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동일"(으)로 총 2,189건 검색되었습니다.
- [Culture] ‘과학 초콜릿’ 그뤠잇과학동아 l2018년 03호
- 특화된 유산균을 함유한 제품을 개발했기 때문이다. 때문에 롯데제과는 한국과 일본에서 동일한 이름의 유산균 초콜릿을 판매하고 있지만, 양쪽에 함유된 유산균은 서로 다르다. 양 상무는 “건강에 좋지 않다는 인식이 있는 초콜릿이 유산균을 만나 맛은 유지하면서 건강해졌다”며 “초콜릿을 ... ...
- Part 2. 고층대기부터 유전체 발굴까지 극지 연구의 현재과학동아 l2018년 03호
- 분류됐던 다양한 형태의 지의류들이 같은 종으로 밝혀지는 사례도 종종 발생하고 있다. 동일종인 지의류가 서로 다른 형태를 갖는 이유는 여러 가지다. 한 예로 지의체 내에는 이를 구성하는 대표 균류와 광합성 조류외에도 다양한 균류와 박테리아가 공생하고 있는데, 그간 간과됐던 기타공생균류 ... ...
- 학종에서 좋은 평가 받는 동아리 활동 비법과학동아 l2018년 03호
- 할 수 있는 대표적인 활동이란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동아리 활동은 공통 관심사와 동일한 취미, 특기, 재능, 소질 등을 지닌 학생들이 함께 모여서 자발적으로 참여하며 자신들의 능력을 창의적으로 표출할 수 있다. 이런 장점 덕분에 동아리 활동은 학종으로 지원하려는 학생들에게 가장 많이 ... ...
- [Culture] 정현 호주오픈 4강 비결 분석, 테니스의 물리학과학동아 l2018년 03호
- 무게는 중요한 개념”이라며 “골프 선수는 퍼터를 제외한 13개 클럽을 스윙 무게가 모두 동일한 것으로 사용한다”고 말했다. 실력이 비슷한 선수도 스윙 자세는 다르다. 하지만 최근 세계 정상급 선수들에게서 공통점이 있다면 임팩트(공이 라켓에 부딪히는 순간) 때 라켓의 순간 속력을 높이기 ... ...
- [Origin] 생명을 설계한다, 합성생물학과학동아 l2018년 03호
- 합성한 뒤 효모의 생체 내부에 넣었습니다. 효모 안에는 강한 상동재조합 시스템이 있어, 동일한 DNA 서열 중 일부가 있으면 자동으로 이어지게 됩니다. 즉, 연결하고자 하는 DNA를 순서대로 지정한 뒤 효모에 넣어주면 레고 블록을 잇듯이 자동으로 조립되는 것입니다. 마침내 2010년 약 100만 개의 ... ...
- [Issue] 韓 ‘세계 혁신 국가 1위’ 의미는?과학동아 l2018년 03호
- 농업에는 한 가지 결정적인 문제가 있었다. 바로 ‘수확체감’ 문제였다. 수확체감이란, 동일한 토지에 점점 더 많은 인력을 투입하더라도 생산량의 증가 속도가 둔화되는 현상을 말한다. 예를 들어, 열 마지기의 논을 1명이 농사지어 10가마의 쌀을 수확할 수 있었다고 가정해보자. 그런데 인구가 ... ...
- [인터뷰] UNIST 입학학생처장 곽상규과학동아 l2018년 03호
- 탐색한 뒤, 2학년 때 전공을 선택한다. 여기까지는 무(無)학과를 시행하는 다른 대학과 동일하다. 하지만 UNIST의 경우 2학년부터 23개 전공 중 2개 이상을 의무적으로 이수하도록 해 다른 대학과 차별화를 뒀다. 곽 입학학생처장은 “학생들의 학문 간 융합 능력을 기르기 위해 교육 과정을 이렇게 ... ...
- [종목7] 스키점프, 金빛 바람 타고 더 높이 날아올라과학동아 l2018년 02호
- 박규림 선수는 “유튜브에서 외국 선수들이 풍동실험 시설에서 훈련하는 영상을 보면서 동일한 훈련을 하고 싶었다”며 “실제로 훈련해 보니 스키점프대에서만 느낄 수 있었던 바람의 느낌을 지상에서도 느낄 수 있어서 좋았다”고 말했다. 활공 훈련에서는 스키가 V형으로 벌어진 각도와 스키 ... ...
- [Origin]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8년 02호
- 1번, 감수분열은 2번유사분열은 분열 전 세포와 분열 후에 생긴 세포가 유전적으로 동일합니다. 즉, 분열 전 모세포가 46개의 염색체를 가졌다면 분열 후 생긴 두개의 딸세포 역시 46개의 염색체를 가져야 합니다. 그래야 딸세포가 모세포로 자라 다시 분열할 때 세포 분열로 인해 염색체 수가 줄어드는 ... ...
- [과학뉴스] 중력장 변화로 지진 규모 확인과학동아 l2018년 02호
- P파보다 먼저 발생하지만, 그 신호를 측정하기가 지금까지는 매우 어려웠다. 연구팀은 동일본 대지진 당시 한국과 중국에서 관측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진원으로부터 1000~2000km 떨어져 있는 광대역 지진계에서는 중력장의 요동이 잘 포착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마르틴 발레리 ... ...
이전35363738394041424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