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목표"(으)로 총 3,757건 검색되었습니다.
- [SF소설] 마지막 인사과학동아 l2022년 02호
- 인계한 뒤 마인드맵을 전송하고 메모리세트를 삭제하는 것이 마지막으로 설정된 목표다. 개인 정보 보호를 위해 활동 기간 동안 누적된 모든 기억은 즉시 삭제하는 것이 원칙이다. 대기상태로 전환하기 전에 AC7021은 어떤 연결망을 통해 발현됐는지 모르는, 개발자가 보기에는 오류라고 할 만한 의미 ... ...
- [엣지 사이언스] 윤리·데이터법 개정 물꼬 트나? 희귀질환 게놈 진단 시대과학동아 l2022년 01호
- 5월에는 한국인 1094명의 게놈을 해독한 결과를 논문으로 발표했고, 지난해 4월에는 초기 목표였던 1만 명 게놈 해독을 완료했다. 게놈 코리아 프로젝트를 이끌고 있는 박 교수는 “게놈 분석 수가 늘면 늘수록 질병을 진단하는 능력은 정확해진다”며 “한국도 100만, 1000만 게놈 분석 프로젝트가 ... ...
- [이지 사이언스]2022년 새해 목표, 작심삼일의 심리학과학동아 l2022년 01호
-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 Intro. 2022년 새해 목표, 작심삼일의 심리학Part1. 보인다…미래가!Part2. 우리는 왜 작심삼일을 반복할까Part3. [과학만화] 도파민의 여왕 ...
- [작심삼일의 심리학] 보인다… 미래가!과학동아 l2022년 01호
- 실패한 계획들은 또 어떤 특징이 있는지 곰곰이 생각해보도록 합시다. 같은 방식으로 목표 달성을 위해 해야 할 일들을 죽 나열하고 중요한 순서대로 배치해봅시다. 전부 다 해결하는 것은 불가능해요. 동아 군이 지난해 그랬던 것처럼 항상 예상치 못했던 일이 터지죠. 리스트에서 70% 정도만 ... ...
- [특집] COP26 첫 숙제 검사의 점수는? 낙제점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1호
- 이 과정에서 만난 청소년들이 “기후위기 대응에 지금까지 실패해왔는데 여전히 목표만 이야기한다”고 비판한 게 인상적이었죠. 실제로 NDC를 상향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더 심각한 건 어떻게 상향할 건지 불분명하다는 점이에요. 명확한 대책 없이 NDC를 올리는 건 무책임한 일이거든요. 정부가 ... ...
- [기획] 코로나 19 타임라인수학동아 l2022년 01호
- 2020년부터 본격적으로 유행이 시작된 코로나19는 지금도 그 확진자가 늘거나, 줄어들기를 반복하고 있습니다. 그러면서 초반에 코로나19 확진자가 나 ... 않는 ‘의학적 종식’보다는 코로나와 공존하는 ‘위드 코로나’, ‘사회적 종식’을 목표로 해야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 ...
- [THE JAMES DYSON AWARD] 세상을 바꿀 젊은 발명가들의 이야기과학동아 l2022년 01호
- 있다. 최종적으로는 우리의 프로젝트에 다른 사람들이 더 쉽게 참여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목표다. 이를 통해 플라스틱 스캐너와 관련된 오픈소스 자료를 더 풍성하게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이산 적외선 분광법적외선 대역의 일부 주파수 파장만을 이용해 분석하는 기법. 환경 모니터링이나 ... ...
- 뉴 스페이스를 이끌고 있습니다.과학동아 l2022년 01호
- 그는 초등학생 때부터 로켓을 사랑하는 학생이었다. 처음에는 연구기관에 들어가는 것을 목표로 삼았지만, 스페이스X가 재사용 발사체를 테스트하는 영상을 본 후 창업을 결심했다. 당시에는 미국에서 하면 한국에서도 할 수 있겠다고 생각했다고 한다.대학에 진학하기 전부터 추진 분야 연구실을 ... ...
- [특집] COP26 왜 숙제 검사였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1호
- 이전 기온과 비교해 1.5℃ 이상 높아지지 않도록 노력하는 걸 목표로 합니다. 이런 목표를 이루기에 2030년까지 온실기체 감축 계획이 충분한지 세계 각국의 2030 NDC를 검토하기로 한 거지요. 과연, 정상들은 숙제를 잘 해왔을까요? ●산업화 : 생산 활동의 분업화와 기계화가 이뤄지는 현상. 18~19세기 ... ...
- [통합과학 교과서] 사라진 공룡을 찾고 있다고?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1호
- 때, 소행성의 궤도가 얼마나 바뀌는지 알아보려는 것이 실험 목적이지요. 다트 우주선의 목표는 지구에서 약 1100만km 떨어진 소행성 ‘디디모스’와 ‘디모포스’예요. 두 소행성은 2년 주기로 태양을 도는데 지구와 충돌할 위험은 없어요. 더 큰 소행성인 지름 780m의 디디모스 주변을 지름 160m의 작은 ... ...
이전35363738394041424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