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치수
사이즈
부피
넓이
규모
칫수
용적
d라이브러리
"
크기
"(으)로 총 7,957건 검색되었습니다.
초고속 정보통신 사회 구현하는 광양자컴퓨터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1개의
크기
는 50nm 수준인데 비해 기존 광논리소자로 트랜지스터를 만들 경우 1개
크기
가 100만 배 정도 큰 mm 수준에 이르기 때문이다.함 교수는 “우리 연구단이 개발한 광논리소자는 EIT 효과로 생긴 느린 빛을 이용하기 때문에 빛이 흡수되지 않아 신호를 증폭하는 과정이 필요 없다”며 “게다가 ... ...
서류-면접만으로 100% 선발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변화처럼 실생활에서 볼 수 있는 과학 현상을 중심으로 물었다. 마찰 계수와 관련해 힘의
크기
를 구하거나 화학 반응식을 두고 설명을 요구하는 기본 개념을 묻기도 했다.생물은 지난해 최대 시사이슈 중 하나인 인간광우병을 주제로 6개의 질문이 출제됐다. 광우병의 이름은 어디에서 유래됐는지, ... ...
3. 오늘 바로 절약의 고수되기
수학동아
l
2009년 09호
특별할인이라며 3000원에 팔고 있어요. 큰 복숭아의 지름은 10cm고 작은 것은 8cm였어요.
크기
는 큰 차이 없는데 3개나 더 주니까 훨씬 싸 보여요. 과연 어느 복숭아를 사는 것이 더 이익일까요? 물론 맛은 똑같다는 가정에서 말이죠. 이해를 돕기 위해 먼저 정사각형의 예를 살펴보아요. 길이가 1과 2인 두 ... ...
수학은 처음에는 수학이 아니었다?
수학동아
l
2009년 09호
‘측정하다’라는 뜻이다. 눈치 빠른 친구라면 감이 딱 왔을 것이다. 기하학은 바로 땅의
크기
를 재는 방법에서 시작된 학문인 것이다. 수학에는 ‘해석학’이라는 분야도 있다. 고등학교에 올라가면 배우는 미분, 적분 등을 포함하는 분야로 영어로는 ‘analysis’라고 한다. ‘analysis’는 그리스어인 ... ...
한국 과학, 아프리카에 희망을 심다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기술이다. 한국 농민들은 이미 오래전부터 육종에 눈을 떴다. 그 결과 한국인의 식탁은
크기
가 고르고 모양이나 색깔이 맛깔스럽고 맛도 좋은 농작물로 채워졌다. 물론 농가의 소득향상에도 크게 기여했다.이곳 농업과 축산업 기술은 한국의 1970년대 이전 수준이다. 농작물은 병충해나 자연재해에 ... ...
로드킬, 환경 오염 없는 경춘고속도로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다르기 때문에 물이 역류하는 현상을 막을 수 있다. 또 이 빗물처리시설을 이용하면
크기
가 200μm(마이크로미터, 1μm=10-6m)에서 1mm까지인 오염물을 95% 이상 제거해 상수원 오염을 막을 수 있다.치약 짜내듯 다리 건설경춘고속도로는 한강 하류와 북한강을 지난다. 시원하게 뚫린 다리 위를 달리며 ... ...
맛있는 세계 면류 총집합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탄성력도 좋다. 용수철처럼 꼬불꼬불한 모양은 외부의 힘을 제거하면 원래의 모양과
크기
로 되돌아가려는 탄성력이 크므로 라면의 경우도 미세하게나마 면의 탄성을 높일 수 있다.이뿐이 아니다. 꼬불꼬불한 모양은 끓일 때 면을 자연스럽게 한 가닥 한 가닥씩 떼어 놓는 역할을 해 열과 수분이 쉽게 ... ...
깨처럼 고소한 물고기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있다는 사실이다. 다음은 전어의 몸
크기
별 지방 함량을 조사한 자료이다.전어의 몸
크기
별 지방함량이를 종합하면 가을에 잡히는 큰 전어가 최고의 맛을 자랑한다는 결론이 나온다.그러나 맛은 항상 상대적이다. 자신의 입맛에 맞게 즐기는 것이 최고다. 기름기가 많은 고소한 맛을 좋아한다면 ... ...
오염 비켜! 로봇 물고기 나가신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08호
목적으로 개발됐지요. 그래서 제 몸엔 화학물질을 탐지하는 센서가 달려 있어요. 1.5m
크기
에 잉어를 본 뜬 모양으로, 실제 물고기처럼 움직인답니다.아하~. 그래서 실제 물고기처럼 움직임이 자연스러웠군요. 그런데 로봇이라면…, 조종은 누가 하는 거죠? 혹시 사람이 타고 있나요?아니에요. 저는 ... ...
대한민국 육종학의 아버지 우장춘을 만나다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원예작물부 윤무경 박사는 “우 박사는 배추와 양배추, 유채 염색체의 모양과
크기
를 비교해 유채의 염색체가 배추와 양배추에서 왔다는 사실도 증명했다”며 “서로 다른 종이 각자 환경에 적응하며 개별적으로 진화한다는 다윈의 진화론을 보완한 셈”이라고 말했다. 서로 다른 종이 교배를 통해 ... ...
이전
395
396
397
398
399
400
401
402
40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