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거대함
광대무변
d라이브러리
"
막대함
"(으)로 총 579건 검색되었습니다.
10년 후 세상 주도할 첨단기술 10
과학동아
l
200102
10년 후의 미래는 어떨까. 신체특징이 출입증으로 사용되고 인터넷 콘텐츠 복제를 방지하는 것은 기본. 로봇이 만들고 광속으로 정보를 처리하는 컴퓨터와 농담을 나누는 일이 가능하지 않을까.로봇을 만드는 로봇사람처럼 각종 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영특한 로봇을 만드는 일은 로봇 산업의 궁극 ... ...
유산균 시장의 아우토반 쎌바이오텍
과학동아
l
200102
셀바이오텍은 우리나라 바이오벤처 1호라는 명성에 걸맞게 커다란 성과를 이뤄내고 있다. 특허 하나 가지고 있지 않으면서도 세계 수준의 바이오 기업으로 인정받는 쎌바이오텍의 비결은 무엇일까.1995년 2월 사장과 4명의 연구원으로 설립. 그 해 7월 제1공장 완공. 8월 연구소 설립. 12월 대량생산 ... ...
쥐불놀이에 숨어있는 눈의 속임수
과학동아
l
200102
세계를 바라볼 수 있는 눈. 수많은 정보를 한꺼번에 뇌로 전달해주지만, 때로는 움직이는 물체에 쉽게 속아넘어가기도 한다. 생활 주변에서 눈의 이런 성질을 잘 이용한 사례를 쉽게 찾을 수 있다. 과연 어떤 것일까.정월 대보름날. 모험이와 슬기는 시골에 계신 할아버지, 할머니 댁에 놀러갔다. 반 ... ...
우리민족 산학의 뿌리 '구장산술'
과학동아
l
200101
지금으로부터 1천7백여년 전 동양에도 피타고라스정리에 해당하는 구고술이라 불리는 수학원리가 있었다. 또한 동양수학고전에는 수학문제를 실생활에서 찾고 노래로 접하게 하는 친숙함이 깃들어 있다. 동양수학 최고 고전이며 우리민족 수학의 뿌리이기도 한 구장산술을 만나보자.수학하면 우 ... ...
우주속 숨은그림 찾기
과학동아
l
200011
낯선 존재를 만나면 그와 비슷한 친숙한 대상을 떠올리는 일은 자연스럽다.밤하늘을 관측하거나 우주를 탐사할때 만나는 많은 천체나 지형도 마찬가지다.자 이제 우주 속이 숨은그림을 찾아 떠나보자.1978년 충북 대청댐 수몰지역에서 출토된 청동기시대 돌판을 최근 분석한 결과 놀랍게도 돌판위 ... ...
붉은 시리우스가 청백색으로 변신한 사연
과학동아
l
200011
달이 없고 맑은 가을밤 별빛을 주의깊게 관찰해보자.의외로 별들도 여러가지 색깔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느끼게 된다.별의 색깔은 온도와 나이를 말해준다는데….그 깊은 사연을 들어보자.늦가을에서 초겨울로 들어서는 만추의 밤하늘은 차가워진 공기가 주는 상쾌함만큼 투명하게 보인다. 이 ... ...
골프공 최고 시속 3백km
과학동아
l
200011
스포츠에는 다양한 공이 등장한다.이들 중에 가장 빠른 속도를 자랑하는 공은 무엇일까.한때 배드민턴의 셔틀콕이 가장 빠른 것일까.여기 셔틀콕을 능가하는 골프공이 있다.전세계를 떠들썩하게 했던 시드니올림픽이 끝났지만 각종 스포츠 경기는 계속되고 있다. 부산에서 제81회 전국체육대회가 ... ...
세계에서 가장 작은 막대자석
과학동아
l
200011
최근 서울대 현택환 교수(응용화학부) 연구팀은 화학분야에서 최고 권위를 가진 ‘미국화학회지’를 통해 세계에서 가장 작은 자석을 개발했다고 발표했다. 이것은 철로 된 막대모양의 나노자석(가로2nm×세로10nm, 1nm=${10}^{-9}$m)으로, 1백K(영하 1백73℃) 이하 온도에서 자성을 띤다.자성을 띠는 철을 ... ...
카멜레온처럼 변화무쌍한 특수잉크
과학동아
l
200010
잉크라고 하면 흔히 만년필을 떠올린다.하지만 이런 보통잉크와는 달리 날마다 보면서도 대부분이 알지 못하는 잉크가 있다.바로 특수잉크다.생활 곳곳에 자리한 특수잉크를 찾아보자.따가운 햇살 때문에 여름과 초가을은 곤혹스러운 계절이다.하지만 이 계절들은 그 햇살 때문에 다른 계절보다 ... ...
짧은 파장을 얻으려는 시도에서 출발한 레이저
과학동아
l
200009
레이저의 기본 이론을 처음으로 생각해 낸 사람은 미국의 물리학자인 찰스 타운스(1915-)다. 그는 1951년 컬럼비아대학 교수로 있던 시절 파장이 1백만 분의 1m 이하인 고주파를 발생시키는 방법을 찾으려고 했다. 그러던 중에 진공관으로 얻을 수 있는 파장보다 더 짧은 파장의 전파를 얻기 위해서는 ... ...
이전
35
36
37
38
39
40
41
42
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