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람
초상
인물화
인간
인격
캐릭터
모양
d라이브러리
"
인물
"(으)로 총 1,005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 천재 이렇게 탄생했다
과학동아
l
200612
‘아마드 코브로지’(Amard Kobrodsy)라는 수학자가 만들었다고 했는데, 이 사람은 실존
인물
이 아니다. ‘Amard’라는 이름은 ‘drama’를 뒤집었고, ‘Kobrodsy’는 KBS(Korea Broadcasting System)의 머리글자를 조합해서 만들었다.행렬식 내 안의 수학 본능줄거리_ 한태웅은 우여곡절 끝에 여주인공 김보라( ...
반전 극장
과학동아
l
200612
올해 수학자 마르크 르노가 쓴 논문에 따르면 앙드레가 이 문제를 공식적으로 푼 첫 번째
인물
이긴 하지만 그의 풀이가 반전법과 똑같지는 않다고 한다. 그러니까 ‘앙드레의 반전법’이 정확한 표현은 아니다. 후대에 ‘이 문제는 앙드레가 처음으로 풀었다’와 ‘이 문제는 반전법으로 풀린다’는 ... ...
반도체에 심은 양자컴퓨터 씨앗
과학동아
l
200611
시공간적 배경과 같은 초기 조건을 통제변인으로 설정하고 그 위에 여러 성격을 가진
인물
들을 놀게 내버려 둔다. 그리고 갖가지 사건들을 일으켜 종속변인으로서의 결과를 기술한다.“과학은 논리적인 흐름을 따라가는 것이 가장 중요하지만, 때로는 소설 같은 상상력으로 벽을 뛰어넘어야 할 ... ...
유전자가 말할 수 있는 진실
과학동아
l
200610
지적이다.우리는 우수한 유전형질을 향한 집착을 그린 영화 ‘가타카’(GATTACA)의 등장
인물
처럼 ‘유전자 만능시대’에 살고 있는 것은 아닐까. 이제 유전자를 바라보는 장밋빛 색안경을 벗어던지자. 비만 유전자를 가졌다고 실의에 빠질 필요도, 있지도 않은 학습 유전자가 나쁘다고 좌절할 필요도 ... ...
2. 사람의 순간이동 정말 가능할까
과학동아
l
200609
나를 당장 순간이동시켜 줘!”낯선 행성에서 임무를 수행하던 ‘스타트렉’의 등장
인물
이 위험에 처하면 아무 때나 모선인 엔터프라이즈 호에다 대고 구조요청을 하는 방법이다.보통 순간이동장치로 알려져 있는 전송장치(transporter)는 원작에는 없던 설정이다. 제작진은 매번 촬영장 세트를 ... ...
바다에 이산화탄소 저장하기
과학동아
l
200609
피부를 탱탱하게 잡아당겨 주는 역할을 한다역할을 수행하는 놀이를 통해 캐릭터(등장
인물
)의 성격을 형성하고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형태의 게임 컴퓨터 RPG로는 울티마, 디아블로 등이 유명하며 한국의 대표적 온라인게임 '리니지'도 여기에 속한다약물을 지지체에 직접 담아 피부를 통해 직접 ... ...
1. 첨단과학에 코드 맞춘 SF '스타트렉'
과학동아
l
200609
분야의 선구적인 전망도 이 시리즈에서 태동됐다. ‘스타트렉:그 다음 세대’의 등장
인물
중에는 안드로이드인 데이터 소령이 있다. ‘걸어 다니는 백과사전’인 그는 등장할 때마다 항상 ‘인간이란 무엇인가’라는 화두에 몰두하면서 인간에 가까워지려고 노력한다. 데이터 소령은 ... ...
조지 에어리와 윌리엄 도즈
과학동아
l
200608
그때까지 전해오던 육안관측법과 새로 발명된 망원경관측법을 동시에 사용한 유별난
인물
이었다. 그는 자택에 천문대를 세우고 관측에 몰두한 끝에 달 지도를 만들어냈다. 맨눈으로 별의 위치를 측정해 1500여개에 이르는 항성의 위치표도 제작했다.헤벨리우스도 별의 크기에 대한 고민이 많았다. ... ...
하늘 그린 지도, 우주 담은 시계
과학동아
l
200607
드러냈다. 올해 1월부터 사용된 5000원짜리 지폐처럼 크기가 작아지고 그림도 달라졌다.
인물
초상은 세종대왕 그대로지만 일월오봉도(日月五峯圖)와 용비어천가를 새로 포함시켰고 배경으로 창호무늬를 사용했다.뒷면에 있던 경회루는 사라지고 국보 제228호인 천상열차분야지도와 제230호인 ... ...
건축과 생명체가 만날 때
과학동아
l
200607
이로써 건축가들이 적용할 수 있는 생명체 모델이 늘어났다.바이오모픽 건축의 문을 연
인물
은 오스트리아 출신인 프레데릭 키슬러(Frederik Kiesler)였다. 그는 1950년 ‘엔드리스 하우스’(Endless House)라는 작품을 발표했다. 키슬러는 여기서 집이라는 공간을 하나의 에코시스템(ecosystem)으로 간주했다. ... ...
이전
35
36
37
38
39
40
41
42
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