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뒤"(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 Outro. 왜 우리는 제임스 웹의 이미지에 감동할까과학동아 l2023년 09호
- “허블 우주망원경을 운영한 천문학자들은 허블이 촬영한 우주가 일상의 고민을 뒤로 하고 신비로운 우주를 상상하고 감상할 수 있는 기회가 되길 바랐습니다. 제임스 웹의 이미지도 마찬가지로 우리의 한계를 뛰어넘어 다른 눈으로 우주를 볼 수 있는 잠재력을 암시한다고 생각합니다.” 즉, ... ...
- [기획] 86, 230, 345. 메달이 한국에 온이유과학동아 l2023년 09호
- 아인슈타인의 뒤를 이은 천재 과학자들에게만 수여한다는ㅋ아인슈타인 메달이 지난 6월 한국 들어왔다는 소식에, 기자는 대전에 있는 한국천문연구원(천문연) 한국형 전파망원경 간섭계(KVN) 관측실로 한 달음에 달려갔다. 메달이 한국에 오게 된 이유를 취재하기 위해(사실 그보다는 아인슈타인 ... ...
- [5년 후, 과학은] 탄소중립으로 가는 확실한 지름길 수전해 수소 생산 기술과학동아 l2023년 09호
- 합성합니다. 저희 연구실은 이 원리를 모방해 전자가 이산화탄소 안으로 주입된 뒤 전자전달 매개체를 거쳐 다시 빠져나와 연속적으로 용액에 유입되면서, 합성연료인 디메틸카보네이트를 생산하는 새로운 전기화학적 이산화탄소 전환 시스템을 개발했습니다. 기존의 이산화탄소 전환 기술들보다 ... ...
- [제로슈거] 어떻게 0 칼로리?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9호
- 흡수돼요. 스테비아는 위와 장에서는 흡수되지 않지만, 장내 세균이 분해시켜 흡수된 뒤 나머지가 소변으로 배출됩니다. 이 감미료들은 몸에 일부 흡수되기는 하지만, 설탕보다 단맛이 수백 배 이상 강해 아주 적은 양을 사용하기 때문에 칼로리가 0에 가깝습니다. 감미료는 설탕과 다르게 ... ...
- [4컷 만화] 수도사의 월식 기록으로 중세 화산 폭발 시기를 알아내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9호
- 자주 검붉게 보여요. 햇빛 중 파장이 긴 붉은 빛이 지구의 대기를 통과해 지구 그림자 뒤에 있는 달까지 전달되거든요. 하지만 화산이 폭발하면, 화산에서 분출된 이산화황이 햇빛을 흩어지게 해 달까지 도달하는 햇빛이 거의 없어 달은 어둡게 보여요. 스위스 제네바대학교 마르쿠스 스토펠 ... ...
- [기획] 베토벤의 ‘진짜’ 머리카락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9호
- 됐던 머리카락이 베토벤이 아닌 다른 사람의 것이었다는 사실을 밝히며 기존의 사인을 뒤집었어요. 미국 산호세주립대학교 베토벤센터 윌리엄 메레디트 연구원은 “페르디난드 힐러는 베토벤의 머리카락을 보관하고 있다가 아들인 폴에게 생일 선물로 주었고, 이후 누군가가 힐러의 며느리였던 ... ...
- [헷갈린과학] 바닷속이 알록달록! 해면 vs 산호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9호
- 살아요. 해면은 바닷물과 함께 산소와 플랑크톤 등 유기물 먹이를 몸에 받아들인 뒤 식세포로 옮겨 소화를 시켜요. 이는 해면의 몸 안쪽에 나란히 자리 잡은 금세포 덕분이에요. 금세포에는 꼬리처럼 생긴 편모가 물의 흐름을 일으켜 바닷물을 해면의 몸속으로 들어오게 한답니다. 산호 바다의 ... ...
- [통합과학 교과서] 손끝으로 읽는 점자책을 만들래요!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9호
- ” “그래서 요즘 무척 바쁩니다. 제가 심청이를 만나고 기적적으로 시력을 되찾은 뒤 결심한 게 있거든요. 바로 동화나라 시각장애인들을 위한 점자책을 만드는 거예요. 얼마 전에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이 찍은 우주 사진들을 보셨나요? 우주는 이렇게 아름다운 별과 행성으로 이뤄져 있구나, ... ...
- [냠냠! 어수잼] 완벽한 '원'은 지름에서부터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09호
- 사각형처럼 각이 있는 다각형과는 달리 모난 부분 없이 둥글잖아. 덕분에 앞으로도, 뒤로도 잘 굴러가지. 그보다 더 중요한 원의 성질이 있어. 바로, 원 위의 어느 점에서 지름을 긋든 그 길이가 항상 같다는 거야. 바퀴가 잘 굴러가려면 바퀴의 높이가 일정해야 하거든. 높이가 제각각이라면 구를 ... ...
- [똥손 수학 체험실] 달콤하고 동그란 나의 핫케이크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09호
- 이용하면 반지름이 일정한 원을 그릴 수 있지요. 원의 중심이 되는 점에 침을 꽂은 뒤, 컴퍼스를 원의 반지름만큼 벌려 한 바퀴 돌리면 원이 완성되거든요. 그렇다면 완벽하게 동그란 핫케이크를 만들 때도 ‘핫케이크의 중심’을 찾아야 할까요? 확인하러 가 봐요 ... ...
이전35363738394041424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