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초
시작
최초
서두
초기
머리말
개시
d라이브러리
"
처음
"(으)로 총 10,974건 검색되었습니다.
초파리도 실연당하면 술을 마신다
과학동아
l
2014년 08호
때문이다. 필자의 지도교수도 학생들에게 습관처럼 200개까지 해봤냐고 묻곤 했다.
처음
에는 벤저와 코노프카의 결과를 아무도 믿지 않았다. 스승인 델브뤽조차 회의적이었다. 하지만 40년이 지난 지금 우리는 피리어드 유전자가 인간의 몸에도 존재하고, 24시간 주기를 맞추는 데 사용된다는 사실을 ... ...
눈으로 세상을 제패한 빛의 지배자 - 삼엽충
과학동아
l
2014년 08호
개의 마디로 이루어진 절지동물이다. 캄브리아기 초기인 약 5억2100만 년 전에 바다에서
처음
등장한 뒤, 페름기 말에 일어난 지구 최대의 대멸종 사건 때 사라지기까지 약 2억7000만 년 동안 바다의 주인공이었다. 연구된 종의 수만 2만 종이 넘고 지금도 계속 새로운 종이 발견되고 있다. 화석 생물로는 ... ...
수학에 희망을 드립니다
과학동아
l
2014년 08호
단번에 답을 알려줬다. “책을 많이 사서 봐야 좋은 책을 고를 수 있습니다.”누구나
처음
부터 잘할 수는 없는 것처럼 많은 책을 사서 시행착오를 겪어봐야 좋은 책을 고르는 노하우를 알 수 있다는 것이다. 출판사가 독자에게 다가가는 방법은 그리 많지 않다. 매력적인 제목을 짓고 눈에 띄는 ... ...
[체험] 손끝으로 만나는 수학세상 국가수리과학연구소 이매지너리
수학동아
l
2014년 08호
매트 박사 : 가장 중요한 것은 ‘의사소통 능력’이라고 생각합니다. 이매지너리는
처음
만들어졌을 때보다 지금 훨씬 더 많은 분야의 전문가들이 참여해서 발전시켜 나가고 있습니다. 의사소통 능력을 키우려면 어렸을 때부터 다른 사람의 이야기를 잘 경청하는 연습을 하면 좋을 것 같아요. 예를 ... ...
PART2 - 군집로봇 뇌 속엔 무엇이 들었을까
과학동아
l
2014년 08호
아니라 야외의 어떤 환경에서도 똑같이 작동하는 군집 알고리듬 연구 가 필요하다.
처음
에 말한 드론 군집 비행도 실험실에 서 여러 대의 카메라를 설치해 위치를 정밀하게 인식할 수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다. 자동차 내비게이션이 종종 건물이나 산을 뚫고(!) 가라고 오작동하는 걸 보면, 위 치를 ... ...
❼ 이것만은 꼭! - 천재 수학자 5000명 서울에 모인다
과학동아
l
2014년 08호
장이탕수학자들이 기대하는 강연은 따로 있 다. ‘쌍둥이 소수 추측’의 실마리를
처음
으 로 발견한 중국계 미국인 수학자 장이탕 의 강연이다. 쌍둥이 소수는 3과 5처럼 차 이가 2인 소수 쌍을 말한다. 수가 커질수 록 발견하기가 어렵다. 수학계에서는 이런 쌍둥이 소수가 무한히 존재하는가에 대 ... ...
이제는 이소연을 보내줄 때
과학동아
l
2014년 08호
보장이 없는 시대였다. 아폴로 프로젝트에 참여했던 28명 중 15명에게 아폴로 계획은
처음
이자 마지막 비행이었다. 우주에 머문 시간도 상당히 짧았다. 당시에는 국제우주정거장이 없었기 때문이다. 아폴로 시대의 비행사는 냉전이라는 극심한 스트레스에 시달리며 파리 목숨 같은 직업을 가지고 ... ...
벌집 아이스크림엔 진짜 벌집이 들어 있을까?
과학동아
l
2014년 08호
오기까지 시간이 오래 걸린다. 아이스크림은 유제품인 만큼 아무리 냉장처리를 잘 해도
처음
처럼 신선하지는 않는다. 목장에서 갓 짜낸 우유(그렇다고 이걸 바로 먹는 것은 아니지만!)와 마트에서 사온 우유의 차이 정도라고 볼 수 있다. 물론 관리태만으로 아이스크림 믹스가 오래됐을 경우 ... ...
[Life & Tech] 1%의 기원을 찾아서
과학동아
l
2014년 08호
아나 마리 프렌티스 교수는 “캐나다 지역의 인디언에 대한 연구 결과 엘리트 그룹이
처음
생겨난 시기는 연어가 줄어들고 마을 인구가 감소하면서부터”라고 주장했다. 프렌티스 교수는 “식량이 부족해지면 가족에게 먹일 식량을 챙기기 시작하는데 부의 불평등은 바로 이런 행동의 부산물이었을 ... ...
Part 2. 직접교차분화, 암 뛰어넘는다
과학동아
l
2014년 07호
만드는 데 성공했다. 미국 오리건 보건과학대 슈크라트 미탈리포프 교수가 세계에서
처음
으로 만들긴 했지만, 이 때는 기능세포로의 분화가 덜 된 상태인 태아의 세포로 줄기세포를 만들었다.이 교수는 분화가 완료된 성인의 피부세포로 복제배아줄기세포를 만드는 데 성공해, 환자맞춤형 ... ...
이전
395
396
397
398
399
400
401
402
403
다음
공지사항