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디엔에이
유전자
d라이브러리
"
DNA
"(으)로 총 1,511건 검색되었습니다.
국립과학수사 연구원 사건의 진실을 밝혀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108
그러려면 많은 연습이 필요해요. 숙련된 연구원이라면 1㎕(100만분의 1ℓ)의 피에서도
DNA
를 추출할 수 있어야 하거든요. 1㎕는 마침표와 같은 작은 점 정도의 양이에요.경험이 중요하군요! 범인이 아무리 증거를 조작해도 쉽게 잡을 수 있을 것 같아요.조작된 증거를 쉽게 찾을 수 있는 것은 아니에요. ... ...
올 여름 여행에 꼭 가져가야 할 과학책
과학동아
l
201108
직접 만나는 과거 여행도 생각해 볼 수 있다. ‘이타적 유전자’를 쓴 매트 리들리가
DNA
발견자 중 한 명의 일대기를 복원한 전기 ‘프랜시스 크릭-유전부호의 발견자(을유문화사)’가 새로 나왔다. 공동 발견자인 제임스 왓슨의 유명세에 눌려 상대적으로 주목을 덜 받았지만, 크릭 역시 물리학과 ... ...
플래시메모리, 아름답고 완벽하게
과학동아
l
201108
데 큰 도움이 된다고 말한다. 가장 아름답고 완결적인 원리가 그곳에 있기 때문이다.“
DNA
의 구조를 보면 참 아름답습니다. 그리고 생명 분야의 새로운 연구 결과를 보면 정말 경이롭고 신비롭습니다. 연구원에게 연구를 하다 막히면 생명 분야의 연구를 볼 것을 권합니다. 인간이 풀지 못한 문제의 ... ...
과학동아로 살펴본 과학 핫이슈
과학동아
l
201108
레드필드 교수는 연구팀이 표준적인 실험 절차를 지키지 않아 박테리아에서 뽑아낼 때
DNA
가 오염됐을 가능성도 제기했다. 그는 “심사위원들을 비난하고 싶지는 않다”며 “왜냐하면 충격적인 논문을 싣겠다는 ‘사이언스’ 지 편집자의 욕망을 이기지 못했을 것이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가 ... ...
유전자로 과거 인구 변동 안다
과학동아
l
201108
인종)에서 갈라져 나왔는지 밝힐 수 있다.더빈 박사팀은 그 동안 써왔던 미토콘드리아
DNA
대신 유전 정보가 훨씬 풍부한 게놈을 활용하면 돌연변이를 일으킨 유전자를 동시에 더 많이 비교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했다. 각각의 유전자는 돌연변이를 일으킨 시기가 제각기 다르다. 하지만 유독 비슷한 ... ...
구술면접, 개념 정립부터 시작하라
과학동아
l
201108
결정하는 요소지만 전사과정에서는 전사되는 mRNA의 주형
DNA
와 상보적인(비주형 가닥)
DNA
가닥의 염기서열을 의미한다. 용어에 대한 명확한 의미를 찾아가는 과정에서 복잡한 생명현상을 이해할 수 있다.논리적인 확장 필요한 수학 대비법수학은 문제가 어렵다보니 미리 공부해간 내용에서 심층 ... ...
PART 3 비누막이 제시하는 최적화 해법
수학동아
l
201107
수 있는 현수선도 극소곡면이다. 또 현수선을 회전시키면 나타나는 카테노이드 곡선과,
DNA
의 이중나선, 산을 오를 때 빙 돌아서 올라가는 길 같은 회전식 곡선, 즉 헬리코이드 곡선은 대표적인 극소곡면이다. 이처럼 극소곡면은 균형이 잘 맞고 안정적인 구조여서 실생활에서 자주 볼 수 있다. ... ...
‘공짜로’ 과학을 체험하는 황홀한 기회, LG사이언스홀
과학동아
l
201107
통한 생활 속 과학원리 체험의 장으로 다시 태어났다. 손바닥을 스캔해 피부 세포부터
DNA
까지 관찰할 수 있는 ‘핸드스캐너’, 제자리에서 뛰면서 화면 속 백혈구를 죽이는 게임 ‘통통스테이지’처럼 우리 몸을 이해하는 프로그램과 무선리모컨으로 청소기를 조종하는 게임 ‘로봇청소기 ... ...
Part 2. 꿀벌에게 무슨 일이?
과학동아
l
201107
말했다. 단백질 생산을 막는 바이러스베렌바움 교수는 2009년 7월 유전자 마이크로어레이(
DNA
Microarray) 기법을 이용해 벌의 유전자를 연구한 뒤 그 결과를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에 발표했다. 이 기법은 관심의 대상이 되는 특정 유전자가 생물 안에 있는지 여부를 검사하기 위해 사용하는 유전자 ... ...
휴대전화가 뇌종양 위험 높인다?
과학동아
l
201107
“전자파가
DNA
를 손상시킬 수 없다고 해서 안전하다고 생각하면 안 된다”고 주장했다.
DNA
를 직접 망가뜨리지 않아도 얼마든지 다른 기작으로 암을 발생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문제는 휴대전화의 전자파가 생물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는 아직 어떤 연구 결과도 확실하지 않다는 것이다. 김 ... ...
이전
35
36
37
38
39
40
41
42
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