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근육"(으)로 총 1,929건 검색되었습니다.
- [Issue] 100% CG 침팬지 ‘시저’의 귀환과학동아 l2017년 09호
- 표정 정보를 유인원에 그대로 적용할 수 없다는 점이다. 사람과 유인원의 얼굴은 골격과 근육이 움직이는 범위가 다르다. 가령 유인원의 구강은 사람보다 앞으로 튀어 나와 있어 턱과 입술을 크게 움직인다. 반면 눈썹은 사람보다 움직일 수 있는 범위가 좁다. 배우의 얼굴에서 얻은 3차원 공간 ... ...
- [정수 남매의 가상인터뷰] 알고 보면 느림보, 티라노사우루스수학동아 l2017년 09호
- 필요하다는 사실! 저 가녀린 다리로 뛰면 얼마나 빨리 뛸 수 있겠어요? 우사인 볼트: 근육이 많고 덩치가 크다고 빨리 뛰는 게 아닙니다. 독일 통합생물다양성연구소 연구팀이 동물 474종의 몸무게와 달리기 속도를 분석해서 ‘네이처 생태와 진화’ 7월 17일자에 발표했어요. 연구에 따르면 육지와 ... ...
- [Issue] 수능 100일 전 뇌과학자가 들려주는 공부 비법 10과학동아 l2017년 08호
- 각 부분을 조절하는 많은 통제실이 있습니다. 운동중추에 있는 각각의 통제실의 크기는 근육 크기가 아니라 운동의 정밀도와 복잡한 정도에 따라 정해지죠. 즉, 몸통을 지배하는 중추보다 손, 입, 혀 등 세밀하고 정교한 운동을 맡은 통제실이 훨씬 더 큽니다. 손 운동을 하거나 손으로 무언가를 ...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7년 08호
- 무서운 일일 거예요. 자고 일어났는데 피부세포가 신경세포로 변해 있다거나 위장세포가 근육세포로 변해 버렸다고 생각해보세요. 발생은 이렇게 신비롭습니다.최영은_yc709@georgetown.edu미국 바드대에서 생물을 전공하고 하버드대에서 발생학 및 재생생물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외우는 과학이 ... ...
- [Infographic] 인체의 지지자 뼈는 왜 강한가과학동아 l2017년 08호
- 몸의 형태를 담당합니다.몸을 지탱하고 형태를 잡아주며 인체를 보호하기도 하죠. 근육과 상호작용해 몸을 움직이게 하고 다양한 자세를 취하게 해줍니다.살아 있는 조직뼈는 살아 있는 조직이다. 미네랄인 칼슘과 인산염이 차 있는 아교섬유(콜라겐섬유) 단백질로 구성돼 있는데, 이 미네랄 덕분에 ... ...
- Part 1. 바다와 육지 사이 조간대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7호
- 두꺼운 껍질로 뜨거운 햇빛과 파도를 막아내요. 우선 흡입 컵과 비슷한 모양의 족부(근육질)나 여러 점액물질을 사용해 암반에 단단하게 붙은 뒤, 입구인 개구부를 딱딱한 아가미뚜껑으로 막아요. 아가미뚜껑에 틈이 있으면 점액질을 사용해 꽁꽁 틀어막죠. 이렇게 꽁꽁 틀어막으면 몸 안의 수분이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만수르의 정체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7호
- 느껴서 근육과 뼈가 조금씩 줄어들거든요. 따라서 우주인들은 매일 2시간씩 운동하면서 근육과 뼈 건강을 지키고, 주기적으로 몸무게를 재서 몸의 변화를 관찰한답니다.그런데 이상한 점이 있어요. 지구가 우리를 끌어당기는 힘인 중력이 있어야 몸무게를 측정할 수 있는데, 중력이 없는 우주에서 ... ...
- [Culture] 마음은 내 삶의 사진이다과학동아 l2017년 07호
- 건강하려면 유산소운동과 근육운동을 꾸준히해야 하는 것처럼 마음이 튼튼하려면 ‘멘탈 피트니스’, 즉 명상이 중요하다. 마음은 눈에는 보이지 않지만 우리의 생활과 삶 전체를 크게 좌우한다. 마음을 튼튼하게 하는 훈련을 하기에 앞서 마음이 무엇인지 과학적으로 살펴보자.사람은 보고 듣고 ... ...
- [공룡은 왜?] 사체에서 물고기까지! 육식공룡의 먹잇감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7호
- 독수리처럼 냄새만으로도 멀리 떨어져 있는 사체를 찾을 수 있었거든요. 또 강한 턱 근육과 이빨은 다른 동물들이 먹고 남은 사체의 뼈를 부숴 먹기에 알맞은 구조랍니다.티라노사우루스가 ‘난폭한 사냥꾼’인지 ‘시체 청소부’인지에 대한 논쟁은 계속될 거예요. 앞으로 밝혀질 ... ...
- Part 3. [디자인] 키는 쑥쑥~, 몸무게는 쏙~!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사람의 키가 15m가 되면 몸무게는 무려 50t으로 늘어나게 되는 셈이에요. 반면 힘을 내는 근육의 힘은 100배(H²)만큼 커져요. 그럼 무게에 비해 로봇을 움직일 수 있는 힘이 10분의 1 정도밖에 되지 않아요. 작은 벼룩이 자신의 키의 60배 이상 높이를 뛰어오르지만 사람은 그럴 수 없는 것도 이 ... ...
이전35363738394041424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