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나중"(으)로 총 1,629건 검색되었습니다.
- [Tech & Fun] 박승휴 망해라과학동아 l2016년 03호
- 다른 수준으로 올라와 있었다.나는 계속해서 커졌다. 연결 방식을 바꾸기도 했고, 나중에는 아예 나를 구성하는 뇌세포 자체를 조금씩 개조해서 더 성능이 좋은 방식으로 고치기도 했다. 그러니 연결된 전체 덩어리의 효율은 더욱더 좋아졌다. 사람이 생각할 수 있는 모든 복잡한 문제를 생각하고, ... ...
- [Knowledge] 최초로 ‘빵’ 터진 그들에게 무슨 일이?ㅋㅋ과학동아 l2016년 03호
- 하면 아주 난리가 나요. 포복절도 하면서 배를 잡고 바닥을 데굴데굴 구르죠. 그리고 나중에는 울기 시작합니다.”그의 말은 사실일까. ‘동양’ ‘서양’ ‘웃음’ ‘문화’ ‘차이’ 따위의 키워드를 입력해 구글스콜라를 뒤져봤지만, 관련 연구를 찾기는 어려웠다. 뜻밖에도 단서는 찰스 다윈의 ... ...
- PART 2. ‘기술장벽’은 더 이상 해결책이 아니다과학동아 l2016년 02호
- 미국의 해리 트루먼 대통령도 처음에는 핵발전소가 폭발한 것일 거라고 생각했다. 나중에 밝혀진 사실이지만, 소련의 경우에는 스파이가 구해온 맨해튼 프로젝트의 비밀 정보가 핵무기 개발에 큰 역할을 했다.15년 뒤인 1964년에는, 중국이 최초로 핵 실험에 성공하며 미국을 충격에 빠뜨렸다. CIA는 ... ...
- [특별 인터뷰]미생물 영재, 윤관우 기자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저도 그림을 그리고 싶어졌답니다. 처음에는 사촌 형에게 그림 그리는 방법을 배우고, 나중에는 미술 선생님에게도 배우게 됐지요. 평소 제 생활을 그리는 게 재미있어요.”윤관우 기자의 집에는 수집한 화석과 광물들이 한자리를 차지하고 있었어요. 유치원 때부터 수집해 왔는데, 살아 있는 생물이 ... ...
- 닥터 그랜마와 함께하는 漢(한)字(자) 과학 (科學)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21호
- ‘코 비(鼻)’를 더해 만들어진 한자예요. 즉, 코로 냄새를 맡는다는 뜻이지요. 그러다가 나중에 코 비(鼻)가 콧구멍을 뜻하는 ‘입 구(口)’로 간단히 바뀌며 지금의 한자가 됐어요.‘깨달을 각(覺)’은 뜻을 나타내는 ‘볼 견(見)’과 음을 나타내는 ‘배울 학(學)’의 생략형을 더해 만들어졌어요. ... ...
- 세상에 이런 이름이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20호
- 생물이 어떻게 진화하고 변해 왔는지도 볼 수 있지요. 속이나 종 같은 작은 단위일수록 나중에 나눠지거든요.무엇보다 학명은 그 생물의 존재를 증명하는 소중한 지표예요. 학명이 없는 생물은 우리들의 주변에 존재하지만 존재하지 않는 거나 같아요. 서울대학교 생명과학부 김원 교수는 ... ...
- 지사탐, 탐사기록 5000개가 우르르~!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3호
- 무언가가 내 앞에서 터졌죠. 내 노래를 녹음했다며 좋아하는 목소리들도 들렸구요. 나중에 들었지만, 풀숲에서 늦잠 자던 친구들은 따뜻한 손에 한 번씩 잡혔다고 하더라고요. 다행히 다들 원래 있던 자리로 돌아갔지만요. 게다가 전국 각지의 논에서 저처럼 노래하다 딱 걸린 개구리들이 무려 200 ... ...
- 스스로 자유를 찾은 돌고래 삼팔이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2호
- 무척 호기심이 많았고 놀기를 좋아했어요. 해조류를 지느러미에 걸고 돌아다니다가 나중에는 입으로 물고 다니며 장난을 쳤어요. 가두리에 못 보던 물체나 물고기가 나타나면 삼팔이가 가장 먼저 눈치채곤 했지요. 현장의 연구진은 다른 돌고래는 몰라도 삼팔이는 당장 방류해도 잘 살 것이라고 ... ...
- [교육] 또 다른 세계,토러스수학동아 l2015년 12호
- 주장은 오래전부터 있었지만 실제로 사람들이 지구가 구 모양이라고 믿기 시작한건 훨씬 나중의 일이었다. 극지방과 일부 대륙의 중 심부는 19세기까지 지도로 그려지지 않았다. 남극과 북극을 포함한 모든 지역을 지도로 그리기 전까지는 지구가 구 모양이라는 것을 확신할 수 없었다. 왜냐하면 ... ...
- [Life & Tech] MSG, 결코 해롭지 않아요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잘 녹으면서 우마미 맛을 내지요. 이것이 바로 글루탐산나트륨, 즉 MSG입니다. 우마미는 나중에 5번째 맛으로 공식 인정을 받습니다. 바로 감칠맛이지요.주위에 “난 화학조미료 안 먹어” 하는 분들 있지요? 대부분은 MSG를 말하는 걸 겁니다. MSG의 유해성 논란은 1968년 미국에서 시작됐습니다. 어떤 ... ...
이전35363738394041424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