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겨울
한천
동계
동기
동절
d라이브러리
"
겨울철
"(으)로 총 582건 검색되었습니다.
2001년을 여는 장엄한 개기월식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가깝다. 이때 달은 서쪽하늘 쌍둥이자리에 위치하는데, 시골에서는 개기식 중에 주변의
겨울철
별자리와 봄철별자리를 볼 수 있다. 동트기 직전인 5시 51.6분에 달의 동쪽지역이 다시 모습을 드러내면서 개기식이 끝난다.이후 달은 빠르게 밝아지면서 6시 59분에 다시 둥근 보름달로 돌아온다. 개기식이 ... ...
한민족 고유의 바닥 난방, 구들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순 우리말로 구들이라고 한다. 구들에서 발견할 수 있는 우리 선조의 지혜는 어떤 것일까.
겨울철
찬바람이 불어오면 따끈따끈한 아랫목에 펼쳐둔 이불로 쏙 들어가던 기억이 난다. 따스한 방바닥에 몸을 대고 있으면 몸에 전해지는 열기가 정말 좋다. 나이 드신 할머니, 할아버지는 절절 끓는 ... ...
추위와 인체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때문에 발생하나바이러스 원인, 남극에는 감기 없어“추운 날씨에 감기 조심하렴.”
겨울철
에 자주 사용되는 인사말이다. 많은 사람들은 날씨가 추워 감기에 걸렸다고 믿는다. 감기는 추위 때문에 발생하는 것일까.감기의 직접적 원인은 추위가 아니라 감기 바이러스다. 추위는 감기를 유발하는 ... ...
뱀의 해 , 나라 앞날 걱정한 지혜의 영물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것을 막아 생태계의 균형을 유지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눈 위에서 힘쓰는 설상사
겨울철
에는 사냥할 먹이도 많지 않고, 또 외부 온도가 섭씨 10도 이하로 내려가면 뱀은 소화불량에 걸려버린다. 날씨가 추워지면 먹이가 잘 소화되지 않기 때문에 일광욕을 통해 반드시 체온을 높여야 한다. 그런데 ... ...
1. 독가스를 난방연료로 둔갑시키는 재주꾼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산소와 결합해 완전히 연소돼 냄새가 나지 않는 물과 이산화탄소로 전환되는 것이다.
겨울철
난방용구인 팬히터에도 역시 촉매를 장착한다. 불을 켤 때와 끌 때 석유의 불완전연소로 발생하는 유해가스와 냄새를, 촉매를 이용해 완전연소를 유도해 인체에 무해한 이산화탄소와 물로 정화시켜 준다 ... ...
알레르기 한겨울에도 기승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일으키기 때문에 공기청정기를 사용하고 환기시켜 이들을 완전히 제거해야 한다.
겨울철
이나 환절기에 심해질 수 있는 알레르기 천식과 비염에 걸렸을 경우 우선 알레르기 증상인지 아닌지부터 구별해야 한다.하지만 일반인들이 직접 판단하기에는 어려운 점이 많으므로 병원에서 진단을 받아 ... ...
좀생이별이 들러리 선 거대행성 목성과 토성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때문에, 작은 망원경을 가지고도 아주 흥미롭고 즐겁게 이들을 관측할 수 있다. 이번
겨울철
에는 학생들의 방학을 이용해 목성과 토성 관찰을 떠나보자.12월은 두 행성이 충의 위치에서 약간 시간이 더 지나서 밤 10시 반에서 11시경이면 남쪽하늘에 높이 걸린다. 밝기는 목성이 -2.9등급으로 단연 밝고 ... ...
우주속 숨은그림 찾기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북쪽하늘에 7개의 별이 국자 모양으로 모여 있는 모습이 우리에게 친숙한 덕분이다.
겨울철
에 흔히 볼 수 있는 오리온자리도 어렵지 않게 발견할 수 있다. 찌그러진 H자 모양을 하고 가운데를 가로지르는 세개의 별이 눈에 띄는 특징을 이루기 때문이다. 동쪽에서 휘영청 밝게 떠오르는 보름달에도 ... ...
극지 생존법
과학동아
l
2000년 09호
영하60℃이하로 되는 일이 흔하다.온도가 낮을 때는 모든 물건들의 강도가 약해진다.
겨울철
에 언 빨래를 부러뜨리면 섬유가 부러지는 것도 이 때문이다.영하60℃이하에서는 고무나 플라스틱조차 유리처럼 부서진다.알루미늄 캔도 부스러진다.끓는 물을 공중으로 던지면 폭발이 일어나기도 한다 ... ...
드라이 아이스 로켓
과학동아
l
2000년 08호
승화 현상은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데, 옷장 속의 나프탈렌이 점점 작아지거나
겨울철
유리창에 성에가 끼는 현상 등이 예다.분자는 열을 받으면 부피가 커진다. 고체 이산화탄소가 승화하면 필름통 속에는 넓은 부피를 차지하는 기체 이산화탄소가 가득찬다. 시간이 지나면서 ... ...
이전
35
36
37
38
39
40
41
42
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