등장했습니다.미국 펜실베니아주립대 크리스토퍼 란 교수팀은 기존의 복잡했던 리튬 이온 ... ...
평생 달력 하나로 살 수 있을까?
수학동아
l
2015년 12호
때부터 쓴 달력이 익숙해
불편
하기도 할 것이다. 기존의 습관을 바꿨을 때 겪을 수 있는
불편
함을 생각하면 대안 달력이 언제 우리 삶에 정착할 수 있을지 판단하기 어렵다.그럼에도 불구하고 새 달력이 기대되는 이유는 과학이 만든 편리한 생활을 경험한 적이 많기 때문이다. 헨리 교수는 2017년 1월 ... ...
알고 나면 깜짝 놀랄걸? 아주 사소한 과학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1호
수 있다”고 말했다.마이크로 단위까지 더 자세하게!다음은 평소에 느끼는 사소한
불편
이나 미세한 오차를 과학으로 해결한 연구 사례들을 만나 볼 차례야! 나노미터에서 마이크로그램까지, 눈에 보이지 않을 정도의 미세한 변화를 위해 노력하는 사람들을 만나러 출발~! 엥~.뜨거운 라면 먹을 때도 ... ...
손톱만 만지작거려도 이메일이 척척?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0호
양 손을 모두 써야 할 때, 문자가 오면 답장하기 곤란하죠? 이제 이런
불편
이 줄어들게 됐어요. 최근 손톱을 만지작거리기만 해도 스마트폰이나 컴퓨터를 작동시킬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거든요.미국 MIT 미디어 연구소는 엄지손톱 크기의 입력장치인 ‘네일오’를 만들었어요. 연구를 주도한 ... ...
바나나 살리기 대작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0호
수분과 수정 과정을 거쳐야 열매가 열려요. 하지만 단단한 씨를 갖고 있어서 먹기에
불편
하지요.그런데 야생 바나나의 유전자에 돌연변이가 일어나 우연히 씨 없는 바나나가 탄생했어요. 사람들은 이 특별한 바나나의 흡아를 잘라서 기르기 시작했죠. 이런 바나나는 야생 바나나와 달리 수분과 수정 ... ...
[생활 SW가 펼치는 상상의 세계➑] 세상을 바꾸는 프로그래밍, 해카톤
수학동아
l
2015년 10호
목표는 ‘즐겨찾기’를 뜻하는 ‘페이보리’란 이름 그대로 우리 주변의
불편
한 문제를 해결해서 사람들이 즐겨찾는 앱을 계속 만드는 것이다. 김 대표는 “이제는 모든 문제를 해결하는데 SW가 쓰이면서 기존에는 알 수 없었던 것을 측정하고 분석, 제어할 수 있게 됐다”며, “다양한 경험을 ... ...
[Hot Issue] 남의 고통은 나의 행복?
과학동아
l
2015년 10호
거기서 벗어날 수 없는 걸까. 다카하시 교수팀과 시카라 교수팀의 연구에는 우리가 이
불편
한 기쁨에서 벗어나게 해 줄 단서가 제시돼 있다.두 연구에서 공통적으로 주목할 부분은 ‘질투의 대상이 어느 영역에 속해 있는지’다. 나와 관련이 없거나 내가 중요하게 여기지 않는 분야에 속한 사람은, ... ...
숫자 세 개가 만나는 곳에 보물이 있다!
수학동아
l
2015년 09호
여기에 경도와 위도를 얹으면 제아무리 각도를 정확하게 나눠도 지도로 쓰기에는
불편
하다. 동쪽 또는 서쪽으로 일정한 각도만큼 이동할 때 표면이 비교적 평평한 곳과 울퉁불퉁한 곳에서 실제로 가야 하는 거리가 다르기 때문이다. 일정한 규칙에 맞게 위치를 나타내고 거리를 계산하기 위해서는 ... ...
[과학뉴스] 암살엔 역시 ‘모신나강’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영화에선 한국 독립군도 어떻게 그 총을 입수했나 봅니다.지금 기준으로 봤을 때 살짝
불편
한 점도 있습니다. 총을 한 발씩 쏠 때마다 장전을 다시 해야 하거든요. 하지만 유효사거리가 750m에 이르는 총이 당시엔 많지 않았죠. 2차 세계대전을 배경으로 한 영화 ‘에너미 앳 더 게이트(2001)’ 주인공의 ... ...
이전
35
36
37
38
39
40
41
42
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