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구절
귀절
절
구
글귀
문구
마디
d라이브러리
"
말마디
"(으)로 총 1,089건 검색되었습니다.
1971년 마샤 맥클린톡의 월경 동기화 현상 발견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과학저널 ‘네이처’는 1971년 1월 22일자에 미국 하버드대 심리학과 대학원생인 마샤 맥클린톡이 단독 저자로 이름을 올린 2쪽짜리 논문을 실었다. 웬만한 과학자들은 평생 한 번 논문을 싣기도 어렵다는 저널에 불과 23살짜리 대학원생이 논문을 실었으니 도대체 어떤 내용이었을까.논문의 제목은 ... ...
계획 없이 하는 공부는 이제 그만!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사례 1 “공부는 중간, 뭘 하고 싶은지 모르겠어요” 경기 광명시 H중 3학년 B학생“공부도 잘 못하고 딱히 정해놓은 목표도 없어요. 그렇다고 자신의 꿈도 모르고 공부만 하는 한심한 아이가 되고 싶지는 않아요”라고 자기 소개 글을 보내온 한 중학생. 성적은 반에서 10등 정도, 취미로 플루트를 ... ...
마피아 조직의 싸움
수학동아
l
2010년 05호
스피드를 즐기는 슈마허를 만나 독일 그랑프리에 참여했던 허풍과 도형. 우여곡절이 있었지만 슈마허의 우승으로 여느 때와 다름없이 훈훈하게 독일여행을 마무리 한다. 독일 국경을 넘은 허풍과 도형은 밀라노를 거쳐 로마로 간다. 코스메딘 산타마리아델라교회 입구에 있는 진실의 입 앞에서 허 ... ...
내면의 조율사, 언어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우리 속담에 “말 한 마디로 천 냥 빚을 갚는다”는 말이 있다. 살다 보면 그 말이 맞는다는 걸 실감할 때가 꽤 있다. 예를 들어 자동차 접촉사고가 나면 운전자들은 누가 더 기세등등하게 보이나 내기라도 하는 사람처럼 차에서 내리기 일쑤다. 재미있는 건 그러다가도 어느 한쪽이 “선생님, 놀라 ... ...
타이탄 거대한 신화 속 과학이 깨어난다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줄거리 신들의 왕 제우스(리암 니슨)는 그의 동생이자 지하 세계를 다스리는 신인 하데스(랄프 파인즈)의 계략에 빠져 신을 섬기지 않는 인간 세상을 멸망시키려고 한다. 이에 제우스와 인간 사이에서 태어난 반신반인(半神半人)의 영웅 페르세우스 (샘 워싱턴)는 인간 세상을 구할 수 있는 절대적 ... ...
구글어스로 재난 복구 돕고 신종 생물 찾는다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구글이 2004년에 대용량의 위성영상을 인터넷에 서비스하는 회사 ‘키홀’을 인수 합병했을 때만 해도 사람들은 그저 구글에 위성영상을 제공하는 기능이 하나 추가되겠거니 생각했다. 하지만 2005년 공개된 이 고해상도의 영상지도는 현실정보와 결합해 더욱 가치 있는 정보로 탈바꿈했고, 과학자 ... ...
유해균까지 감싸 안는 장의 고차원 전략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현대 과학이 균의 존재를 발견한 게 약 150년 전입니다. 19세기만 해도 균이 병을 일으키는지 몰랐어요. 자연발생설에 따라 생물은 자연적으로, 우연히 무기물로부터 발생한다고 생각했습니다.”생체공생시스템 연구단을 이끌고 있는 이화여대 분자생명과학부 이원재 교수의 설명이다. 그는 “연 ... ...
마음도 음양의 조화가 필요하다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산에 가 보면 안전장비도 없이 딸랑 운동화만 신은 채 바위를 타려는 사람들이 꼭 있다. 위험하다고 말리면 “아, 내가 누군데. 이 정돈 괜찮아요!” 하면서 끝내 말을 안 듣는다. 사고가 난 뒤에야 후회하지만 무슨 소용이겠는가. 희망에 차서 전진하는 건 좋은 일이지만 지나치면 문제가 된다. 지나 ... ...
막힌 도로를 뚫어 주는 신기한 수학
수학동아
l
2010년 02호
드디어 즐거운 설 연휴가 돌아왔어. 할머니댁에 가서 떡국도 먹고 어른들께 세뱃돈을 받을 생각을 하니 벌써부터 신이 나. 그런데 한 가지 걱정이라면 주차장 같은 도로 위에서 몇 시간이나 보내야 한다는 거야. 좁은 차 속에서 지루하게 온 몸을 비비 꼴 생각을 하니 벌써부터 답답해져. 뻥뻥 뚫리 ... ...
수를 알면 수학과 영어가 보인다
수학동아
l
2010년 01호
우리는 주변에 흔히 있는 것에는 그 고마움을 모르고 사는 경우가 많아요. 대표적인 경우가 공기나 물이죠. 공기나 물이 없어진다면 우리 생활은 어떻게 될까요? 지구에 살고 있는 생명체가 모두 사라지고 말 거예요. 마찬가지로 우리 생활에서 수가 없어진다면 어떻게 될까요? 컴퓨터를 이용하는 ... ...
이전
35
36
37
38
39
40
41
42
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