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결
합동
연합
배합
접촉
접속
단결
뉴스
"
결합
"(으)로 총 4,161건 검색되었습니다.
괴테는 어떻게 꽃이 잎의 변형기관이라는 사실을 알았나
2014.04.21
형성에 관여하는 단백질에 달라붙는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그런데 흥미롭게도 이런
결합
이 일어난 뒤 식물 단백질이 파괴됐다. 파이토플라스마 박테리아의 또 다른 숙주인 매미충(Aster leafhopper). 실험 결과 매미충은 정상 꽃이 핀 식물보다 엽화된 꽃이 핀 식물을 선호했다. - 위키피디아 제공 ... ...
성인 체세포복제배아줄기세포 성공, 그 의미는?
과학동아
l
2014.04.18
4명에게서 난자 77개를 기증받아 핵을 제거한 뒤 기증 받은 남성의 피부세포(체세포)와
결합
해 5개의 포배기 배아를 만들었다. 포배기 배아란 수정란의 속이 텅 비고 그 주위를 한 겹의 세포벽이 둘러싸는 시기를 말한다. 연구진은 여기서 최종적으로 배아줄기세포 2개를 얻었다. 성공률로 따지면 약 2 ... ...
커피숍 들어서면 저절로 휴대전화 충전
과학동아
l
2014.04.18
부하코일을 이용해 송·수신 코일의 증폭을 2000배 가까이 극대화시키는 ‘자기
결합
공진방식(CMRS)’을 이용해 원거리 전송에 성공했다. 하지만 이 기술은 무리하게 증폭시키면 코일이 주변 환경에 지나치게 예민하게 반응한다는 점이 문제였다. 주변에 움직이는 사람이 있거나 온도가 변해 ... ...
시각장애 학생이 고구려 국경 볼 수 있는 이유는?
과학동아
l
2014.04.16
KIST) 다원물질융합연구소 문명운 박사팀은 3D 프린팅 기법에 열처리 기술을
결합
하는 방식으로 표면이 매끈하고 내구성이 강한 시각장애인용 촉각 제작물을 만드는 데 성공하고, 이날 서울맹학교와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종이에 점을 찍는 방식으로 만들어지는 점자문서는 글자를 표현할 ... ...
거미줄처럼 쭉~쭉~ 신기한 단백질 필름
과학동아
l
2014.04.15
전자투과현미경으로 찍은 필름 조각. 연구진은 필름을 가로세로 10cm 크기까지 만드는 데 성공했다. - 서울대 제공 국내 연구진이 생체 단백질 성 ... 11일자 온라인판에 실렸다. 펩타이드를 물에 녹이자 서서히 증발하면서 서로
결합
해 수면 위에 얇은 필름이 만들어졌다. - 서울대 제공 ... ...
조류독감 검출 2분만에 '뚝딱'
과학동아
l
2014.04.13
중앙에 자성형광복합입자의 3차원 구조를 자세히 나타내고 있으며, 단백질이 수용체와
결합
하면서 핵산유도체를 벗겨내고 이 때 입자표면의 형광신호가 다시 켜진다. 마이크론 크기의 각 입자가 독립된 센서 역할을 한다. - KIST 제공 ... ...
[IBS 토론회]논문 조작 어떻게 막아야 할까
과학동아
l
2014.04.10
도입한 적이 있었지만 비용 문제로 포기했다”며 “논문 인용지수와 동료 평가를 적절히
결합
하한다면 합리적인 연구평가 방안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사회적으로 중요한 연구에 더 높은 점수를 줘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캠벨 편집장은 영국을 예로 들어 “대학의 ... ...
당뇨병 표적치료제, '한 놈'만 걸려라~
과학동아
l
2014.04.09
0개의 후보 약물을 추가로 만들었다. 그리고 이들 약물을 하나씩 PPAR 감마에 처리해
결합
도와 활성화도, 이에 따른 포도당 흡수 효과를 알아봤다. 그 결과 이들 중 처음 약물보다 4000배, 현재 사용되는 당뇨병 치료제인 '로시글리타존'보다도 50배 효과가 큰 약물을 찾아내는 데 성공했다. 박 ... ...
버려진 나무로 전기 충전한다고?!
과학동아
l
2014.04.06
원자가 평평한 벌집 모양으로 연결된 나노 물질)과
결합
시켰다. 그리고 리그닌-그래핀
결합
물이 에너지 저장소로 불리는 슈퍼커패시터의 전극 소재로 손색이 없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리그닌-그래핀 전극으로 슈퍼커패시터를 만들었더니 슈퍼커패시터의 충전 용량이 기존 활성탄 전극에 비해 ... ...
꿈의 소재 ‘그래핀’ 실용화 성큼
과학동아
l
2014.04.04
높고 소자 특성이 균일해 제어가 쉽다는 장점이 있다. 또 게르마늄은 그래핀과
결합
력이 강하지 않아 쉽게 떼어낼 수 있다. 그동안 금속 기판을 제거하는 데 유해한 용액을 써야 했던 것과 비교하면 친환경적이고 떼낸 기판을 재활용할 수 있어 경제적이다. 황 전무는 “성능이 뛰어난 ... ...
이전
395
396
397
398
399
400
401
402
40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