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우
동생
탯줄
태줄
제사
제향
d라이브러리
"
제
"(으)로 총 3,230건 검색되었습니다.
내 스마트폰에 내가 만든 게임을 쏙!
수학동아
l
201510
게임! ‘애니팡’하고 원리가 비슷하지요. 사실 이날 게임카페 세 번째 수업에는 숙
제
가 있었어요. 바로 게임의 스토리를 구상해 오는 거였지요. 스토리는 사람들이 그 게임을 하고 싶게 만들어 줘요. 그래서 똑같은 원리의 게임이라도 스토리에 따라 전혀 다른 게임이 될 수 있지요.서울 명덕초 ... ...
[손바닥 인터뷰] “북극 카라해가 더워지면 한국에 한파 와요”
과학동아
l
201510
어느 정도 알려져 있었다. 이번 연구는 중위도 기후에 영향을 미치는 두 곳을구체적으로
제
시했다는 점에서 의미를 인정받은 것 같다. 두 곳의 온도를 잘 감시하면 1~2주 뒤동아시아와 북미에 나타날 한파를 예측할 수 있다.Q 2014년 2월 북미에 기록적인 한파가 왔을 때는 북극 해빙이 두껍다고 ... ...
[Life & Tech] 태평양 한가운데 해양연구 전초기지를 가다
과학동아
l
201510
‘충격과 공포’. 축주의 첫 인상은 꼭 그랬다. 숨이 턱 막히는 덥고 습한 공기는, 그래도 예상한 바였다. 짧기로 유명한 활주로에서 비행기는 ... 생활은 내가 꿈꿔온 미래 그대로다”라고 말했다. 최 군은 최 연구원의 노트에 “박사님은
제
롤모델이에요. 나중에 꼭 다시 봬요”라고 적었다 ... ...
“세상 모든 문
제
를 해결하는 학문, 컴퓨터공학”
과학동아
l
201510
어떤 역할을 했는지, 어떻게 팀에서 협동을 이끌어냈는지 등의 질문을 받았습니다. 실
제
로 본인이 적극적으로 참여한활동이라면 그다지 부담스러운 질문은 아닙니다. 다만 본인이 맡았던 일을 정리해볼 필요는 있습니다. 막상 면접 자리에 가면 너무 떨려서 본인이 했던 일을 충분히 설명하지 ... ...
논문에서… 내 이름이 사라졌다
과학동아
l
201510
팀장은 “집중력과 전문성의 문
제
를 봤을 때 전담자가 있는 게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제
보 바랍니다]구본경 박사는 “저자권은 연구자의 기본권”이라고 말합니다. 인권처럼 연구자들이 반드시 되찾아야 할 기본적인 권리라는 말이지요. 저자권만 기본권은 아닙니다. 수많은 연구자들이 지금도 ... ...
[Photo] 전직 CFO의 눈에 비친 중국의 풍경들
과학동아
l
201509
그가 중요하게 여기는 것은 그곳의 문화다. 문화를 이해하지 않고서는 보이는 풍경을
제
대로 이해할 수 없다는 것이 평소 그의 지론이다. 그렇기에 아직 할 일이 많다. 7년째 중국에 살고 있지만 아직 카메라에 담지 못한 대륙의 문화와 풍경이 많다. 그는 “앞으로도 계속 중국의 곳곳을 발로 누비며 ... ...
[Hot Issue] ‘늙지 않는’ 뱀파이어와의 인터뷰
과학동아
l
201509
분화하는 것을 저해하는 단백질(SMAD4)의 발현을 억
제
하는 miRNA를 발견해 7월 29일 국
제
학술지 ‘유전자와 발생’에 발표했어요. 즉, 근육줄기세포가 근육으로 분화하게끔 도와주는 miRNA를 발견한 거죠.그: 단백질은 아니지만, 노화를 방지하는 물질이군요. 그럼… (눈을 희번득하게 뜨며) 결과적으로 ... ...
당구공에서 인공심장까지! 플라스틱의 변신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9
벌레가 붙어 있는 줄 몰랐네. 이건 말로만 듣던 플라스틱 먹는 바다 미생물? 그럼 난 이
제
더 이상 쓰레기가 아닌 자연의 일부가 되겠구나. 아~, 행복해! 다음엔 친환경 플라스틱으로 만든 인형으로 돌아올 테니 조금만 기다려 줘~ ... ...
[Life & Tech] 대선보다 치열한 차세대 디스플레이 열전
과학동아
l
201509
지나다니는 온갖 벽과 기둥, 모든 설치물에도 플렉시블을 붙일 수 있습니다.
제
가 언
제
나 여러분 곁에 있다는 의미입니다. 어떻습니까. 여러분의 곁에서 여러분의 편안함을 생각하는 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한번 믿어 주십시오.3D 저보고 말이 많다더니. 저는 짧고 굵게 말하겠습니다. 우리가 사는 ... ...
[Knowledge] 예술의 경지에 이른 변장술
과학동아
l
201509
흉내 내는 것도 모자라 통통거리는 우스꽝스러운 걸음걸이까지 따라 하면서 돌아다닌다.
제
아무리 시력이 좋은 새라 할지라도 먼지벌레와 새끼 부쉬벨드도마뱀을 구분하기란 쉽지 않다. 맹독성 뱀은 다른 파충류의 ‘워너비’북아메리카 대륙에서 가장 많이 서식하는 뱀으로는 우유뱀이 있다. ... ...
이전
35
36
37
38
39
40
41
42
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