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명"(으)로 총 9,637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동아천문대와 함께하는 이달의 우주 날씨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3호
- ‘플레이콘–놀이터–어과동–선물터’에 비밀댓글로 정답을 남겨 주세요. 참가자 중 2명을 뽑아 과학동아천문대 입장권을 드립니다.★이번 퀴즈의 정답과 당첨자는 3월 2일 선물터에서 공개할 예정입니다 ... ...
- [시사과학] 날짜 지난 음식 더 이상 버리지 않아도 된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3호
- 환경자원경제학과 양성범 교수는 소비기한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97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어요. 그 결과, ‘유통기한 지난 제품을 사겠다’는 응답은 6%에 불과했지만, 소비자 절반 이상이 소비기한이 지나도 ‘먹겠다’고 답했죠. 양성범 교수는 “소비기한의 이점을 잘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풍성한 소리를 끊김 없이! 고무장갑 백파이프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3호
- 전파에 위험하지 않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연구팀은 먼지가 없는 방에서 31명의 연주자가 트롬본, 백파이프 등 20종류의 관악기를 연주할 때 얼마나 많은 에어로졸●이 방출되는지 측정했어요. 그 결과, 가만히 호흡하는 데 비해 관악기 연주는 5~50배 정도의 에어로졸을 방출했습니다. ... ...
- [특집] 중이온 가속기, 1년 만에 터진 라온의 첫 축포과학동아 l2023년 03호
- 시험 성공의 숨은 공로자가 바로 액체 헬륨 공급 시스템이었던 것이다. 가속모듈을 설명하는 또다른 키워드는 ‘공진 가속’이다. 양전하를 띤 이온은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전기장을 만나면서 가속이 된다. 이를 이용해 입자를 가속하는 것이 공진가속기다. 정 부장은 “한국에 중이온가속기, ... ...
- 이휘소는 원자폭탄 개발에 관여했을까?과학동아 l2023년 03호
- 그를 제대로 존경하고 흠모할 수 있게 될 것이다. ※ 김태호 전북대 한국과학문명학연구소 교수. 서울대에서 한국 과학기술사를 전공했다. 역동의 한국 현대사를 이해하려면 과학기술을 빼놓을 수 없다는 생각으로 통일벼, 한글타자기 등 다양한 주제를 연구하고 있다. 저서로 ‘오답이라는 ... ...
- ‘한국형 NASA’ 그 이상의 꿈, 우주항공청의 길을 묻다과학동아 l2023년 03호
- 인력, 비전 등은 아직 베일에 싸여 있다. 우주항공청 개청은 올해 말로 예정돼 있다. 익명을 요청한 우주 분야 정부출연연구원 관계자는 “연구자들의 혼란이 커, 퇴사한 연구자들도 많은 상태”라며 “곧 우주항공청이 생길텐데, 사천으로 가는 건지, 모두 가는 건지, 조직은 어떻게 바뀔지 아는 ... ...
- [디지털 새싹 캠프] 우리는 레고로 코딩을 배운다, 사이언스 챌린지 해커톤과학동아 l2023년 03호
- 해커톤은 디지털 새싹캠프의 일환으로, 서울, 경기, 충북, 전남, 강원, 제주에서 총 3420명의 초, 중,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동아사이언스와 맘이랜서가 3월까지 진행하는 캠프다. ‘사이언스 챌린지 해커톤’의 최종 목표는 코딩을 이용해 레고 부품으로 환경과 동물을 보호하는 물건을 만드는 것. 이 ... ...
- 마이보의 과학 영상 읽어줌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3호
- 서울 도심 한복판에 펭귄이 나타났다? 이 소문의 진실을 파헤치기 위해 나 마이보가 나섰어. 무슨 사연인지 궁금한 친구들은 내가 준비한 과학 영상으로 확인해 봐!IMAX 영화가 더 ... 어떨까요? 눈 없는 눈사람 만들기에 성공했을까요? ●영상 제목눈으로 안 만든 눈사람●채널명디 ... ...
- [에디터 노트] 동행의 부활과학동아 l2023년 03호
- 시작된 1월호 특집을 준비하면서 만나게 됐으니까요. 1월 26일, 과학동아 독자 10명은 양자나노과학연구단을 방문했습니다. 얼마 만의 현장견학인지, 저도 독자와 함께 하는 시간이 낯설더라고요. 현장을 찾은 독자들은 해맑게 좋아했습니다. 코로나가 우리를 덮치기 전, 그 시절 현장견학 때 만난 ... ...
- [뉴스&인터뷰] 남극, 호주, 일본, 캐나다… 인류세의 기준이 될 지역은?과학동아 l2023년 03호
- 이유로 인류세의 흔적을 보여줄 수 없는 지층이 많기 때문이다. 말하자면 인류세를 가장 명확히 보여줄 수 있는 대표 지층을 선정하는 작업인 셈이다. GSSP의 후보지는 열두 군데로, 바다와 호수, 산호초, 습지, 빙하 등 다양한 곳을 망라한다. 우선 유럽 발트해와 일본 벳푸만 해저의 퇴적물에서는 ... ...
이전35363738394041424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