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geometry
기하
위상기하학
위상
유클리드기하학
유클리드
유크리드
d라이브러리
"
기하학
"(으)로 총 1,041건 검색되었습니다.
[생존전략 2] 널리 퍼지는 꽃가루
수학동아
l
2016년 04호
퍼뜨리는 비법을 이용한다. 이렇게 꽃마다 각자 효율적인 방법으로 수분할 수 있도록
기하학
적으로 독특한 모양의 꽃가루를 만들거나 수분 확률을 높이는 전략을 쓴다. 그렇다면 수술 또는 수꽃에서 나오는 꽃가루는 아무렇게나 퍼져나가는 걸까? 꽃가루가 퍼지는 모양 속에 수학적인 법칙이 있는 ... ...
거꾸로 푸는 역문제
수학동아
l
2016년 04호
질량, 지구에서 블랙홀까지의 거리, 블랙홀이 어떻게 기울어져 있는지를 보여주는
기하학
적인 특성 등이다. 이것들로 이번에 발견된 블랙홀 쌍성의 성질을 파악하는 것이다.한국 중력파연구협력단 단장인 이형목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교수는 “앞으로 중력파 관측을 통해 블랙홀이나 중성자별 같은 ... ...
[Tech&Fun] 광물이야기14_이란에서 온 눈송이
과학동아
l
2016년 04호
수집가들에게는 여전히 납이 들어있는 광물이 인기가 많다. 화려한 색상과 특이한
기하학
적인 결정 때문이다. 광물이야기에 소개한 황연석과 녹연석, 갈연석 등에도 모두 납이 들어있다 ... ...
[수학뉴스] 건강을 지키는 수학!
수학동아
l
2016년 03호
연구를 이끈 리던 트워록 요크대 수리생물학과 교수는 “단백질 초미세입자의
기하학
적 모양을 예측하는 것은 새로운 백신을 만들 때 어떤 구조가 유리한지 알려준다”고 밝혔습니다.이 연구는 학술지 ‘생물 물리학’ 2월호에 실렸습니다 ... ...
[지식]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_홀의 결혼정리
수학동아
l
2016년 03호
최근 KAIST 수리과학과 안드레아스 홀름센 교수가 홀의 결혼정리를 공간에 있는 유한개의 점에 관한 문제로 확장한 연구를 발표했습니다. 홀의 결혼정리는 언제 남녀 사이에 짝을 지어 주는 게 가능한가에 관한 정리지요. 홀름센 교수의 연구가 어떤 것인지 결혼정리부터 샅샅이 알아봅시다.학생 6명 ... ...
[과학뉴스] 수호신을 위해 적분을 만든 바빌론인
과학동아
l
2016년 03호
건강 ․ 라이프고대 바빌론 사람들에게 목성은 수호신 ‘마르두크’의 상징이었다. 때문에 바빌론의 천문학자들은 목성의 움직임을 관측해 토 ... “고대 바빌론 사람들이 몇 세기 후에 등장하는 그리스 사람들보다 추상적이고 어려운
기하학
개념을 잘 이해하고 있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PART 1. 착시 설계자 따라잡기
수학동아
l
2016년 02호
이번에는 또 다른 애너모포시스를 소개할게요. 거울을 쓰는 애너모포시스와 구분해 ‘
기하학
적 애너모포시스’라고 부르는 기법을 알려드리죠.이 기법을 쓰면 작가가 의도한 특정한 위치에서만 숨어 있는 그림을 제대로 볼 수 있어요. 작가가 의도한 위치 밖에서는 진짜 그림이 보이지 않기 때문에 ... ...
[수학동아클리닉] 수학실험실_단청 퍼즐 속 수학 찾기
수학동아
l
2016년 02호
도형을 분할하거나 합체해 조각을 맞춰나가는 것을 도형퍼즐이라고 한다. 이 도형퍼즐을
기하학
에서는 쪽매맞춤이라고 표현한다. 쪽매맞춤은 평면을 합동인 도형으로 빈틈없이 메우는 것을 말한다. 모자이크나 화장실 바닥과 벽에 깔린 타일도 쪽매맞춤의 예로 들 수 있다.단청 퍼즐로 우리나라 ... ...
[수학동아클리닉]우주를 품은 정십이면체!
수학동아
l
2016년 01호
아이디어를 떠올렸다. 비록 케플러의 설명에는 큰 오류가 있어 받아들여지지 않았지만,
기하학
을 통해 우주를 바라봤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었다.이후에도 정다면체의 대칭성은 수학자들이 궁금해 하는 연구주제 중 하나였다. 정다면체는 무수히 많은 정다각형과 달리 오직 5개만 있기 때문이다 ... ...
[Knowledge] 혼돈 속의 기묘한 질서 카오스
과학동아
l
2016년 01호
아무것도 남지 않았어야 한다.그런데 알다시피 그 곳엔 아직 엄청나게 많은, 크고 작은
기하학
구조들이 남아있다. 그리고 그 면적의 합은 0이다. 이 구조가 바로 프랙탈이다. 수학적으로 프랙탈의 차원을 구해보면, 1과 2 사이의 무리수 값(log8/log3 ≈ 1.8928 ) 이 나온다. 앞서 설명한 로렌츠의 나비가 ... ...
이전
35
36
37
38
39
40
41
42
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